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농가 하우스

Search Result 109,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근교화훼농업의 현황 및 전망과 방제시 문제점

  • 김득래
    • The Bimonthly Magazine for Agrochemicals and Plant Protection
    • /
    • v.4 no.9
    • /
    • pp.14-18
    • /
    • 1983
  • 서울 근교의 화훼 농업은 단적으로 말해서 영세성(零細性)을 면치 못한 실정이다. 아직까지 자기 땅을 가지고 농사를 짓는 것이 아니라 대부분의 화훼 농가들은 차지농 형태의 경영으로 말미암아 시설을 제대로 갖추지 못한 간이 하우스에서 꽃을 재배하기 때문에 질이 높은 상품을 생산하지 못하고 저질의 값이 싼 상품을 생산할 뿐만 아니라 한 하우스에서도 재배온도 환경이 다른 것을 소위 만물상(萬物商)식의 많은 종류의 꽃을 재배하기 때문에 병충해의 발생이 많고 방제에도 상당히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모든 것을 개선하기 위하여 정부에서는 하우스 시설개선, 토양 소독기, 환경개선 자금을 저리로 융자하여 보다 근대화된 하우스에서 양질의 꽃을 생산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 PDF

Structural Design of Plastic Greenhouse for Prevention of Meteorological Disaster (기상재해방지를 위한 플라스틱하우스의 구조설계)

  • 이현우;이석건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1995.04a
    • /
    • pp.39-42
    • /
    • 1995
  • 최근 재배면적, 생산량 및 농가 소득면에서 시설재배의 비중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며, 그 규모도 확대되어 재배작물별 단지화 경향이 현저해 지고 있다. 이와 함께 재배 및 관리기술은 체계적인 발전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나 터널재배용 하우스구조의 경제적인 설계에 관한 구체적인 연구자료는 미비하여 하우스의 설치가 관행과 모방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자재의 낭비는 물론 폭설이나 강풍 등 기상재해로 인한 하우스의 파손으로 막대한 피해가 예상되는 바 이에 관한 적극적인 연구가 절실하게 요청된다. (중략)

  • PDF

Comparison of the Fruit Qualities,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Mangiferin Content of the Mango, cv. Irwin Cultivated in Jeju and Okinawa (제주와 오키나와에서 재배된 망고 'Irwin' 과실의 품질, 활성산소 소거활성 및 망기페린(mangiferin) 함량 비교)

  • Han, Sang-Heon;Kim, Ju-sung;Teruya, Toshiaki;Teruya, Yuto;Moromizato, Isshin;Lim, Chan-Kyu
    •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 /
    • v.34 no.4
    • /
    • pp.634-643
    • /
    • 2016
  • In this study, we compare the quality of the mango cv. Irwin cultivated in Jeju and Okinawa by evaluating the total soluble solids (TSS) and antioxidant activity (AA) from ethanol extracts of the fruit. TSS and AA were higher in fruit cultivated at the Research Institute of Climate Change and Agriculture in Jeju (RICA) and Okinawa farm, where the low tree height cultivation method is used, than in fruit cultivated on farm in Jeju. Also, the mangiferin content of the Okinawa farm was higher than those produced on the RICA and Jeju farm hous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lowering tree height cultivation method improves the quality of the mango cv. Irwin.

Monitoring of Working Environment Exposed to Particulate Matter in Greenhouse for Cultivating Flower and Fruit (과수 및 화훼 시설하우스 내 작업자의 미세먼지 노출현황 모니터링)

  • Seo, Hyo-Jae;Kim, Hyo-Cher;Seo, Il-Hwan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31 no.2
    • /
    • pp.79-89
    • /
    • 2022
  • With the wide use of greenhouses, the working hours have been increasing inside the greenhouse for workers. In the closed ventilated greenhouse, the internal environment has less affected to external weather during making a suitable temperature for crop growth. Greenhouse workers are exposed to organic dust including soil dust, pollen, pesticide residues, microorganisms during tillage process, soil grading, fertilizing, and harvesting operations. Therefore, the health status and working environment exposed to workers should be considered inside the greenhouse. It is necessary to secure basic data on particulate matter (PM) concentrations in order to set up dust reduction and health safety plans. To understand the PM concentration of working environment in greenhouse, the PM concnentrations were monitored in the cut-rose and Hallabong greenhouses in terms of PM size, working type, and working period. Compare to no-work (move) period, a significant increase in PM concentration was found during tillage operation in Hallabong greenhouse by 4.94 times on TSP (total suspended particle), 2.71 times on PM-10 (particle size of 10 ㎛ or larger), and 1.53 times on PM-2.5, respectively. During pruning operation in cut-rose greenhouse, TSP concentration was 7.4 times higher and PM-10 concentration was 3.2 times higher than during no-work period. As a result of analysis of PM contribution ratio by particle sizes, it was shown that PM-10 constitute the largest percentag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M concentration between work and no-work periods, and the concentration of PM during work was significant higher (p < 0.001). It was found that workers were generally exposed to a high level of dust concentration from 2.5 ㎛ to 35.15 ㎛ during tillage operation.

Design of Uninterrupted House Management Application Based on IoT Sensor (IoT 센서 기반 무인 하우스 관리 어플리케이션 설계)

  • Jung, Dong-Hun;Jang, Si-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8.05a
    • /
    • pp.235-237
    • /
    • 2018
  • 최근 IoT 센서 즉, 사물 인터넷 기반 기술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으며, 다양한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홈 IoT 제품으로 가정에서 인터넷과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가스 밸브, 보일러, 전등 등을 제어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하지만, 농업분야에서는 농작물 생산지의 환경 정보를 수집하고, 그에 맞춰 온습도 등을 제어하기 위해 관리자 혹은 생산자가 수동적으로 처리해야만 하는 단점이 존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비닐하우스와 축산농가 등에서 사용할 수 있는 IoT 센서 기반 무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설계하고자 한다. 사용자가 비닐하우스 혹은 축산농가에 들어가지 않아도 사용자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모니터링 하면서 온습도를 조절하고, 센서의 고장 유무를 파악하여 교체시기를 알려 주는 등의 기능을 포함 한다.

  • PDF

Quantification of the Distribution of the Internal Lesions of Sweet Potatoes Over Storage Periods (저장 기간에 따른 고구마 내부 병변의 분포 정량화)

  • Ji-Woo Jung;Dong-Il Lee;Seong-Young Choi;Roshanzadeh Amir;Eung-Sam Kim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12a
    • /
    • pp.66-66
    • /
    • 2020
  • 쌈채소나 산나물로 알려진 곤달비(Ligularia stenocephala)의 종자나 종묘는 시장 거래가격이 높게 형성되어 재배농가의 경영비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또한, 곤달비의 종자는 대개 농가 자가 채종으로 생산되며, 채종재배에 대한 체계가 정립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시험은 곤달비의 우량종자 생산을 위한 종자결실률 향상 재배조건과 채종적기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전북 남원시 허브산채시험장에서 2018년 10월에 2년생 곤달비 종묘를 포장에 정식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적정 채종 재배조건을 구명하기 위해 2019년 노지, 하우스, 55% 차광막을 설치한 노지포장에서 곤달비의 개화시기, 개화율, 생육특성, 결실률 등을 조사하였다. 더불어 채종적기를 설정하기 위해서 곤달비 개화 후 50일~100일 동안 7일 간격으로 채종하여 결실률, 채종량, 종자 발아율을 조사하였다. 곤달비의 개화는 하우스재배, 노지재배의 경우 7월 하순, 차광재배는 8월 초순 개화가 시작되었으며, 개화 최성기도 하우스재배와 노지재배가 차광재배와 비교해 15일 정도 일렀다. 하지만 개화 종료 시기는 노지재배가 가장 빨랐으며 하우스재배가 가장 늦었다. 개화율은 하우스재배, 차광재배, 노지재배 순으로 높았다. 개화기 생육특성는 차광재배일 때 초장과 화경장이 가장 컸으며, 화서수와 자방수는 하우스재배가 타 재배방법에 비해 다소 많았다. 곤달비 재배방법에 따른 결실률은 차광재배가 70.1%, 노지재배가 21.9%, 하우스재배가 15.8%이었으며, 채종량은 차광재배의 경우 10a당 39.6kg, 노지재배 4.9kg, 하우스재배 4.6kg이었다. 백립중과 종자길이, 종자너비 또한 차광재배가 타 재배방법에 비해 양호하였다. 채종시기에 따른 결실률은 채종시기가 늦어질수록 높은 값을 가졌으나, 화경당 채종량은 개화 후 70일에 85일 사이에 가장 많았다. 발아율은 노지재배의 경우 개화 후 70일 이후부터 90% 이상으로 높은 발아율을 보였고, 차광재배는 개화 후 65일부터 95% 이상의 발아율을 나타냈으나 하우스재배의 경우에는 개화 후 80일 이후부터 85% 이상으로 발아율이 양호하였다. 따라서 곤달비의 우량종자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55% 차광막을 설치한 노지에서 재배하여 개화 후 65일 이후부터 종자가 비산하기 전까지 채종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 PDF

Optimum Culture Condition and Seed Harvesting Time For the Superior Seed Production in Ligularia stenocephala (곤달비 우량종자 생산을 위한 적정재배 조건 및 채종시기)

  • Song Hee Ahn;Jung Seob Moon;Gue-Saeng Yeom;Jin Ho Yang;Min Sil Ah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08a
    • /
    • pp.66-66
    • /
    • 2020
  • 쌈채소나 산나물로 알려진 곤달비(Ligularia stenocephala)의 종자나 종묘는 시장 거래가격이 높게 형성되어 재배농가의 경영비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또한, 곤달비의 종자는 대개 농가 자가 채종으로 생산되며, 채종재배에 대한 체계가 정립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시험은 곤달비의 우량종자 생산을 위한 종자결실률 향상 재배조건과 채종적기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전북 남원시 허브산채시험장에서 2018년 10월에 2년생 곤달비 종묘를 포장에 정식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적정 채종 재배조건을 구명하기 위해 2019년 노지, 하우스, 55% 차광막을 설치한 노지포장에서 곤달비의 개화시기, 개화율, 생육특성, 결실률 등을 조사하였다. 더불어 채종적기를 설정하기 위해서 곤달비 개화 후 50일~100일 동안 7일 간격으로 채종하여 결실률, 채종량, 종자 발아율을 조사하였다. 곤달비의 개화는 하우스재배, 노지재배의 경우 7월 하순, 차광재배는 8월 초순 개화가 시작되었으며, 개화 최성기도 하우스재배와 노지재배가 차광재배와 비교해 15일 정도 일렀다. 하지만 개화 종료 시기는 노지재배가 가장 빨랐으며 하우스재배가 가장 늦었다. 개화율은 하우스재배, 차광재배, 노지재배 순으로 높았다. 개화기 생육특성는 차광재배일 때 초장과 화경장이 가장 컸으며, 화서수와 자방수는 하우스재배가 타 재배방법에 비해 다소 많았다. 곤달비 재배방법에 따른 결실률은 차광재배가 70.1%, 노지재배가 21.9%, 하우스재배가 15.8%이었으며, 채종량은 차광재배의 경우 10a당 39.6kg, 노지재배 4.9kg, 하우스재배 4.6kg이었다. 백립중과 종자길이, 종자너비 또한 차광재배가 타 재배방법에 비해 양호하였다. 채종시기에 따른 결실률은 채종시기가 늦어질수록 높은 값을 가졌으나, 화경당 채종량은 개화 후 70일에 85일 사이에 가장 많았다. 발아율은 노지재배의 경우 개화 후 70일 이후부터 90% 이상으로 높은 발아율을 보였고, 차광재배는 개화 후 65일부터 95% 이상의 발아율을 나타냈으나 하우스재배의 경우에는 개화 후 80일 이후부터 85% 이상으로 발아율이 양호하였다. 따라서 곤달비의 우량종자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55% 차광막을 설치한 노지에서 재배하여 개화 후 65일 이후부터 종자가 비산하기 전까지 채종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 PDF

A Technology of Greenhouse Management System based on USN (USN 기반의 그린하우스 관리 기술)

  • Rhee, Inbaum;Jeon, Byeong-chan;An, Young-chang;Lee, Jong-kyo;Bae, Tae-hyun;Park, Ju-hee;Ryu, Dae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11a
    • /
    • pp.1162-1165
    • /
    • 2011
  • 본 연구는 그린하우스 내의 환경 정보를 원격 감시 및 제어함으로써, 재배의 편리성을 확보하는 한편, 수집된 정보에 대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작물 재배의 최적 환경을 도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2연동 그린하우스 제작하여, 그린하우스를 내에 여러 종류의 센서와 카메라를 장착하였으며, 이를 통해서 감지되는 정보를 원격에서 수집, 자료화 하였다. 사용자 편의를 위하여 웹페이지를 개설, 실시간으로 정보의 검색과 제어가 가능하게 하였으며, 모바일에서도 일부 기능 구사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정보의 수집과 전달, 사용자에 의한 그린하우스 환경제어와 관련한 모든 기능에 대한 안정성을 장시간 현장시험을 통해서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이 시스템은 그린하우스를 설치하여 작물을 재배하는 농가에 편리를 제공하여 시간적, 공간적 제약에서 많은 융통을 부여할 것이다. 또한 공장, 사무실, 가정 등 유사한 환경 시설에 대해서 확대 적용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Occurrence and Control of Downy Mildew of Netted Melon in Chonnam Province (전남지역 온실멜론의 노균병 발생 및 방제 실태)

  • 고영진;안미연;서정규
    • Korean Journal Plant Pathology
    • /
    • v.12 no.4
    • /
    • pp.459-462
    • /
    • 1996
  • 예년과는 달리 6월 중순부터 7월 중순까지 낮은 기온과 잦은 강우로 인한 음습한 날씨가 지속되었던 전남지방의 온실멜론에서 노균병이 격발하였다. 올해 전남지역에서 심하게 발생한 노균병의 병징은 다각형의 모무늬 외에도 불규칙한 대형의 부정형 무늬를 형성하였으며, 이러한 급성형 병징들은 주로 개화기 무렵 아랫잎에서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여 병이 진전됨에 따라 윗쪽으로 진전되었고 병반이 뭉쳐져 잎을 급속하게 고사시켰다. 표본 조사한 12개 농가의 시설 하우스에서 재배되고 있는 온실멜론의 노균병 이병엽율은 1%에서 100%까지 다양하였으며 수확을 전혀 못한 농가도 있었다. 각 농가에서는 노균병의 방제를 위하여 발병초기부터 농가당 최소 3회에서 최고 8회까지 살균제를 살포하는 방제 노력을 기울였으나 정확한 노균병 진단의 실패와 적정 약제 선정의 실패로 혼선을 빚어 방제효과는 높지 않았으며, 농약의 남용과 오용이 병방제에서 심각한 문제점으로 드러났다.

  • PDF

시설원예 준비와 관리대책 - 하우스의 형태$\cdot$자재 및 환경관리

  • 이창환
    • The Bimonthly Magazine for Agrochemicals and Plant Protection
    • /
    • v.7 no.5
    • /
    • pp.107-115
    • /
    • 1986
  • 시설원예라 함은 프라스틱하우스, 유리온실과 같은 시설안에서 작물을 주위의 불량한 환경조건에서 보호하는 동시에 생력화할 수 있는 장치를 도입하여 자본집약적으로 원예작물을 재배하고 비수기에 생산물을 공급하여 농가소득을 향상하고 국민식생활 개선에 기여할 수 있는 재배형식이다. 우리나라는 북반구에 위치하여 4계절이 뚜렷하고 동계에는 기온이 매우 낮아 적당한 보호조치 없이는 작물을 재배할 수 없다. 즉 시설원예는 동계 저온기의 작물생산이 주가되므로 보온 및 기온이 중요하고 또 동계에는 일조시간이 짧고 광도가 낮아 일사량이 부족하며 시설내에서는 더욱더 부족하게 되므로 광선관리에 신경을 쓰지 않으면 안된다. 그리고 고정된 하우스내에서 작부회수를 증가시키고 재식밀도를 높이게 되면 자연 다비재배를 해야하므로 염류농도의 장해와 가스 피해가 우려된다. 또한 환기불량으로 인한 탄산깨스의 부족과 다습으로 인한 병해의 발생이 심한 점이 있으므로 적절한 준비와 관리대책을 세우지 않으면 안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