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녹

Search Result 745,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Influencing Degree to the Air Temperature of Stratification in the Urban Green Space (도시녹지의 계층구조가 기온에 미치는 영향)

  • 윤용한;김원태
    • Asian Journal of Turfgrass Science
    • /
    • v.16 no.2
    • /
    • pp.107-114
    • /
    • 2002
  • In this study, We measured air temperature in a vegetated area to investigate if stand types and height affect air temperature. With the measured data, we analyzed the relation-ships between air temperature vs. ground cover type, vegetated area, stand structure, stand density, and tree volume by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the paved area and open field have higher air temperatures than the vegetated area and water-related areas. Among the stand types, the stand with overstory and sub-overstory showed relatively low are temperature. The stand with overstory had lower air temperature than the stand with sub-overstory. Increasing stand density was effective for lowering air temperature.

Forest Stratification Effect of Air Temperature and Humidity in the Green Space (수림의 계층구조가 녹지내의 기온 및 습도에 미치는 영향)

  • Yoon, Yong-Ha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21 no.2
    • /
    • pp.120-125
    • /
    • 2003
  • For this study grasp coverage condition and forest stratification to various green space, observed air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With this data, coverage condition and air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distribution, analyzed relationship of forest rate and air temperature or relative humidity, tree numbers and green volume and humidity by revolution analysis. In this result, higher none is formed artificiality and barren area, lower zone did fores and water area. Relative humidity have corresponding type of air temperature distribution. lower Tone was higher humidity. Different of Idlest type or water area, surround of forest showed relatively higher humidity. Increasing tree numbers or green volume effect higher humidity and this efficiency order of an arbor, subarbor, shrub.

Development of Corrosion Rust Removing Unit for Small Ship Propeller (소형선박용 프로펠러의 부식 녹 제거장치 개발)

  • Kim, Gui-Shik;Han, Se-Woong;Hyun, Chang-Hae
    • Journal of Ocean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19 no.6 s.67
    • /
    • pp.72-77
    • /
    • 2005
  • The materials used in a ship screw propeller are commonly made with brass. The seawater corrosion and seawater cavitation of the screw propeller reduces the propulsive performance of the ship. In screw manufacturing, the corrosion rust of the screw propeller is removed through a hand grinding method. The grinding process produces dust of the heavy metals from the brass. The dust creates a poor working environment that is harmful to the health of the workers. An automatic corrosionrust removing apparatus, using a blasting method, was developed for the improvement of screw polishing conditions and its working environment. The performance of this apparatus was investigated by surface roughness, weight loss rate, hardness, electrochemical corrosion resistance, and cavitation erosion, after removing of the corrosion rust under various blasting conditions. Two medias of alumina and emery were used in this experiment. The surface roughness and hardness of the screw were improved by this apparatus. The electrochemical corrosion potential (Ecorr) and current density (Icorr) were measured by the dynamic polarization method, using a potentiostat,under the conditions of surface polishing with grinding, blasting, wire brushing, and fine sand papering. The test results prove that the new corrosion rust-removing apparatus improves the surface performance of a screw propeller.

다공성 고분자 박막을 사용한 백색 유기발광소자의 광학적 특성

  • Go, Yo-Seop;Jeon, Yeong-Pyo;Chu, Dong-Cheol;Kim, Tae-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0.08a
    • /
    • pp.120-120
    • /
    • 2010
  • 유기 발광 소자는 차세대 디스플레이 소자와 조명 광원으로서 많은 응용성 때문에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백색광을 구현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밴드갭이 큰 고분자 물질에 염료를 넣는 방법, 적 녹 청을 순차적으로 증착하는 방법을 사용하지만 인가 전압의 증가 및 효율 저하, 유기물질의 수명감소, 색 안정성 감소, 제조공정의 복잡화의 문제가 발생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발광효율 및 안정성이 향상된 유기발광 재료 개발, 다층 이종구조 및 형광/인광성 물질의 도핑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기존의 수직 적층 구조에서 벗어난 평행하게 적 녹 청을 배열한 백색 유기 발광 소자 및 색변환 물질을 사용한 백색 유기발광소자가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분자 물질의 용해도가 다른 선택적 식각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 공정이 간단하며 동일평면에서 적색 및 청색을 발광하여 백색을 발생하는 백색 유기발광소자를 제작하였다. 두 가지 유기물을 일정 성분비로 용매에 용해하여 적색 발광 고분자 발광층을 제작하였다. 이렇게 형성한 박막층을 한 가지 유기물만을 선택적으로 용해시켜 다공성 고분자 박막층을 형성 한 후 열 진공 증착법에 의해 청색 빛을 내는 저분자 유기물을 증착하여 적색과 청색이 동시에 발광하는 백색 유기 발광 소자를 제작하였다. 다공성고분자/저분자 층이, 수직 적층된 구조와 비교하였을 때 수직 적층된 구조는 높은 highest occupied molecular orbital 준위를 가진 저분자층으로 인해 적색에서 청색 발광층으로 정공의 주입이 일어나지 않는다. 그러나 적색과 청색이 평행한 적층 구조를 가진 발광소자인 경우 정공이 적색층과 청색층에 동시에 주입되기 때문에 문턱전압의 감소하고 백색의 빛을 발광하였다.

  • PDF

다공성 ZnO 막의 황화과정을 통해 형성된 ZnS 막의 미세구조 연구

  • An, Heung-Bae;Lee, Jeong-Yong;Kim, Yeong-H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2.02a
    • /
    • pp.326-326
    • /
    • 2012
  • ZnS를 합성하는 방법 중 thioacetamide (TAA)를 녹인 물에 ZnO template를 넣어서 황화시키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은 실험과정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그 반응양의 조절도 용이해 ZnS-ZnO core-shell 구조나 ZnS hollow 구조 등을 만드는데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다양한 형태의 ZnS 구조체 합성에 관한 연구는 활발한 반면, ZnS의 상형성 과정이나 구조 변화와 같은 ZnO의 황화 과정 기구에 관한 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ZnS는 기본적으로 저온에서는 cubic sphalerite 구조를, 고온에서는 hexagonal wurtzite 구조를 안정상으로 가진다. 또한, 8H나 15R 등과 같은 다양한 polytype 구조도 존재한다. 그러나 다양한 구조에서 비슷한 면간거리가 존재하기 때문에 결정구조의 분석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비슷한 면간거리를 가지는 ZnS 등의 결정구조 분석에 있어 원자배열을 직접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투과전자현미경 (TEM,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e)을 이용한 연구는 큰 강점을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다공성 ZnO 막을 황화시켜 형성된 ZnS 막의 미세구조 특성을 분석하였다. 다공성 ZnO 막은 패턴된 Si (111) 기판 위에 스핀코팅법을 이용하여 4,000 rpm의 속도로 증착되었으며 ZnO 결정화를 위해 150 도와 500도에서 각각 drying과 후열처리를 수행하였다. 이렇게 만들어진 ZnO 막을 TAA를 녹인 물에 넣어 48 시간 동안 반응시켰고 최종적으로 ZnS 막을 생성하였다. 다공성 ZnS 막의 미세구조를 분석하기 위해 주사전자현미경 (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X-선 회절분석기 (XRD, x-ray diffractometer), 그리고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하였으며, 정확한 결정구조 분석을 위하여 결정구조 시뮬레이션을 병행하였다.

  • PDF

QM/MM-MD 방법을 이용한 용액 속에서의 Potassium Thiocyanate의 Association/Dissociation Dynamics 연구

  • Nam, Hye-Rim;Ghosh, ManikKumer;Choe, Cheol-Ho
    • Proceeding of EDISON Challenge
    • /
    • 2014.03a
    • /
    • pp.347-358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양자 역학적 분자 동역학(Quantum Mechanical/Molecular Mechanical-Molecular Dynamics, QM/MM-MD)을 통해 수용액에 녹아 있는 Potassium Thiocyanate의 dynamics를 연구했다. Umbrella sampling technique을 활용하여 association/dissociation에 해당하는 Free energy surface를 구했다. 두 개의 Free energy minimum이 녹아 있는 두 이온의 center of mass 사이의 거리가 $4{\AA}$일 때와 $5{\sim}6{\AA}$ 부근일 때 나타났으며 $4{\AA}$일 때 더 안정 했다. 본 논문에서는 $4{\AA}$일 때를 Contact Ion Pair(CIP) $6{\AA}$일 때를 Dissociation Ion Pair(DlP)라고 칭했다. 이 minimum들이 무엇인 지를 밝혀 내기 위해 추가 연구를 수행하였다. Free energy 상에서 가장 안정 할 때(CIP) solute인 Potassium thiocyanate의 구조를 살펴 봤더니 Potassium ion은 Thiocyanate ion의 Sulfur보다 Nitrogen side를 선호하였다. 그 원인을 알아보기 위해 salvation shell의 구조를 Radial distribution function을 통해 살펴 봤더니 물 분자가 Nitrogen보다 Sulfur와 더 강한 상호작용을 하고 있었다. 그로 인해 Potassium ion이 Nitrogen을 선호한단 결과가 나온 것이다. 한편, 두 번째 minimum은 물 분자가 Potassium 이온과 Thiocyanate 이온 사이에 flexible하게 bridging을 하는 구조였다. 또한 단순 양자 계산을 통해서도 비슷한 구조를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QM 계산은 0K에서 수행하는 것이기 때문에 엔트로피 효과가 없는 계산이지만 본 연구는 온도 300K로 실제 용매와 가깝게 수행함으로써 고정되어 있는 구조가 아니라 엔트로피와 엔탈피가 균형적으로 존재하는 실제 용액 속에서의 구조를 처음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Cognitive Structure of Green Environment of Traditional Urban Residential Areas (도시형 한옥지구의 녹환경 인식구조에 관한 연구 -도시 주택지 녹환경에 관한 연구(I)-)

  • 정덕규;김준식;김익환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 /
    • v.12 no.4
    • /
    • pp.153-161
    • /
    • 2001
  • This paper is to clarify a cognitive structure of green environment in the traditional urban residential areas. The following is the result of analysis; 1) According to the survey of created actual condition of the green environment, the main space was consisted of court(74%). The percentage of preference locations for green environment at the court and the alley are 71, 60 respectively. The main reason to creat green environment resulted admiration and enjoyment. 2) The degree of $\ulcorner$agreeableness$\lrcorner$ and $\ulcorner$nobleness$\lrcorner$ of the house were increased by creating green environment in a house, and the degree of $\ulcorner$neighborhood$\lrcorner$ and $\ulcorner$familarity$\lrcorner$ were increased by creating green environment out side of house. 3)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a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satisfaction and the image, $\ulcorner$agreeableness$\lrcorner$ has an interrelation with all factors of image. Therefore, the creating of $\ulcorner$agreeableness$\lrcorner$ is a main problem for raising the whole image of the residential areas.

  • PDF

Removal of Halogenated Organic Compounds in Wastewater by Pervaporation (투과증발법을 이용한 폐수중의 미량 유기염소계 화합물의 제저)

  • 오부근;하성룡;하상태;이영무
    • Membrane Journal
    • /
    • v.4 no.1
    • /
    • pp.57-62
    • /
    • 1994
  • This study uses pervaporation process to separate small amount of organic trichloroethylene, chloroform and perchloroethylene from contaminated water, since chlorinated hydrocarbones are known to be cancer suspecting compounds. For the separation of small amount of halogenated organic compound dissolved in wastewater, pervaporation membranes should be polymers that possess affinity with orgnic compounds and hydrophobicity. We used polyisobutylene, polyetheramide and polydimethylsiloxane membranes. The degree of affinity between organics and polymers were measured by contact angle method. We had good separation results that separation factor ranged from 34 to 19100 and permeate flux was$19.7~140g/m^2hr$.

  • PDF

Optimal Annealing of Natural Beryl for Thermoluminescent Dosimetry

  • Moon, Philip S.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6 no.1
    • /
    • pp.3-8
    • /
    • 1974
  • The annealing of natural beryl powder used for the thermoluminescent dosimetry was investigated in order to eliminate effect of previous exposure. Through the glow curve analysis, the optimal annealing treatment was found to be one hour annealing at 145$0^{\circ}C$, but annealing for one hour at 55$0^{\circ}C$ was sufficient for reuse of natural beryl powder. There are two distinguished glow peaks at $65^{\circ}C$ and 20$0^{\circ}C$ of heating temperature during readout process. The $65^{\circ}C$ glow peak fades away rapidly, but the 20$0^{\circ}C$ glow peak remains very stable. It is, therefore, quite feasible to use the 20$0^{\circ}C$ glow peak for thermoluminescent dosimetr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