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농약잔류량

Search Result 427,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농약과 잔류성III - 토양중의 농약잔류(하) - 잔류성 지배요인은 무엇인가

  • 이해근
    • The Bimonthly Magazine for Agrochemicals and Plant Protection
    • /
    • v.9 no.2
    • /
    • pp.32-38
    • /
    • 1988
  • 농약을 매년 사용하게 되면 토양 중의 농약잔류량은 계속 증가할 것으로 생각되기 쉬우나, 실제로 토양중 농약잔류량은 지수 함수적으로 감소하기 때문에 매년 계속해서 사용하더라도 몇 년 후에는 평형상태에 도달하여 그 이상은 증가하지 않기 때문이다.

  • PDF

Changes of pesticide residues in bagged pear and bagging paper during the field and storage (재배 및 저장기간 중 유대재배 배의 농약잔류량 변화)

  • Ihm, Yang-Bin;Kyung, Kee-Sung;Park, Young-Sup;Lee, Hee-Dong;Kim, Jin-Bae;Im, Gun-Jae;Ryu, Gab-Hee
    •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 /
    • v.6 no.4
    • /
    • pp.293-299
    • /
    • 2002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lucidate the effects of fruit bagging on the amounts of pesticide residues on/in pears with two pesticides, chlorpyrifos 25% WP, and penconazole 5% WP, and two pear cultivars, Niitaka and Hwangeum-bae. Residues of chlorpyrifos and penconazole in bagged pears were only $0.4{\sim}27%$ of those in non-bagged one. Residues of both pesticides in bagged and non-bagged pears were steeply reduced in the field but slowly reduced during storage. Residues of chlorpyrifos were more in the peel than in the flesh, while penconazole in bagged pear was evenly distributed in the peel and flesh. Chlorpyrifos was evenly distributed in outer bag and inner bag irrespective of bag materials, while most of penconazole was found in outer bag rather than in inner bag. To produce safer pear from pesticide residues, removal of bag before storage is recommended.

일본의 농산물중 농약잔류 실태

  • 한국식품공업협회
    • Food Industry
    • /
    • s.121
    • /
    • pp.78-90
    • /
    • 1993
  • 최근, 수입농산물의 증가에 따라, 일본내에서는 사용되지 않는 농약과 일본에는 없는 사용형태인 수확후 사용되는 농약(post-harvest농약)에 특별히 높은 관심이 더해지게 되었다. 특히 수확후에 사용되는 post-harvest 농약은, 잔류량이 많아 사람의 건강을 해칠 위험이 있는 화학물질로 문제되는 일이 많은데 그 원인의 하나로서, 농산물중 농약의 잔류실태가 명확치 않은 것을 들 수 있다. 농약의 유무는 외견상으로는 전혀 판단할 수 없다. 일반적으로 농약을 사용하여 재배한 작물에도, 농약이 잔류해 있다고는 한정짓지 않는다. 전답에서 사용된 농약은, 환경중에서 또는 식물체내에서 분해되어 소비자에게 판매되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농약의 잔류는 검사를 하고서야 판명된다. 시판 농산물에는 어떠한 농약이 어느정도 잔류해 있는 것인가? 여기에서는 1991년도 검사한 결과를 중심으로 농약의 잔류실태에 대해서 서술하고자 한다.

  • PDF

Estimate of pesticide residues in tomato varieties using ratio of surface area to weight (비표면적을 이용한 토마토의 과종별 농약 잔류량 예측)

  • Kwon, Hye-Young;Kim, Jin-Bae;Lee, Hee-Dong;Ihm, Yang-Bin;Kyung, Kee-Sung;Park, In-Hee;Choi, Jung
    •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 /
    • v.8 no.1
    • /
    • pp.30-37
    • /
    • 2004
  • This study estimated the correlation between surface area/weight ratios and pesticide residues in two varieties of tomato, mini tomato and tomato. The ratios of surface area/weight of mini tomato and tomato were $2.15cm^2g^{-1}$ and $1.00cm^2g^{-1}$ respectively. Pesticide residues were measured with four kinds of pesticide, chlorothalonil WP, chlorothalonil SC, oxadixyl WP, thiophanate-methyl WP. Ie residue amount of mini tomato was $1.4\sim2.4$ times higher than those in tomato regardless of the application date and frequency. The ratios of surface area/weight on tomato varieties played a key role for determining pesticide residue.

Study on the Pesticide Residues in Peaches in Chonnam province (전남지역 복숭아중의 농약잔류에 관한 조사 연구)

  • 김영국;오금순;송병준;박종태;김순천;박재홍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 /
    • v.7 no.1
    • /
    • pp.23-28
    • /
    • 1992
  • 전남지방의 주요 재배단제에서 채취한 총 16종의 복숭아들에 대한 농약 잔류량 조사하였으며, 이들 복숭아를 수세 및 탈피 그리고 저장하였을 때의 농약 잔류량의 변화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총 24종의 조사대상 농약중 TPN(Chlotothalonil) 및 Diazinon 그리고 Fenitrothion만이 3지점의 시료에서 검출되었으며 그 잔류량은 보사부에서 설정한 잔류허용기준(Maximum Residue Limits : MRL)에 크게 미달되는 수준이었다. 그러나 이들 시료들을 수세 및 탈피하지 않고 분석한 결과 TPN의 우 MRL을 훨씬 초과한 양이 검출되었는데, Diazinon은 MRL에는 미치니 못하였지만 수세 및 탈피한 시료들보다 높은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수세에 의한 복숭아중의 잔류농약의 경감효과는 TPN의 경우 63.4~66.4% 이었으며 Diazinon은 거의100% 수준이었다. 한편 탈피에 의한 잔류농약의 경감효과는 TPN 및 Diazinon 모두에서 대부분 제거되어 수세에 의한 경감보다도 훨씬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시료를 2주간 저장한 후 복숭아를 수세나 탈피를 하지 않거나 수세만 하여도 TPN과 Diazinon이 대부분 제거되며, 탈피를 한 경우는 별로 차이가 없었다.

  • PDF

Investigation of Pesticide Residues in Fruits and Vegetables (과채류(果菜類) 중(中) 농약잔류(農藥殘留) 수준조사연구(水準調査硏究))

  • Rhu, H.I.;Suh, Y.S.;Kim, I.K.;Kim, H.Y.;Jun, S.H.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 /
    • v.6 no.1
    • /
    • pp.61-66
    • /
    • 1987
  • 1. In the vegetable crops, only MEP and Malathion showed a litte higher positive rate than other pesticides in general. On the other hand, parathion and captan were not detectable at all. 2. In the fruits, pesticides, MEP, PAP and Parathion had a little high positive rate, and Diazinon, and captan were not detectable at all. 3. However, the detected values of the pesticides in the vegetables and fruits were far below from korean tolerances and internationally recommended limits and tolerances, showing only $\frac{1}{3}{\sim}\frac{1}{66}$ and $\frac{1}{8}{\sim}\frac{1}{500}$ of Korean tolerance in vegetables and fruits, respectively.

  • PDF

농약잔류허용기준? 안전사용기준?

  • Kim, Jeong-Han
    • Life and Agrochemicals
    • /
    • v.26 no.10 s.213
    • /
    • pp.22-24
    • /
    • 2005
  • “시중 채소류 잔류농약 범벅”신문이나 TV에 자주 등장하는 낯익은(?) 제목이다. 그리고는“조사대상 농산물 중 OO% 허용기준치초과. 최고 OO배에 달해, 사용이 금지된 농약도 나와, 잔류농약은 식품과 함께 일생동안 섭취되기 때문에 만성중독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같은 내용이 그 뒤를 잇는다. “일생동안 섭취”문제는 이미 지난 10월호에서“1일 섭취허용량” 을 다루었기 때문에 이해가 된다. 하지만 식생활을 하면서 농약 섭취가 1일섭취허용량 이하로 되도록 하려면 식품에 농약이 어느 정도까지 있어야 안전한가?”가 의문이다. 그 허용기준이 농산물(식품) 중“농약잔류허용기준”이다. 이는 보통“기준치, 허용치, 허용기준, 허용기준치, 잔류허용기준”등으로 불리우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