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농도변화

Search Result 10,505, Processing Time 0.049 seconds

암반대수층에서 양수조건에 따른 세레늄 농도변화의 현장사례 연구

  • Son Ju-Hyeong;Jeong Sang-Yong;Gang Dong-Hwan;Sin Hyeon-Chae;Jeong Yong-J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6.04a
    • /
    • pp.255-258
    • /
    • 2006
  • 인위적인 오염원이 존재하지 않는 농촌지역 지하수공에서 검출빈도가 매우 낮은 세레늄 성분에 대하여 양수조건에 따른 세레늄의 농도변화를 연구하였다. 양수에 따른 세레늄 농도변화의 연구는 현장지하수 수질이 지하수 먹는물 수질기준보다. 높은 2개의 지하수공에서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세레늄 성분이 먹는물 수질기준을 초과한 지하수공의 지속적인 이용여부를 판단하였다. 또한, 양수시험공 주변의 세레늄 농도를 측정하여 배경농도를 파악하였으며, 시험공 내에서 구간별 채수를 수행하여 세레늄 성분이 산출되는 주대수층 구간을 파악하였다. 양수조건에 따른 세레늄의 농도변화를 연구하기 위한 방법은 하루 8시간을 기준으로 양수하는 단기적인 방법과, $4,950m^3$을 594시간 동안 장기양수하면서 농도변화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지하수 내 세레늄 성분의 농도변화는 장기양수에 의해 변화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토양 특성에 따른 Trichloroethylene (TCE:) 흡착능 비교

  • 정현정;이민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2.09a
    • /
    • pp.362-365
    • /
    • 2002
  •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따른 토양의 유기오염물 흡착능 변화를 규명하기 위하여, 토양 내 clay 함량 및 유기물 함량변화, 수용액 내 TCE 농도변화에 따른 TCE 의 토양내 흡착량 변화를 측정하였다. 수용액의 pH와 실내온도는 일정하게 유지시켰으며 clay는 표면적이 다른 Ca-montmorillonite, Na-montmorillonite, kaolin을 이용하였고, 유기물질로는 활성탄을 사용하였다. 일정한 토양성분과 실제토양에 대해 수용액 내 TCE의 농도를 변화시켜 농도변화에 따른 흡착량 변화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유기물과 점토함량의 증가에 따라 흡착량은 모두 증가하였으나 활성탄에 의한 TCE 흡착량이 점토에 비해 매우 높았으므로 유기물에 의한 TCE 흡착영향이 점토에 의한 흡착 영향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TCE 농도변화에 따른 흡착결과는 실제토양과 모사토양에서 모두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흡착 증가율이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Langmuir isotherm 형태를 보여 주었다.

  • PDF

Relationship between Clozapine-Induced Therapeutic Responses and Plasma Homovanillic Acid and 5-Hydroxyindoleacetic Acid Levels in Patients with Chronic Schizophrenia (만성 정신분열증 환자에서 Clozapine의 치료반응과 혈장 Homovanillic Acid 및 5-Hydroxyindoleacetic Acid 농도와의 관계)

  • Kim, Chan-Hyung;Lee, Hong Shick;Kim, Kwang Hyeon;Yoo, Kae Joon
    • Korean Journal of Biological Psychiatry
    • /
    • v.4 no.1
    • /
    • pp.84-94
    • /
    • 1997
  • This study was done to examine changes of plasma homovanillic acid(HVA), 5-hydroxyindoleacetic acid(5-HIAA), and HVA/5-HIAA ratio during an 8-week clozapine trial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lasma monoamine metabolites and treatment responses. Twenty-seven chronic schizophrenic patiens were treated for 8 weeks with clozapine. The psychopathology was assessed at baseline just clozapine trial and then every 2 weeks until the end of 8-week clozapine treatment using the 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PANSS) and the Clinical Global Impression scale(CGI). The plasma HVA and 5-HIAA levels were measured also biweekly using high pre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electrochemical detection method. Plasma HVA and 5-HIAA level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during a 8-week clozapine treatment, although plasma HVA/5-HIAA ratio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The changes of plasma HVA levels were in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e changes of PANSS positive scores, of general psychophathology scores, and changes of total socres. The changes of plasma 5-HIAA levels were in signfificant correlations with the changes of PANSS negative scores. But the changes of plasma HVA/5-HIAA ratio ha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ny PANSS subscale score changes. 48% of the patients treated with clozapine was categorized as responders, who showed at least a 20% decrease in PANSS total socre and a CGI severity score of mildly ill or less(${\leq}3$) at the end pint of the study. The baseline plasma HVA levels and HVA/5-HIAA ratio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responders(N=13) than in nonresponders (N=14).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aseline levels of plasma 5-HIAA was found between responders and nonresponders. At the end point of the stud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ange of plasma HVA between responders(40.3% decrement) and nonresponders(3.1% increment). But no signficant differences in the change of plasma 5-HIAA and the change of plasma HVA/5-HIAA ratio between responders and nonresponders were observ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ntipsychotic effect of clozapine on positive symptoms may be associated with dopaminergic blocking activity, and that on negative symptoms may be associated with serotonergic blocking activity. The baseline plasma HVA levels and the change of HVA levels from baseline may be useful predictors of treatment response with clozapine.

  • PDF

Changes in Drug Elution Concentration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Soft Contact Lenses Depending on the Initiator and Crosslinker (개시제와 교차결합제 농도의 변화에 따른 소프트콘택트렌즈의 물리적 성질과 약물용출 농도의 변화)

  • Park, Hyun-Ju;Lee, Hyun Mee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 /
    • v.19 no.2
    • /
    • pp.145-151
    • /
    • 2014
  • Purpose: The material properties of contact lenses were measured by varying the amounts of an initiator and a cross-linking agent that are the basis for the manufacture of contact lenses, and the drug delivery effects depending on the material properties of contact lenses were compared. Methods: Contact lens samples were manufactured using HEMA by varying the concentration of the cross-linking agent and the initiator.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physical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material properties,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on the amount of drug elution, water content, refractive index, and the amount of protein adsorption were compared. Results: For the contact lenses manufactured by varying the amount of the initiator, the water content hardly changed, and the refractive index also hardly changed. The amount of drug elution was not much affected by the changes in the initiator, but the amount of elution increased as the water content increased. The amount of protein adsorption was hardly affected by the changes in the initiator, but the amount of adsorption increased as the water content decreased. Conclusions: The changes in the properties were hardly affected by the changes in the amount of the initiator, but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changes in the amount of the cross-linking agent. As the amount of the cross-linking agent increased, the water content decreased, while the refractive index increased. Also, when the water content increased, the amount of drug elution increased, while the amount of protein adsorption decreased.

Analysis of Drain Induced Barrier Lowering of Asymmetric Double Gate MOSFET for Channel Doping Concentration (비대칭 DGMOSFET의 채널도핑농도에 따른 드레인 유도 장벽 감소현상 분석)

  • Jung, Hakkee;Kwon, Ohsh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5.10a
    • /
    • pp.858-86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비대칭 이중게이트 MOSFET의 채널 내 도핑농도에 대한 드레인 유도 장벽 감소 현상에 대하여 분석하고자한다. 드레인 유도 장벽 감소 현상은 드레인 전압에 의하여 소스 측 전위장벽이 낮아지는 효과로서 중요한 단채널 효과이다. 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포아송방정식을 이용하여 해석학적 전위분포를 구하였으며 전위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채널도핑 농도뿐만이 아니라 상하단 산화막 두께, 하단 게이트 전압 등에 대하여 드레인 유도 장벽 감소 현상을 관찰하였다. 결과적으로 드레인 유도 장벽 감소 현상은 채널도핑 농도에 따라 큰 변화를 나타냈다. 단채널 효과 때문에 채널길이가 짧아지면 도핑농도에 따른 영향이 증가하였다. 도핑농도에 대한 드레인유도장벽감소 현상의 변화는 상하단 산화막 두께에 따라 큰 변화를 보였으며 산화막 두께가 증가할수록 도핑농도에 따른 변화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하단게이트 전압은 그 크기에 따라 도핑농도의 영향이 변화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Reponse of Hydrogen Fermentation to Variation of Iron (철 농도 변화에 대한 수소발효의 반응)

  • 이영준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 /
    • v.27 no.1
    • /
    • pp.119-123
    • /
    • 2001
  • 철 농도변화에 따른 대사산물 생성에 대한 반응은 중온조건에서 회분식 실험으로 수해하였다. 철의 농도가 40mg/$\ell$까지는 철 농도의 증가에 따라 수소생성율도 증가하였다. acetate 생성율은 철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Butyrate, ethanol 및 butanol은 각각 철 농도가 200,200 및 400mg/$\ell$에서 최대 생성율을 나타내었다. 철의 농도가 200mg/$\ell$이상의 농도엘 때에 propionate, i-butyrate 및 valerate 생성율이 철의 농도가 200mg/$\ell$ 이하의 경우 보다 낮았다. 미생물농도의 경우 철 농도가 300mg/$\ell$까지는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미생물농도도 증가하였다.

  • PDF

EFDC-WASP을 이용한 낙동강 살리기 사업에 따른 수질 변화 예측 모델링

  • Seo, Dong-Il;Kim, Min-Ae
    • Water for future
    • /
    • v.44 no.3
    • /
    • pp.24-31
    • /
    • 2011
  • 본 연구는 낙동강의 4대강 살리기 사업에 의한 수질 변화를 예측하기 위하여 미국환경부에서 사용하는 3차원 수리동역학 모델 EFDC와 수질모델 WASP7을 연계 하는 방법을 택하였다. 수질모의결과, 사업에 의하여 전반적으로 BOD5 농도는 다소 감소하고 TN과 TP 농도는 거의 유사한 수준을 나타내었다. BOD5 농도의 감소는 체류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유기물의 산화 또는 분해에 제공되는 시간이 증가되어 나타난 영향으로 분석된다. TN과 TP는 침강 또는 식물의 흡수 등에 의해 수체에서 제거되나 사업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Chl-a 농도는 금호강이 유입되기 전 상류에서는 사업에 의해 심각한 수준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금호강 유입 이후 이러한 증가 경향은 상당 부분 둔화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낙동강 하구언부근에서는 사업으로 인하여 Chl-a 농도가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Chl-a 농도의 변화는 TN 및 TP 농도가 사업에 의해 전반적으로 크게 차이가 나지 않음에 따라 영양염류의 농도변화에 의한 영향은 크게 작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며, 보 건설에 의한 체류시간의 증가와 준설 또는 수심의 증가에 따른 광량의 감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에 의한 것으로 분석된다.

  • PDF

도핑 농도의 변화에 따른 MOSFET Total current 특성변화

  • Lee, Jin-Seong
    • Proceeding of EDISON Challenge
    • /
    • 2017.03a
    • /
    • pp.487-489
    • /
    • 2017
  • Source와 Drain 부분에 도핑의 농도를 변화시킴으로써 MOSFET의 내부의 Total current의 변화의 경향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Simple한 MOSFET 구조를 설계를 한 뒤 gate 부분에 전압을 주어 측정을 하였으며, 그 결과 Source, Drain의 도핑농도가 증가 될 수록 Total current의 변화하는 정도가 커짐을 알 수 있다.

  • PDF

농도차발전

  • 일색상차
    • 전기의세계
    • /
    • v.27 no.5
    • /
    • pp.13-17
    • /
    • 1978
  • 물에 떨어진 한 방울의 짙은 잉크는 넓게 퍼져서 되돌아오지 않는 것과 같이 짙은 용질은 항상 기회만 있으면 엷게 될려고 한다. 이 기능은 물리학적인 포텐셜로 설명할 수 있으며 농도변화는 엔트러피의 변화와 더불어 발열, 흡열 및 기타 에너지의 출력을 동반하고 있다. 금번 동경공업대학의 일색상차박사는 농도변화에 따르는 에너지의 출입으로서 동력발생의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고찰하였다. 특히 농도가 짙은 중성감수용액은 증기를 흡수, 발열하면서 엷게 될 때의 열에너지로서 동역을 발생시키는 간단한 엔진시스팀에 성공하였는데 이것을 감수엔진차라고 명명하였다. 또한 이것을 각종 에너지나 폐열 등에 활용할 수 있는 에너지시스팀으로 제안하였다.

  • PDF

Follicular Lactate Dehydrogenase Activity and Steroid Concentrations in the Immature Gilt Ovary (미성숙 돼지 난포 내 Lactate Dehydrogenase 활성도 및 동일 난포액 내 스테로이드호르몬의 농도변화)

  • Lee, Chang Joo;Yoon, Yong-Dal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v.32 no.3
    • /
    • pp.199-206
    • /
    • 2005
  • 연구목적: 난포가 폐쇄되는 동안의 생화학적 변화를 규명하기 위하여 미성숙 돼지의 정상 및 폐쇄 난포 내 lactate dehydrogenase (LDH) 활성도 변화 및 동일 난포액 내 스테로이드호르몬의 농도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재료 및 방법: 난포액 (FF), 과립세포 (GC), 협막세포 (TC) 내 LDH의 활성도를 측정하였으며, 난포액 내 progesterone ($P_4$), testosterone (T), estradiol ($E_2$)의 농도변화를 방사면역측정법으로 정량하였다. 결 과: 정상 및 폐쇄 난포에서 $P_4$의 농도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폐쇄 난포액 내 T의 농도($3.85{\pm}1.50ng/ml$)는 정상 난포 ($1.29{\pm}0.54ng/ml$)에 비해 현저히 높았으며 정상 난포 내 $E_2$의 농도 ($43.29{\pm}19.51ng/ml$) 는 폐쇄 난포 ($18.82{\pm}7.27ng/ml$)에 비해 현저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상 난포액 내 $P_4$의 농도는 난포의 크기에 정의 상관관계 (r=0.75)를 보였다. 정상 난포 내 T:$P_4$의 비율 ($8.14{\pm}3.35$)은 폐쇄 난포 ($1.39{\pm}0.60$)에 비해 현저히 높았으며, 정상 TC ($433.63{\pm}102.40{\mu}U/{\mu}g$ DNA) 및 FF ($246.86{\pm}58.96{\mu}U/{\mu}l$) 내 LDH 활성도는 폐쇄 난포 (각각 $83.7{\pm}10.5$$38.71{\pm}9.00$)에 비해 현저히 높게 나타났다. 정상 난포의 GC 및 FF 내 LDH 활성도는 $E_2$의 농도와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지만, 폐쇄 난포의 TC 내 LDH 활성도는 $P_4$, T, $E_2$의 농도에 대해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결 론: 본 실험의 결과, 미성숙 돼지 난포의 폐쇄는 TC 내 LDH 활성도 감소와 밀접한 관계를 갖는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