• Title/Summary/Keyword: 농업모델

Search Result 832,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Prediction of Water Quality Change in Downstream of the River by Dongjin Gate Operation (동진강제수문 방류조건에 따른 하류 수질변화 예측)

  • Chung, Mahn;Kim, Se Min;Park, Young K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43-443
    • /
    • 2018
  • 새만금유역의 동진강유역에 위치한 동진강제수문은 서해 바닷물 역류에 따른 농경지의 염분피해를 예방하고 고부천과 연계된 부안지역의 농업용수 공급을 위해 설치되었다. 동진제수문은 그간 정읍시 신태인읍, 김제시 부량면, 부안군 백산면의 약 770 ha 농경지에 대해 염분피해를 예방하였고 영농과 한발 시에는 부안군 일대 농경지에 농업용수를 공급할 수 있었다. 하지만 새만금 간척사업등 대규모 국토개발로 주변 자연환경이 크게 변화하여 제수문은 염해방지기능을 상실하게 되었고 현재는 농업용수 공급원으로써의 기능만 남아 있다. 현재 동진강제수문은 관개기에 농업용수 취수를 위해 수문을 닫아 본류의 유량을 저류시키고 있으며, 비관개기에도 대부분 제수문을 닫아놓는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갑문폐쇄로 인해 하류의 유입유량이 차단되고 상류 체류시간이 증가되어 수질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농업용수사용을 위해 저류되어있는 유량을 효율적으로 방류한다면, 외부수자원에 의존하지 않고 유역 내에서 자체적으로 새만금호의 유입량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진강 하류의 수질개선에도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동진강제수문의 내용적을 산정하여 용수공급능력을 파악하였고, 새만금유역과 호 내의 복잡한 수체 형상, 유입 및 유출 구조를 반영하는데 적합한 모델을 적용하였다. 재현성이 검토된 모델 결과를 이용하여 새만금호의 유입부인 동진강 하류의 수질을 모의하였으며, 구성한 모형의 결과와 용수공급능력을 바탕으로 동진강제수문에서의 방류조건을 가정하여 모의를 수행하였다. 방류조건별 수질개선효과를 살펴보면, Scenario 3 > Scenario 2 > Scenario 1의 순서로 수질개선율이 크게 나타났다. 동진강제수문에서의 방류량이 증가할수록 하류의 농도가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동진강제수문의 방류량으로 인해 유황이 개선되고 호 내 오염부하농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농업용수 필요량을 제외한 유량을 하류의 환경유지용수로 확보하고 이를 수질관리취약 시기에 탄력적으로 방류하여 정체수역의 수질오염을 감소시키고 목표수질을 만족하도록 운영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제6차 WTO 홍콩 각료회의 준비 동향과 전망

  • Korean Advanced Farmers Federation
    • 월간 한농연
    • /
    • s.45
    • /
    • pp.28-32
    • /
    • 2005
  • 11월 내내 미국 · 유럽연합(EU) 및 브라질 등 개발도상국들이 수 차례 협상을 진행해 왔지만, 뚜렷한 합의점을 찾지 못하여, 홍콩 각료회의에서는 완성된 형태의 세부원칙(모델리티) 마련은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그러나 펠코너 농업협상 의장과 라미 WTO 사무총장이 최근 발표한 세부원칙 초안은, 우리 농업에 매우 불리한 내용들이 상당수 반영되어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이에 한농연은 12월 12일(월)총 170여명의 대규모 투쟁단을 파견하여, 전 세계의 농민단체들과 함께 홍콩 WTO 각료회의에 적극 대응해 나갈 방침이다. 이에 월간 한농연 12월호에서는 제6차 WTO 홍콩 각교회의의 준비 동향과 전망을 살펴본다. 특히 11월 19일 끝난 APEC 정상회의 결과가 DDA 농업협상에 미칠 직간접적인 파장을 따져보고, 펠코너 의장과 라미 사무총장이 발표한 세부원칙 초안의 내용을 살펴보도록 한다.

  • PDF

Standardization for Planning of Smart Farming Service (스마트농업서비스 사전 기획 표준)

  • Lee, Soo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5.10a
    • /
    • pp.600-602
    • /
    • 2015
  • This paper first introduces Smart Farming with various researches and developments, and describes its reference model. Then, the importance of planning at the pre-production stage which deeply affects to the whole process of the Smart Farming is explained. Lastly, the current and future trends of researches and developments on the planning of the Smart Farming are given.

  • PDF

Irrigation efficiency on agricultural water supply of pumping station using SWMM (SWMM 모델을 이용한 양수장 농업용수 공급시나리오별 관개효율 분석)

  • Shin, Ji-Hyeon;Nam, Won-Ho;Hwang, Su-Jung;Jeon, Min-Gi;Bang, Na-K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186-186
    • /
    • 2021
  • 농업가뭄은 관측과 예측이 용이하지 않고 정량적으로 나타내기도 어려운 자연현상이며, 우리나라의 경우 농업용수 이용량이 많고, 농업용 저수지, 양수장 등 이용형태가 다양하므로 강수 부족으로 농업가뭄이 발생한다고 해도 실제로 농업현장에서 느끼는 가뭄은 시·공간적으로 다를 수 있다. 농업용수 공급은 수문관리원이 경험을 통한 수문관리를 해오고 있으며, 그 방법 또한 정확한 계측이 아닌 경험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공급량 관리가 정성적이고 제한적인 한계가 발생한다. 따라서, 수원공에서 수로조직 및 포장에 이르기까지의 용수공급 모의를 통해 농업용수 공급의 합리적인 분배, 말단 수로 및 포장까지 안정적인 용수공급을 위한 물공급 및 분배 효율 분석이 필요하다. 또한, 기존 농업용 수리시설물의 물 공급 능력 평가 및 들녘단위의 평야부 물 부족지역과 과잉공급된 지역의 정확한 파악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농업용 저수지 및 양수장의 주목적인 관할 수혜구역에 대한 농업용수공급 안정성 및 관개효율을 평가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상주지역의 덕가 저수지를 대상으로 양수장 위치에 따라 가상의 3가지 용수공급 시나리오를 구성하고 각 시나리오별 수로 네트워크 모의를 통해 평야부의 공급량 및 관개효율을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2017년부터 2019년까지 농업기반시설관리시스템 (Rural Infrastructure Management System, RIMS) 저수율 데이터를 구축하였고, 유체의 흐름에 대한 수리적 특성을 모의할 수 있는 SWMM(Storm Water Management Model) 모형을 통해 관개기 동안의 농업용수 분배 모의와 공급효율을 분석하고자 한다.

  • PDF

Research of Next Generation IoF-Cloud based Smart Geenhouse & Services (차세대 IoF-Cloud 기반 스마트 온실 및 서비스 연구)

  • Cha, ByungRae;Choi, MyeongSoo;Kim, BongKook;Cheon, OhSeung;Han, TaeHo;Kim, JongWon;Park, Sun
    • Smart Media Journal
    • /
    • v.5 no.3
    • /
    • pp.17-24
    • /
    • 2016
  • Korean agriculture is currently experiencing difficulties as a cause of rural depopulation, aging of rural population, grain self-sufficiency rate decline, and deepening of climate change. It is necessary to ensure our country's agriculture industrial competitiveness in accordance with opening of FTA imports expanded. To ensure the underdeveloped competitive, Korean government defines the 3rd generation model from 1st generation model to extend the smart farms of Korean types. The agriculture smarting overcomes the growth limitations of agriculture, and efforts to develop 6th + ${\alpha}$ industry. In this paper, We define and verify the IoF(Internet of Farming)-Cloud based substantial services about 2rd generation model, and propose a greenhouse of IoF-Cloud testbed.

Machine Learning-based Production and Sales Profit Prediction Using Agricultural Public Big Data (농업 공공 빅데이터를 이용한 머신러닝 기반 생산량 및 판매 수익금 예측)

  • Lee, Hyunjo;Kim, Yong-Ki;Koo, Hyun Jung;Chae, Cheol-Joo
    • Smart Media Journal
    • /
    • v.11 no.4
    • /
    • pp.19-29
    • /
    • 2022
  • 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IoT technology, the number of farms using smart farms is increasing. Smart farms monitor the environment and optimise internal environment automatically to improve crop yield and quality. For optimized crop cultivation, researches on predict crop productivity are actively studied, by using collected agricultural digital data. However, most of the existing studies are based on statistical models based on existing statistical data, and thus there is a problem with low prediction accuracy. In this paper, we use various predition models for predicting the production and sales profits, and compare the performance results through models by using the agricultural digital data collected in the facility horticultural smart farm. The models that compared the performance are multiple linear regression, support vector machine, artificial neural network, recurrent neural network, LSTM, and ConvLSTM. As a result of performance comparison, ConvLSTM showed the best performance in R2 value and RMSE value.

Key Trends in Smart Agriculture Policies and Their Geographical Implication (스마트농업의 주요 정책 동향과 지리적 시사점)

  • Kim, Na-Ri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25 no.3
    • /
    • pp.397-419
    • /
    • 2022
  • Smart agriculture has emerged to be a solution to the global food crisis and a new growth engine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spatiality of smart agriculture by analyzing smart agriculture policies in major countries and examining how major's agricultural knowledge and experience are expressed in specific agricultural environment. I selected China, Japan, the Netherlands, and the United States as representative examples. In the analysis of agricultural policy, the direction, governance and main areas and technologies were focused. As a result, it is found both standardization strategy and the localization strategy work at the same time. Standardization strategies decontextualize technologies and policies from the economic, social, cultural, and ecological contexts of region. The regionalization strategy builds a smart agricultural model for each country with reflecting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could be for facilitating further researches on geographies of agricultural technology and agricultural knowledge production.

Agricultural Water Supply and Allocation using SWMM Model (SWMM 모형을 이용한 농업용수 물공급 및 분배 모의)

  • Shin, Ji-Hyeon;Nam, Won-Ho;Bang, Na-Kyoung;Kim, Han-J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129-129
    • /
    • 2020
  • 전국적으로 약 18,000여개가 축조되어 있는 농업용 저수지는 국내농업용수 사용량 중 약 60%를 공급하는 핵심 농업기반시설로서 홍수기에 풍부한 수량을 저류한 후 관개기 혹은 갈수기에 주로 논벼 재배지역에 용수를 공급한다. 최근에는 가뭄에 의한 피해 심각성이 증가함에 따라 농업용 수확보대책 수립, 저수지 준설, 관정개발, 양수저류 등의 다양한 대응 방안을 마련하여 농업가뭄 극복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농업용수공급은 현장 물관리자의 경험을 토대로 공급되고 있어 공급량 관리가 정성적이고 제한적인 한계가 발생한다. 따라서, 농업용수의 효율적인 물 관리, 수원공으로부터 물공급의 합리적인 분배, 말단 수로 및 포장까지 안정적인 용수공급을 위한 물공급 및 분배 효율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서산지역의 신송저수지를 대상으로 2019년 5월부터 8월까지 통수일지 자료를 활용하여 농업용수 물공급 및 분배 모의, 관개효율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부정류해석이 가능한 SWMM (Storm Water Management Model) 모형을 기반으로관개지구 용수공급 체계 네트워크와 들녘별로 용수공급이 가능하도록 구축하였고, 해당 지구의 실제 통수 시 수위 유량 계측을 통해 모델의 필수 변수 입력자료를 구축하였다. 전체면적 대비 수혜면적 비율과 전체 관개량 대비 해당 간선의 관개량 비율의 비교를 통해 수혜면적에 따른 관개효율을 분석하였으며, 각 수로별 공급량 대비 관개량 비율을 산정하여 수로별 관개효율을 분석하였다. 농업용수공급 효율 평가 결과는 수혜면적의 용수부족지역 파악, 시기별 용수배분의 공간적인 분포 모니터링 등 농업용수 이수대책에 활용하여 농업가뭄 상황 시 효율적인 물 배분 및 관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velopment of Diameter and Basal Area Growth Models for Larix leptolepis in Eastern Mountain Areas, Jeollabuk-do (전라북도 동부 산악지역 낙엽송의 직경 및 흉고단면적 생장모델 개발)

  • Kim, Hyun;Jo, Young-Jin;Lee, Sang-Hyun
    •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 /
    • v.45 no.5
    • /
    • pp.25-31
    • /
    • 201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the growth model for diameter at breast height (DBH) and basal area (BA) of Larix leptolepis stands grown in eastern mountain areas, Jeollabuk-do and to enhance the precision of the models by adding regional and climatal factors, such as altitude, mean annual rainfall, and mean annual temperature. In results, it was analyzed that Schumacher polymorphic equation might be the best model to estimate DBH and BA growth. In case of the DBH growth model, precision was improved by adding altitude and mean annual rainfall. Moreover, in case of the BA growth model, precision was improved by adding mean annual rainfall. Meanwhile, it would be necessary for more precise model to add various factors, such as stand density, mortality, thinning ratio, and edaphic status along with regional and climatal factors.

Design Case on Data Collection System for the GreenHouse Horticultural Crops Growth Forecasting Model (시설 원예작물 생장예측모델을 위한 데이터 수집 시스템 설계사례)

  • Ahn, Sung-Chul;Kim, Hee-Sung;Kwon, Hye-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11a
    • /
    • pp.1212-1214
    • /
    • 2012
  • 생장예측모델이란 작물의 생장 시스템 내에서 일어나는 기작이나 생산과정을 수식으로 묘사하는 것이다. 신뢰성 있는 생장예측모델을 만들기 위해서는 생장과 관련된 대량의 데이터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IT와 농업을 융합한 시설 원예작물 생장예측모델을 위한 생장 및 생장환경 데이터 수집 시스템 설계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