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Key Trends in Smart Agriculture Policies and Their Geographical Implication

스마트농업의 주요 정책 동향과 지리적 시사점

  • Kim, Na-Ri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김나리 (전남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 Received : 2022.08.25
  • Published : 2022.09.30

Abstract

Smart agriculture has emerged to be a solution to the global food crisis and a new growth engine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spatiality of smart agriculture by analyzing smart agriculture policies in major countries and examining how major's agricultural knowledge and experience are expressed in specific agricultural environment. I selected China, Japan, the Netherlands, and the United States as representative examples. In the analysis of agricultural policy, the direction, governance and main areas and technologies were focused. As a result, it is found both standardization strategy and the localization strategy work at the same time. Standardization strategies decontextualize technologies and policies from the economic, social, cultural, and ecological contexts of region. The regionalization strategy builds a smart agricultural model for each country with reflecting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could be for facilitating further researches on geographies of agricultural technology and agricultural knowledge production.

글로벌 식량 위기의 해결책이자,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서 스마트농업이 등장하였다. 본 연구는 해외 주요국의 스마트농업 동향을 통해 각 국가의 농업 지식과 경험이 특정 농업 환경에서 어떻게 발현되는지 살펴봄으로써 스마트농업의 공간성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스마트농업 기술 수준에 따라 중국, 일본, 네덜란드, 미국을 대표적인 사례로 선정하여 각 국가 스마트농업 정책의 방향성, 거버넌스, 주력 분야와 기술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지역의 경제·사회·문화 및 생태적 맥락으로부터 탈맥락화 시키는 방향으로 작동하는 표준화 전략과 지리적 특성을 반영하여 각 국가별 스마트농업 모델을 구축하고자 하는 국지화 전략이 동시에 작동하며 각 국가의 정책과 기술을 형성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국가적 스케일에서 스마트 농업 정책과 현황을 살펴보는 시도로써 농업기술 지리 및 농업지식생산의 지리를 탐색하기 위한 연구의 토대로 활용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송희, 2019, "어그테크 국내외 시장 및 정책 동향," 소프트웨어 정책 연구소, 월간SW중심사회 2019년 9월호, pp.11-19.
  2. 김수경.이효정.김주희, 2019, "스마트농업, 다시 그리는 농업의 가치사슬," 삼정KPMG 경제연구원, Issue monitor 제119호.
  3. 김연중.한혜성, 2013, 식물공장의 전망과 정책 과제, KREI 농정포커스 제49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4. 김연중.박지연.박영구, 2017, 4차산업혁명에 대응한 스마트농업 발전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5. 김연중.박지연.박영구.이명기, 2018, "4차산업혁명에 대응한 농업혁신 전략," 2018 농업전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pp.233-258.
  6. 김연중.강창용.이명기.박지연.박영구.추성민, 2018,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농업.농촌 대응전략 연구(1/2차년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7. 김연중.서대석.박지연.추성민.김의준.문지혜, 2020, 스마트농업 육성 방안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8. 김유중, 2017, "농업의 4차 산업혁명, 다시 주목받는 정밀농업," ICT 융합 심층 리포트 2017-12, 정보통신산업진흥원.
  9. 남기포, 2021, "스마트농업의 현황과 농협의 역할," NH농협 조사연구 2020 겨울(제2호), 농협경제연구소, pp.63-105.
  10.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2020, 2020년 농림식품 기술수준평가.
  1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8, "중국 신유통의 특징과 향후 전망," KIEP 북경사무소 브리핑 20(5).
  12. 데이코산업연구소, 2014, 스마트팜, 식물공장 도시농업 실태와 전망.
  13. 민재홍.박주영, 2018, "스마트농업 기술 및 표준화 동향," 전자통신동향분석 33(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p.77-85. https://doi.org/10.22648/ETRI.2018.J.330209
  14. 박경철, 2018, "네덜란드 등 선진외국 농업 성장기반 과정, 한국 농업정책 적용 방안," 현안과제연구 2018. 10. 31., 충남연구원.
  15. 박지연.서대석.이정민, 2021, "농업의 미래, 디지털농업," 농업전망 2021, 한국농촌경제연구원, pp.163-187.
  16. 송주호, 2019, "세계 농업관련 주요 연구 동향," 세계농업 2019년 9월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pp.109-128.
  17. 야노경제연구소, 2021, 2021년판 스마트농업의 현황과 장래전망~생력화.고품질 생산을 실현하는 농업 IoT.정밀농업.농업로봇의 방향성.
  18. 유거송.여창민, 2021, "스마트농업," KISTEP 기술동향브리프 2021-03,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19. 유지은, 2016, "일본의 스마트농업," 세계농업 185, 한국농촌경제연구원, pp.1-21.
  20. 이정환, 2020, "(수정판)일본의 스마트농업 정책: 그 실태와 함의," 시선집중 GSnJ 273, GS&J Institue, pp.1-17.
  21. 이종원, 2017, "4차 산업혁명과 농업부문 해외 관련 기술 및 연구동향," 세계농업 202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pp.99-120.
  22. 이종원, 2016, "해외 스마트농업의 사례," 세계농업 185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pp.1-19.
  23. 이주량.박동배.임영훈.추수진.박은진.권규상.김병목.양한주, 2016, 농업과학기술 혁신체계의 진화와 선택: 국가 간 비교연구, 정책연구 2016-10,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4. 이주량.추수진.임영훈.박동배.심성철.김가은, 2018, 스마트농업 현장 착근을 위한 기술정책 제고방안, 정책연구 2018-10,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5. 이철우.김태연.이종호, 2009, "네덜란드 라흐닝언 식품산업 클러스터(푸드밸리)의 트리플 힐릭스 혁신체계,"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5(5), 554-571.
  26. 일본 농림수산성, 2015, Census of Agriculture and Forestry.
  27. 임영훈, 2017, 4차 산업혁명 대응 주요국 농업과학기술 정책동향, 세계농업 201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8. 임팩트, 2013, 농업IT융합시장 사업실태와 전망.
  29. 외교부, 2017, 중국개황 2017, 외교부 동북아시아국 동북아 2과.
  30. 장영주.김태우, 2019, "스마트팜 확산.보급 사업 현황과 과제-농업분야 ICT 융복합사업을 중심으로," NARS 현안분석 제95호, 국회입법조사처.
  31. 장칭칭, 2018, "중국 스마트 농업 발전 전략 고찰-[일대일로] 와 [중국제조 2025] 전략을 중심으로," 융합정보논문지 8(5), pp.251-261. https://doi.org/10.22156/CS4SMB.2018.8.5.251
  32. 전익호, 2014, "중국의 전자상거래 발전 현황 및 전망," 해외경제 포커스 2014(30), 한국은행, pp.1-15.
  33. 전형진.이명기.홍초운.박주언.李奇峰, 2019, 중국의 농업분야 4차 산업혁명 정책 및 시사점,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중국종합연구 협동연구총서, 대외경제정책연구원.
  34. 최병옥, 2008, "일본의 21세기 신농정 2008," 세계농업 94, 한국농촌경제연구원, pp.1-7.
  35. 최성천.김준기.옥소연, 2021. 통계로 본 세계 속의 한국농업, 한국농촌경제연구원.
  36.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2019a, 미국 스마트농업 및 IT시스템을 활용한 농작물 재배현황 및 관리, 2019년 해외 이슈조사 보고서.
  37.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2019b, 프랑스 EU 주요국, ICT에 기반한 디지털 농업 스마트팜, 2019년 해외 이슈조사 보고서.
  38.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7, "중국의 농업분야 빅데이터 전략 추진 동향과 시사점," 월간 중국농업 브리프, 2017. 8. pp.11-15.
  39. 허덕.최영경.이동현.이준엽.최희철, 2019, ICT 활용 축종별 스마트축사관리모델개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40. 홍성범.이주량.김기국, 2014, "중국의 식량안보와 농업기술혁신 추진전략," S&T Focus on China (1), pp.1-34.
  41. IRS Global, 2017, IoT 기반 스마트 농업.스마트팜 국내외 시장전망과 핵심기술 개발동향.
  42. CEMA, 2017, Digital Farming: what does it really mean?.
  43. European Commission, 2016, A strategic approach to EU agricultural research & innovation.
  44. Marketsandmarkets, 2020, Smart Agriculture Market by Agriculture Type(Precision Farming, Livestock, Aquacluture, Greenhouse), Hardware(GPS, Drones, Sensors, RFID, LED Grow Lights), Software, Services, Application, Farm Size, and Geography-Global Forecast to 2025.
  45. OECD, 2009, The bioeconomy to 2030: designing a policy agenda.
  46. 농림축산식품부 홈페이지 https://www.mafra.go.kr/mafra/2871/subview.do (최종열람일: 2022년 5월 30일).
  47. 농민신문, 2017, "최종목표는 농장의 모든 환경 원격자동제어," https://www.nongmin.com/news/NEWS/POL/ETC/21445/view (최종열람일: 2022년 6월 20일).
  48. 농민신문, 2020, "중국의 중앙 1호 문건 주제 '삼농'," https://www.nongmin.com/opinion/OPP/SWE/RPT/320082/view (최종열람일: 2022년 6월 20일).
  49. 뉴스핌, 2015, "중국 농업전자상거래 시장규모만 수백조원," https://m.newspim.com/news/view/20150407000232 (최종열람일: 2022년 6월 20일).
  50. 뉴스핌, 2019, "중국 농촌 들판에 허수아비 대신 AI, 5천년 전통농업 5G 기반 스마트 농업 탈바꿈," https://www.newspim.com/news/view/20190121000682 (최종열람일: 2022년 6월 20일).
  51. 스마트팜코리아 홈페이지, www.smartfarmkorea.net (최종열람일: 2022년 6월 30일).
  52. 환경부, 2022.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 기후변화 영향 및 적응에 관한 제6차 평가보고서(AR6, WG2) 승인 http://me.go.kr/home/web/board/read.do?pagerOffset=0&maxPageItems=10&maxIndexPages=10&searchKey=&searchValue=&menuId=10525&orgCd=&boardId=1511320&boardMasterId=1&boardCategoryId=&decorator=(최종열람일: 2022년 6월 2일).
  53. KOTRA, 2016, 중국 13.5 규획 발표, 주요 내용은,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https://news.kotra.or.kr/user/globalBbs/kotranews/3/globalBbsDataView.do?setIdx=242&dataIdx=149185(최종열람일: 2022년 6월 15일).
  54. KOTRA, 2018, 일본 스마트 농업 시장동향,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https://news.kotra.or.kr/user/globalAllBbs/kotranews/album/2/globalBbsDataAllView.do?dataIdx=163894&searchNationCd=101003) (최종열람일: 2022년 6월 15일).
  55. KOTRA, 2019, 중국농업, 이제는 '스마트팜'시대,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https://news.kotra.or.kr/user/globalBbs/kotranews/782/globalBbsDataView.do?setIdx=243&dataIdx=173886(최종열람일: 2022년 6월 15일).
  56. KOTRA , 2021. 미국 농업용 드론 시장 동향,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https://dream.kotra.or.kr/kotranews/cms/news/actionKotraBoard Detail.do? SITE_NO=3&MENU_ID=430&CONTENTS_NO=1&bbsSn=254&pNttSn=188482(최종열람일: 2022년 6월 15일).
  57. The Food US 홈페이지, www.thefood-us.com (최종열람일: 2022년 6월 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