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녹지네트워크

Search Result 68,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도시 오픈스페이스를 활용한 그린네트워크 구축

  • 김기호;김수봉;조진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177-179
    • /
    • 2003
  • 기존 자연녹지인 앞산, 금호강/낙동강, 와룡산과 대상지내 산재해 있는 공원녹지를 연결하여 환상형(環狀形)의 그린네트워크를 형성하였다. 그린네트워크 조성에 따른 기존 자연녹지와 공원녹지 사이의 연계 방안으로 도시내 오픈스페이스인 학교용지를 선택하고 이를 연결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공원녹지의 위치상 1면이상이 도로와 접하고 있어 이를 연계하기 위한 가로공간의 녹화를 추진하여 녹지축을 연결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도시내 자연녹지 중 도시하천의 역할을 분석하여 본 결과, 대상지내 그린네트워크를 조성하기 위해서는 하천변을 녹화하는 계획을 추진하여야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Establishing Urban Green Network by Estimating Birds Moving Pattern (야생조류 이동통로 예측을 통한 도시녹지네트워크 설정연구)

  • Hong, Suk-Hwan;Choi, Song-Hyun;Lee, Soo-Dong;Bae, Jung-He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2 no.2
    • /
    • pp.99-110
    • /
    • 2009
  • This study is to establish urban green network on the urbanized area using characteristics of fragmented and ornamental green area distribution. To do this, the survey for the green area characteristics was carried out in Changwon City. In order to analyze network, a virtual network in whole city sky for bird's movement, which is consisted with 30m grid lines was prepared. To analyze which network routes depend on the direction, we estimated bird's movement between 8-direction and 16-direction's outskirt forest's source point and inner city's fragmented green area. In the analysis of two types different direction models, the results of green network routes are mostly matched. So green network plan by this results is more reasonable for enhancing bird's movement to inner city. Based on the these findings, this green network planning will be providing for inner city to influx outside forest's birds and maximize the ecological connectivity.

  • PDF

A Study on Planning of Roadside Green for Enhancing Urban Green Network (도시녹지 네트워크 강화를 위한 가로녹지 조성계획 연구)

  • Han, Bong-Ho;Kwak, Jeong-In;Park, Seok-Cheol;Hur, Ji-Yeo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8 no.2
    • /
    • pp.128-141
    • /
    • 2014
  • This study established a plan to establish the roadside green for enhancing the urban green network and enhancing of urban greenery in Songpa-gu. As for the present conditions of the streets, that of the parks, the green axes, sidewalk in Songpa-gu were analyzed. This study derived 19 parks by the roadside and 13 lines to connect green axes. The result of roadside greenery status were selected 56,546m lines by natural green space and constructed green space. The result of sidewalks width were selected 8,600m lines that sidewalks width more than 5m for enhancing urban green network in Songpa-gu. For enhancing the urban green network lines were selected: Olympic Expressway, Songpa-daero, Nambusunhwan-no and Wiryeseong-gil. To improve the street planting strips, two plans were suggested: to improve the green structures of the street planting strips mainly with shrubs and to effectively create street planting strips through the green spaces along the streets. A plan to promote the amount of planting street trees in Songpa-gu analyzed the streets. Complements the understory layer sections were the highest the entire length of 34,206 m of 63.6% in strengthening for network streets. Greenspace network streets were calculated for planting of volume by promotion plan. Planting volume increased 4,708 trees before expand planting plan, so the total tree was considered 9,518 trees.

Constructing a Green Network and Wind Corridor to Alleviate the Urban Heat-Island (도시열섬현상 완화를 위한 녹지네트워크 및 바람길 구축)

  • Cha, Jae-Gyu;Jung, Eung-Ho;Ryu, Ji-Won;Kim, Dae-Wu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0 no.1
    • /
    • pp.102-112
    • /
    • 2007
  • Like other organic beings, modern cities change every day. Unlike in the past, changes of space which have been taking place in concentrated spaces during short periods of time have worsened the environment of cities creating environmental problems. In particular, the urban heat-island phenomenon, which is caused by changes in using the earth's surface, has emerged as a key social issue along with health problems and economic difficulties. The Green Network has been introduced as an urban planning approach to solve the urban heat-island phenomenon. This study suggests constructing a Green Network through analyzing the urban heat island phenomenon, land cover classification, and linkage possibility with the Green Network and wind corridors by researching Jung-Gu, and Nam-Gu in Daegu Metropolitan City. In conclusion, this study presented the construction of a broad and detailed Green Network of object areas by assigning Apsan to the southern area and mountain area as the core, two areas of Nam-Gu and six areas of Jung-Gu such as Duryu Park and, Dalsung Park as footholds and other school land and park facility areas as footholds-to-be areas. In particular, Camp Walker, which is connected with Apsan, is not only a foothold but connected to the core, is necessary to preserve after being transferred from the U.S. Army. In addition, assigning the Susung Bridge area of Jung-Gu and the Camp Walker area of Nam-Gu as the wind corridor areas is recommended.

  • PDF

Feasibility of Green Network in a Highly-dense Urbanized Area by Introducing Urban Gardens (도시정원 도입을 위한 고밀 시가화지역 내 녹지 네트워크 구축 가능성 평가)

  • Choi, Heejoon;Lee, Junga;Sohn, Heejung;Cho, Donggil;Song, Youngkeu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31 no.2
    • /
    • pp.252-265
    • /
    • 2017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landscap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green spaces within built up area of high density and evaluate the potential applicability of green patches, thereby introducing urban garden for generating green networks in residence areas. To this end, Yeoksam-Dong was selected as the site area since it is classified as both green initiative zone and alienated area of park service in Seoul. First, the current condition of green spaces in Yeoksam-Dong was identified by five categories: Street trees, private garden, public pocket garden, rooftop garden, and park. Then, the landscape index analysis through FRAGSTATS and connectivity assessment via multi-buffer zone analysis were carried out for analyzing the green networks and evaluating the potential value of green spac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egree to which green areas in the site were distributed is arranged in the order of street tree, private garden, public pocket garden, park, and rooftop garden. In case of the street trees whose total core area (TCA, $1,618m^2$) is as high as the park's ($1,128m^2$). Private garden has potential for green network in built up area of high density by gardening since the shape of the patches are irregular (ED = 78.1m/ha) and the average distance among the patches is close (ENN=33.9m). Public pocket garden has also potential for gardening according to the result that it was found to be distributed evenly (LPI=5.7%, SHEI=0.9) with exposing external disturbance ($TCA=66m^2$). For the green network, 84% of all the study site is covered by small green network in 50m butter range of connected green area. The effect of green network was expected through gardening in public pocket garden (27%) and street tree (26%). Accordingly, it is encouraged to actively utilize street tree, private gardens, and rooftop gardens and to establish the urban gardens like local-based community gardens in public pocket garden where a variety of activities can be carried out near residential areas. By doing so, green networks can effectively be established in built up area with high dens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positively to fostering the creation of various types of urban gardens.

Improvement of Water Circulation System in the City by enhanced Green-Blue Network (그린-블루 네트워크 강화를 통한 도심 물순환체계 개선)

  • Shim, Jungmin;Park, Woonji;Choi, Yonghun;Lim, Kyoung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68-468
    • /
    • 2021
  • 도시의 개발은 불투수면의 증가, 토지이용의 변화, 용수 수요 증가를 초래하였고, 최근에는 기후변화 양극화 현상으로 도심내 물순환체계를 더욱 왜곡시키는 문제를 초래하였다. 1962년부터 서울의 도심지가 본격적으로 개발되기 시작하면서 7.8%였던 불투수율이 2010년에는 50%까지 증가하였다. 토지의 피복상태가 숲과 흙일 때는 강우의 10%는 하천으로, 토양 흡수는 50%, 증발이 40%가량 된다. 보통 토양에 흡수된 물은 토양층에서 머물렀다가 중간유출되어 하천으로 유입되거나 지하수로 전환된다. 그러나 개발로 인하여 아스팔트나 콘크리트로 포장된 경우 55%가 하천으로 유입되고 토양으로 흡수되는 양은 15% 정도로 강우가 급격하게 유출되어 빠져나가 버린다. 도시 불투수면적의 증가는 단순히 치수와 이수의 문제뿐만 아니라 도심의 하천 및 녹지공간에 조성되어 있는 생태계 유지에 필요한 최소한의 수량인 생태용수 확보마저 위협하고 있다. 도심 하천의 환경생태유량 확보는 하천의 정상적인 기능을 유지할 뿐만 아니라 하천의 자정 능력을 향상하며, 수생생물의 서식환경을 보존에 기여하므로 도심의 자연성 회복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도시 생태환경은 녹지의 단절과 파편화로 연속성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는데, 이렇게 단절되고 파편화된 생태계를 연결하여 생태축을 확보하면 도시 생태계의 건강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대부분의 도시에서 관리하고 있는 가로수 및 띠녹지 등 녹지공간(그린 네트워크, Green Network)을 활용하여 수원 함양이나 수질정화 기능(블루 네트워크, Blue Network)을 부여하면 녹지와 수자원을 연결한 그린-블루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도시 생태용수확보에도 기여할 뿐만 아니라 나아가 도심 하천의 자연성 회복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도시의 가로수와 띠녹지를 활용하여 빗물저장 기능과 침투기능을 확대하기 위해 기존에 녹지 및 공원 관리 차원에서 가로수 도시계획이 수립되고 관련 사업이 진행되어 온 현행 제도상의 문제점을 검토하여 제도적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 PDF

POLICY PLAN FOR PARKS AND GREENERIES IN SEOUL

  • Lee, Sang-S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Professional Engineer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5.12b
    • /
    • pp.30-48
    • /
    • 1995
  • 서울시는 국가의 수도로서 이제 6n년의 역사를 맞이하였다. 뛰어난 산수와 자연 경관을 가진 서울시의 자연은 근세이후 도시의 발전에 따른 점차적으로 훼손되어 왔으며, 특히 1960년대 이후의 도시성장기에 시행된 개발 위주의 도시 정책은 공원 녹지의 잠식을 가속화시켜 본래의 자연은 양적, 질적 측면에 많은 피해가 발생되었다. 또한 도시 정책의 부분으로서 공원 녹지 정책은 개발 위주의 도시 정책에 밀려 제기능을 발휘 할 수 없었으며, 정책에 있어서도 목표와 미래 방향에 대한 뚜렷한 비전을 제시하지 못하였다. 현재 공원 녹지와 관련된 정책 환경을 볼 때, 각종의 도시개발 사업, 지방 자치제 시행에 따를 도시의 난 개발은 부족한 공원녹지를 더욱 잠식하는 위협요소가 되고 있으며, 토지수요에 대한 공급의 한계 상황에 직면해 있는 시점에서 개발론자 들은 공원 녹지를 개발의 주요대상으로 인식하는 자세를 견지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지구 환경의 문제의 대두, 환경에 대한 시민의 관심, 정책 집행자들의 환경 보전과 관리의 움직임이 나타나기 시작하고 있어 서울시의 공원 녹지의 미래 전망을 밝게 해주는 긍정적인 요소가 되고 있다. 2000년대를 바라본 현시점에서 도시의 기간 요소로서 공원 녹지는 단지 존재만의 가치가 아니라 적정한 기능을 부여하고 이용의 활성화를 통한 공원 녹지의 새로운 탄생이 요구되고 있다. 이것은 공원 녹지정책 측면에서 공원 녹지의 양적 측면에서의 풍요로움과 질적 측면에서의 기능성의 회복과 도시 구성적 측면에서의 공원 녹지의 네트워크의 구성이라는 3가지의 정책 이슈를 제기한다. 양적 측면에서 녹의 풍요로움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공급 지표 위주의 정책보다는 공원 녹지의 총량적인 관리 체제를 통한 전 도시적 차원의 공원녹지 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며, 공원 녹지로서 잠재 가치를 가지고 있는 새로운 유형의 공원 녹지의 조성과 각종 개발사업에 대한 공원 녹지의 잠식 방지를 위한 명확한 사회적인 공감대의 형성이 요구된다. 질적 측면에서는 공원 녹지의 기능성의 회복이라는 측면과 시대에 부합되는 새로운 기능 및 가치의 부여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공원의 매력, 공원의 시설기능 증진, 녹지의 질의 향상 및 녹지 가치의 증진에 대한 다양한 시책이 요구된다. 구성적 측면에서는 공원녹지의 개별적 존재보다는 공원 녹지를 상호간 유기적인 계통을 확보하여 공원 녹지의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도시 속의 산재된 고립된 섬으로서의 공원 녹지가 아닌 시민생활에 늘 가까이 있는 생활 속의 공원녹지로 재편되어야 한다. 이러한 정책의 의제는 양적 측면에서 보전(CONSERVATION)과 창출(CREATION), 질적 측면에서 쇄신(RENOVATION)과 복구(RESTORATION), 그리고 구성적 측면에서 공원 녹지의 연결(CONNECTION)과 시민 참여에 의한 운동(MOVEMENT)이라는 정책 개념의 구현을 통해 가능하다. 이러한 정책 개념과 의제를 가지고 서울시 공원 녹지 정책을 구체화시키기 위해서 푸르름의 새로운 탄생이라는 기치 아래 풍요로운 서울, 사랑 받는 공원, 생활 속의 녹지의 3대 목표, 공원 녹지의 보전, 잠재 공원 녹지의 창출, 공원의 활성화, 녹지의 복구, 경관 보전 및 복구, 공원 녹지의 네트워크, 도시 녹화의 7대 과제를 설정하고 미시설 공원 녹지 집행, 개발 사업시 공원 녹지의 확보, 환경 녹지의 총량 보호 관리, 도시 소공원 개발, 역사 문화 공원 조성, 하천 공간 복원, 공원 시설 기능 개선, 이용 프로그램 개발, 공원 관리 개선, 환경 피해 녹지의 회복, 도시 환경 림 조성, 녹지 기능 증진, 도시 자연 경관 보전, 공원 녹지체계 구성, 공원 녹지 공급 균형, 주변 환경 녹화, 가로 녹화의 17개 시책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정책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서는 기존의 관주도의 일방적인 공원 녹지 행정이 아닌 시민의 참여를 통한 시민이 함께 하는 정 책 사업의 추진이 요구되며, 특히 민간 부문의 적극적 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방안이 동시 에 강구되어야 한다. 또한 공공에서는 정 책 집행을 위한 조직과 행정의 개편, 예산의 확보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현재 서울시는 지방자치제 시행에 따라 시 행정에 있어 많은 변화가 예고되고 있으며, 공원 녹지는 새로운 환경 변화에 부합되는 적절한 도시요소가 될 것으로 추정된다. 서울시 하천 복개의 금지, 하천공간의 복원에 대한 움직임, 환경 녹지 복구를 위한 사업의 시행, 민간부문의 환경 운동의 활성화 등 바람직 한 현상이 전개되고 있어, 공원 녹지는 미래의 도시 관리 에 있어 주요 관심사가 될 것이다.

  • PDF

An Exploratory Study on Urban Parks and Green Space System in Terms of the Open Space Network - Focused on the City of Daejeon - (오픈스페이스 네트워크 측면에서의 도시공원녹지체계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대전광역시를 대상으로 -)

  • Lee, Shi-Young;Lim, Byong-Ho;Shim, Joon-You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7 no.5
    • /
    • pp.53-63
    • /
    • 2009
  • This study aims at presenting a plan to build an open space network system in the city of Daejeon, assuming that parks and the green space system as a broad concept are to make a network by connecting open spaces such as parks, green spaces, squares, pedestrian roads, historical spots, etc. In the case of old downtown in Daejeon, this study examined the possibility of applying an open space network in the city of Daejeon and categorize them according to the findings from examining the case area, which enables to make a plan for building an open space network system in Daejeon. As a result, public offices and business buildings as an active open space have public open spaces in front of buildings and these front public open spaces are connected to pedestrian roads(gray open space). Since these pedestrian roads are consequently connected to large parks and rivers(green or blue open space), this overall spatial sequence can form an open space system. In addition, parks and green spaces, which have been fundamental elements so far, exist in relatively small and scattered areas at the center of the city. Hence, more parks and green space are needed to improve a park and green space system.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create new parks and green spaces in downtown, especially in old downtown areas. Therefore making an open space network system which spreads out over the whole city will form a healthy open space network in the downtown area.

기기냉각수 최저온도와 정지냉각계통 유량조절밸브 개도에 관한 설계분석

  • 김도현;이중섭;오종필;오광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5.10a
    • /
    • pp.444-449
    • /
    • 1995
  • 한국형 표준 원자력발전소의 정지냉각운전시 최대냉각율은 75$^{\circ}$F/hr(41.7$^{\circ}C$/hr)로 기술사양서에 규정되어 있다. 정지냉각운전 냉각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2가지 중요한 변수는 정지냉각계통 열교환기를 지나는 원자로냉각재 유량과 기기냉각수의 온도다. 이중 열교환기를 지나는 원자로냉각재 유량은 butterfly형 정지냉각계통 유량조절밸브의 개도에 의하여 조절되는데 개도에 따른 throttle 능력이 중요한 인자다. 또 기기냉각수의 온도는 해수온도의 변화에 따라 편차가 발생하므로 유량조절밸브의 개도와 기기냉각수 온도의 상관관계에 따라 냉각능력이 달라진다. 본 논문에서는 현 울진 3&4호기 정지냉각계통 열 교환기 및 조절밸브 둥의 설비를 기준으로 기술사양서 상의 냉각율 75$^{\circ}$F/hr(41.7$^{\circ}C$/hr) 유지가 가능한 최저 기기냉각수의 온도를 찾아보았고, 아울러 기기냉각수의 온도와 조절밸브의 개도 사이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현재의 울진 3&4호기 조절밸브를 최저개도로 조절할 때 약 57$^{\circ}$F(13.9$^{\circ}C$)의 기기냉각수가 공급되어도 냉각율 제한치를 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최저조절가능 유량이 약 2000 gpm(7570 l/min)일 경우에는 낮은 기기냉각수가 공급될 경우 최대냉각율을 초과하므로 한 train을 정지시키고 한 train만으로 운전할 것을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 경우 최저 약 56.5$^{\circ}$F(13.6$^{\circ}C$)의 기기냉각수가 공급되어야 한다. 본 논문의 분석결과는 향후 기기설계사양서나 운전지침서 등에 반영되어 실제 발전소 설계 및 운전절차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공감대의 형성이 요구된다. 질적 측면에서는 공원 녹지의 기능성의 회복이라는 측면과 시대에 부합되는 새로운 기능 및 가치의 부여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공원의 매력, 공원의 시설기능 증진, 녹지의 질의 향상 및 녹지 가치의 증진에 대한 다양한 시책이 요구된다. 구성적 측면에서는 공원녹지의 개별적 존재보다는 공원 녹지를 상호간 유기적인 계통을 확보하여 공원 녹지의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도시 속의 산재된 고립된 섬으로서의 공원 녹지가 아닌 시민생활에 늘 가까이 있는 생활 속의 공원녹지로 재편되어야 한다. 이러한 정책의 의제는 양적 측면에서 보전(CONSERVATION)과 창출(CREATION), 질적 측면에서 쇄신(RENOVATION)과 복구(RESTORATION), 그리고 구성적 측면에서 공원 녹지의 연결(CONNECTION)과 시민 참여에 의한 운동(MOVEMENT)이라는 정책 개념의 구현을 통해 가능하다. 이러한 정책 개념과 의제를 가지고 서울시 공원 녹지 정책을 구체화시키기 위해서 푸르름의 새로운 탄생이라는 기치 아래 풍요로운 서울, 사랑 받는 공원, 생활 속의 녹지의 3대 목표, 공원 녹지의 보전, 잠재 공원 녹지의 창출, 공원의 활성화, 녹지의 복구, 경관 보전 및 복구, 공원 녹지의 네트워크, 도시 녹화의 7대 과제를 설정하고 미시설 공원 녹지 집행, 개발 사업시 공원 녹지의 확보, 환경 녹지의 총량 보호 관리, 도시 소공원 개발, 역사 문화 공원 조성, 하천 공간 복원, 공원 시설 기능 개선, 이용 프로그램 개발, 공원 관리 개선, 환경 피해 녹지의 회복, 도시 환경 림 조성, 녹지 기능 증진, 도시 자연 경관 보전, 공원 녹지체계 구성, 공원 녹지 공급 균형, 주변 환경 녹화, 가로 녹화의 17개 시책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정책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서는 기존의 관주도의 일방적인 공원 녹지 행정이 아닌 시민의 참여를 통한 시민이 함께 하는 정 책 사업의 추진이 요구되며, 특히 민간 부문의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