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논문 성과

Search Result 90,234, Processing Time 0.087 seconds

A Similarity Analysis on National R&D Programs and Paper Outputs using Network Analysis (국가연구개발사업과 논문성과간 네트웍 분석을 통한 사업별 유사성 분석)

  • CHANG, Hansoo;HONG, HONG;CHOI, CHOI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1263-1269
    • /
    • 2017
  • 정부의 연구개발투자로 수행되는 국가연구개발사업은 세부과제 단위로 매년 도출되는 6대 성과(논문, 특허, 기술료, 사업화, 인력양성 지원, 연수 지원)를 집계한다. 성과 중 하나인 SCI급 논문은 한 논문을 다른 연구과제의 성과로 제출하는 경우도 많아서 동일 논문성과를 다수의 과제에서 공유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국가연구개발사업과 그 성과로 도출된 SCI급 논문간의 네트워크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데이터는 2015년도에 수행된 연구개발과제의 성과로 제출된 11,179편의 SCI급 논문 중 2개 이상의 과제 결과로 도출된 논문이다. 또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SCI급 논문 성과는 세부과제 단위로 집계되므로 SCI급 논문-세부과제간 네트워크는 정보량이 과다하다. 따라서 SCI급 논문에 대한 네트웍 분석은 세부과제를 포함하는 국가연구개발사업간의 네트워크로 한 단계 높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논문-사업간 2모드 네트워크를 1모드 네트워크로 전환하여 네트워크 분석을 시도하였다.

  • PDF

국가연구개발사업 SCI(E)논문 성과의 질적 수준 분석을 위한 새로운 계량지표의 탐색과 적용

  • Jo, Hyeon-Jeong;Kim, Haeng-Mi;Kim, Na-Yeong;An, Bye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05a
    • /
    • pp.103-113
    • /
    • 2017
  • SCI(E)논문은 국가연구개발사업으로부터 도출되는 대표적 1차 산출 성과이며, R&D활동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지표 중 하나이다. 우리나라는 1980년대 50위권에 머물렀던 SCI(E)논문수가 1990년대를 거치면서 비약적으로 확대되었고, 최근 양적 규모 면에서는 세계 12위 수준을 유지할 만큼 괄목한 만한 성장을 이루었다. 최근 이러한 양적 확대 속에서, 논문의 질적 수준이 정체되고 있다는 문제점이 종종 거론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SCI(E)논문 성과가 가지는 질적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이 있어 왔다. 대표적인 SCI(E)논문의 질적 지표로 논문 피인용횟수와 저널 영향력지수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지표는 학문 분야간 인용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므로, 국내 연구자 사이에서도 다양한 순위보정영향력지수를 개발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그간 개발된 순위보정영향력지수를 추가적으로 보완하여, 보다 의미 있는 지표를 도출하고자 하였으며, 해당 지표를 국가연구개발사업 SCI(E)논문 성과에 적용하여 우리나라 SCI(E)논문 성과의 질적 수준을 검토하였다.

  • PDF

과학자 연구성과에 대한 젠더, 코호트, 조직적 요인 효과: 생화학자를 중심으로

  • Park, Chan-Ung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30 no.1
    • /
    • pp.97-124
    • /
    • 2007
  • 국내 생화학 분야 학자들의 연구성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가? 특히 젠더는 연구성과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항목에 초점을 두었다. 첫째 연구성과의 특징에 따른 차이를 보기 위해, 연구성과를 학술지 유형에 따라 SCI논문과 비SCI논문으로 구분해서 비교분석했다. 둘째, 교육기간부터 경력기간별로 연구성과에 미치는 요인이 변화할 가능성을 분석하기 위해, 연구성과를 종속변수로 하는 모델을 대학원 기간과 졸업 이후 경력 기간별로 구성했다. 셋째, 연구성과에 대한 이론적 요인으로서 사회인구학적 요인, 조직적 요인, 그리고 이전 연구업적의 누적효과를 음이항모델을 사용해서 분석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CI논문성과의 경우 젠더 효과는 대학원 기간 동안에는 관찰되지 않았지만, 경력 초기부터 다음 기간 연구성과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SCI학술지 연구성과의 경우 조직적 요인 중에서 외국 학위가 중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전 연구성과 역시 누적적으로 그 후 연구성과에 영향을 주었다. 비SCI논문 수를 분석한 결과, 대학원 기간과 졸업 후 3년간 기간에는 젠더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고, 졸업 후 3-6년 기간에 젠더 효과가 발견되었다. 또한 대학원 기간의 비SCI논문의 누적효과가 지속적으로 나타났다.

An Analysis on Research Performance in South Korea Using h-index (h-지수를 활용한 우리나라의 연구성과 분석)

  • Kim, Wan-J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13.08a
    • /
    • pp.55-58
    • /
    • 2013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연구 성과를 양적 측면과 질적 측면에 대해 계량정보학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3년 7월 22일 Web of Science SCIE(Science Citation Index Expanded)에 색인된 우리나라와 일본, 중국, 인도, 호주 논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의 SCIE급 논문의 생산성은 연평균 약 18.1%로 매우 가파른 성장세를 보였다. 둘째, 2013년 현재 2007년에 발표된 우리나라의 논문은 인용절정기를 지나 단 한 차례도 인용 받지 않은 논문의 비율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2007년 이후 출판된 논문들은 그 비율이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h-지수" 안에 포함된 논문의 경우는 인용절정기를 지나더라도 지속적으로 인용을 받음으로 인해 출판 후 약 10년에 걸쳐 "h-지수"가 증가할 수 있음을 밝혀냈다. 넷째, 우리나라는 중국, 인도와 함께 양적 성과에 비해 질적 성과는 아직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PBS제도와 과제의 기술적 특성이 출연(연) 연구성과에 미치는 영향 - PBS사업과 기관고유사업의 논문성과 비교분석 -

  • Jang, Ho-Won;Go, Min-Gu;Jo, Yun-Ju;Jeong, Jae-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2.05a
    • /
    • pp.30-44
    • /
    • 2012
  • 지난 96년 PBS제도가 시행되면서, 많은 연구에서 PBS제도의 문제점을 제시해 왔다. 선행 연구에서는 인건비 확보를 위한 과도한 경쟁으로 연구활동의 안정성 저하 및 불안감 조성, 기관 내 외 연구자간의 경쟁구도 심화로 상호협력을 통한 융합연구의 어려움, 관리 운영체계의 제약요인으로 인한 제도 확산은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성과를 저하시킨다고 지적하였다. 하지만 PBS제도 도입당시의 기대효과였던 기관의 자율성 강화, 연구책임자 책임성 강화, 사업관리의 투명성 강화는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성과를 높이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BS제도 도입 후 15년이 경과한 현재 PBS제도가 출연연구기관의 연구과제 수행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실증분석을 하였다. 기초기술연구회 소속 13개 기관을 대상으로 질적 논문성과를 분석해본 결과, 기관이 수행한 과제의 PBS제도는 논문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수행 과제의 기술적 특성을 기술분야별, 기술단계별로 나눠보았을 경우, 기술단계별 구분에서 기초기술연구회 소속 정부출연연구기관의 논문성과는 기초기술 단계의 과제를 수행하였을 경우 높은 질적 논문성과를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연구개발과제의 양적.질적 성과분석지수 개발 : IT핵심기술개발사업을 중심으로

  • Yu, Seung-Hun;Lee, Jong-Sik;Kim, Sang-Tae
    • Proceedings of the Technology Innovation Conference
    • /
    • 2009.02a
    • /
    • pp.413-433
    • /
    • 2009
  • 질적인 측면을 충분히 감안하지 못한 양적 성과분석은 연구개발 과제의 성과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양적 성과와 질적 성과를 함께 종합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종합적인 성과분석지수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성분 분석과 동일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특허 출원 건수, SCI 게재논문 건수, 기술이전 건수라는 3가지 양적 성과지표와 이에 대응되는 특허 심사청구 항수, 논문게재 학술지의 IT, 총 연구비 대비기술료 비중의 3가지 질적 성과지표를 성과지표로 고려하면서 성과분석지수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주성분 분석의 적용 결과 특허 출원 건수(0.2160), SCI 논문게재 건수(0.1510), 기술이전 건수(0.1564), 특허 심사청구 항수(0.2257), 논문게재 학술지의 IF(0.2218), 기술료 비중(0.0291)의 가중치를 얻을 수 있었다. 이 6가지 평가지표는 종합평가지수라는 하나의 틀로 결합되어 개별 과제의 성과를 평가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양적 성과지표와 질적 성과지표로 구분하여 평가할 수 있다. 가중치 결정 방법에 따라 평가결과가 크게 달라지지는 않았지만, 가중치 결정 방법과 상관없이 양적 성과지표 평가결과와 질적 성과지표 평가결과는 크게 달랐다. 한 가지 흥미로운 점은 과제평가등급과의 상관관계를 따져보았더니 질적 성과지표와 과제등급과의 상관관계가 양적 성과지표와 과제등급과의 상관관계보다 더 크다는 것이다. 따라서 성과분석에 있어서 질적 성과지표를 반영한 질적 성과분석이 반드시 수행될 필요가 있다. 앞으로 특허 인용도 등 보다 다양한 질적 변수를 확보하여 성과분석지수를 보완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PDF

Characteristics of Input and Output of Scientific Research (국가별 과학연구 투입과 성과의 특성분석)

  • Park, Hyun-Woo;Kim, Kyung-Ho;Yeo, Woon-Dong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12 no.3
    • /
    • pp.471-498
    • /
    • 2009
  • The ability to judge a country's scientific standing is vital for the governments and businesses that must decide scientific priorities and funding.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output and outcomes from research investment over the recent years, to measure the quality of scientific research on national scales and to set it in an international context. There are many ways to evaluate the quality of scientific research, but few have proved satisfactory. To measure the quantity and quality of science in different nations, we analyzed the numbers of published research papers and their citations. The number of citations per paper is a useful measure of the impact of a nation's research output. Essential at a were acquired from SCI database by Thomson Scientific, which indexes more than 8,000 journals, representing most significant materials in science and engineering.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valuate and compare the output and outcomes among nations in a variety of viewpoints and criteria. One of the implications in response to the result of analysis is that sustainable economic development in highly competitive world markets requires a direct engagement in the generation of knowledge. Even modest improvement in healthcare, clean water, sanitation, food, and transport need capabilities in engineering, technology, and medicine beyond many countries' reach. Nations exporting natural resources such as gold and oil can import technology and expertise, but only until these resources are exhausted. For them, sustainability should imply investment in alternative agricultural and technological capabilities through improvements in their skills base. A strong science base does not necessarily leat to wealth generation. However, strength in science has additional benefits for individual nations, and for the world as a whole.

  • PDF

Basic Study on the Reliability Analysis of Structural Systems (시스템 신뢰성 해석에 관한 기초연구)

  • Lee, Joo-Sung
    • Journal of Ocean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3 no.2
    • /
    • pp.145-157
    • /
    • 1989
  • 본 논문의 주목적은 불연속 또는 연속계 구조물의 시스템 신뢰성해석(system reliability analysis)을 위한 보다 일반적인 방법을 소개하는데 있다. 본 논문에서는, 확대하중증분법(extended incremental load method)이라고 불리우는데, 지금까지의 신뢰성 해석법 중 종래의 하중증분법이 갖는 단점을 보완하고, 여러 형태의 하중이 작용하는 구조물에 대해, 부재의 파괴후 거동(post-ultimate behaviour)을 다른 방법보다 더 실제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장점을 갖도록 개발한 것이다. 본 방법의 또 하나의 장점은 구조설계시 사용하는 강도공식(strength formula) 을 시스템 신뢰성 해석에서 직접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 방법은 부유식 해양구조물 같은 연속계 구조물의 시스템 신뢰성 해석을 위해 개발되었는데, 이 논문에서는 실제 구조물은 다루지 않고, 방법의 정당성과 아울러 수정된 안전여유식의 적용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본 논문의 부유식 해양구조물들에 적용한 결과는 후일 발표할 예정이다.

  • PDF

Measuring the quality of research papers across countries using Relatively Rank-normalized Impact Factor ($R^2nIF$) (상대적순위보정지수($R^2nIF$)를 활용한 주요국의 SCI 논문 질적 수준 비교분석)

  • Oh, Donghun;Kim, Youngjun;Kim, Yongjeong
    •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 /
    • v.21 no.1
    • /
    • pp.85-108
    • /
    • 2013
  • This paper introduces a new qualitative measurement indicator, Relatively Rank-normalized Impact Factor ($R^2nIF$) that can overcome drawbacks of the existing research performance measures. With the help of this innovative indicator, this study analyzes and compares the quality of research papers across countries and National Science Indicators (NSI) standard academic fields. The development of an improved bibliometric indicator for evaluating the quality of research papers and disentangling the "international" dimension of research performance will be of interest to academics and practitioners alike.

  • PDF

Intervention Program Effectiveness for Preventing Sexual Violence: A Systematic Review (성폭력 예방 교육 중재 프로그램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국내 연구를 중심으로)

  • Woo, Chung Hee;Ryu, Gi Woo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0 no.4
    • /
    • pp.409-419
    • /
    • 201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ynthesize sexual violence prevention programs by systematic review and to establish an effective program for its prevention. Existing studies of domestic sexual violence prevention programs were retrieved using RISS, KISS, and NDSL from 2000 until August 2018. Of 1125 studies identified, 22 met the inclusion criteria. Study participants were children to adults and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methods of intervention vari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and included lectures, discussions, role plays, puppet shows, songs and campaigns. The contents of the intervention were related to the concepts of sexual violence, sexual violence coping, sexual harassment, and gender equality, while the main variables influencing the results of intervention were sexual knowledge, sexual attitude, sexual violence knowledge, sexual violence coping and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In most of the studies was effective. However, for some studies, sexual awareness and sexual attitude were not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s. Future sexual violence prevention programs should include gender equality and bystander concepts, that can recognize social responsibility for sexual viol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