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ablishing Urban Green Network by Estimating Birds Moving Pattern

야생조류 이동통로 예측을 통한 도시녹지네트워크 설정연구

  • Hong, Suk-Hwan (L.E.T Eco-Plan Research Center) ;
  • Choi, Song-Hyu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Pusan National University) ;
  • Lee, Soo-Do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Jinju National University) ;
  • Bae, Jung-Hee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University of Seoul)
  • 홍석환 (L.E.T 에코플랜연구센터) ;
  • 최송현 (부산대학교 조경학과) ;
  • 이수동 (진주산업대학교 조경학과) ;
  • 배정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Received : 2009.04.20
  • Accepted : 2009.06.22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This study is to establish urban green network on the urbanized area using characteristics of fragmented and ornamental green area distribution. To do this, the survey for the green area characteristics was carried out in Changwon City. In order to analyze network, a virtual network in whole city sky for bird's movement, which is consisted with 30m grid lines was prepared. To analyze which network routes depend on the direction, we estimated bird's movement between 8-direction and 16-direction's outskirt forest's source point and inner city's fragmented green area. In the analysis of two types different direction models, the results of green network routes are mostly matched. So green network plan by this results is more reasonable for enhancing bird's movement to inner city. Based on the these findings, this green network planning will be providing for inner city to influx outside forest's birds and maximize the ecological connectivity.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의 녹지네트워크를 구현함에 있어 시가화 지역을 대상으로 산재해 있는 녹지분포 특성을 조사한 후, 이를 기반으로 야생조류의 이동경로를 예측하여 녹지네트워크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 창원시를 대상으로 시가화 지역에 대해 녹지분포를 조사하고, 여기에 야생조류 이동가능 루트의 예측을 위해 30m간격으로 가상의 격자 네트워크를 구축한 후 경로탐색을 실시하였는데, 이 때 도심내 파편화된 도시녹지와 도시 외곽의 연결이 방향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일어나는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8지점 및 16지점으로 구분하여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양 분석 모두 가상의 이동경로가 대체로 동일한 지역을 지나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었다. 이에 야생조류의 이동횟수가 집중된 지역을 중심으로 녹지네트워크를 설정하는 것이 도심 내 야생조류 유입을 위한 타당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러한 녹지네트워크 계획 결과는 도시외곽의 양호한 자연지역에 서식하는 야생조류의 원활한 도심 내 유입을 위한 시가화지역의 생태적 연결성 확립에 기여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기문. 2002. 야생조류 이동통로 연결을 위한 강남구 Green Way 조성방안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5쪽.
  2. 김정호. 2005. 도시생태계 특성을 고려한 생태적 토지이용계획 기법 연구 –경기도 하남시를 사례로 ‐.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71쪽.
  3. 김지석. 1999. 아파트단지내 야생조류 서식공간으로서 녹지특성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6쪽.
  4. 박찬열. 1994. 야생조류의 서식에 적합한 도시환경림 조성 및 관리방안.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3쪽.
  5. 부산광역시. 2007. 낙동강하구 일원 자연환경보전 종합계획. 257쪽.
  6. 사공정희, 나정화, 조현주. 2007. 공원녹지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추가녹지 조성 우선순위 선정. 한국조경학회지 34(6): 10-21.
  7. 서울특별시. 2000. 도시생태개념의 도시계획에의 적용을 위한 서울시 비오톱 현황조사 및 생태도시 조성지침 수립 ‐1차년도 보고서. 245쪽.
  8. 양석우, 정혜진, 최지영, 김기호. 2007. 도시 그린 웨이 네트워크를 위한 계획체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23(6): 209-220.
  9. 이수동. 2005. 야생조류 이동을 위한 산지형 도시녹지의 연결성 평가 및 연결기법 연구: 서울시를 대상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8쪽.
  10. 이정임, 송미영, 유영성, 이기영, 김동영, 이병희. 2005. 경기도 환경정책 이슈와 제안. 경기개발 연구원. 340쪽.
  11. 이희연. 2003. GIS 지리정보학. 법문사. 688쪽.
  12. 차수영, 박종화. 1999. 조류서식지 평가모형을 이용한 서울시 녹지네트워크 구상. 한국조경학회지 27(4): 29-38.
  13. 차수영. 1999. 조류서식지 평가모형을 통한 서울시 네트워크 구상.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4쪽.
  14. 창원시. 2006. 창원시 공원녹지조성 기본구상.
  15. 홍석환. 2007. 환경친화적 도시관리를 위한 환경생태계획 수립기법 개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68쪽.
  16. 최송현. 2008. Biotope Mapping and Evaluation in Gangseo-Gu of Busan Metropolitan City.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1(3):92-106.
  17. Andrews, W. A. and J. L. Crammer-Byng(Editors). 1981. Urban natural areas : Ecology and preservation. Environmental Monograph no.2. Institute of Environmental Studies,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Ontario.
  18. Baschak, L. A. and R. D. Brown. 1995. An ecological framework for the planning, design and management of urban river greenway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33: 211-225. https://doi.org/10.1016/0169-2046(94)02019-C
  19. Berke, P. R. and M. M. Conroy. 2000. Are we planning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 evaluation of 30 comprehensive plans.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66(1): 21-33. https://doi.org/10.1080/01944360008976081
  20. Flink, C. A., L. Schwarz, R. M. Searns. 1993. Greenways: A guide to planning, design and development. Island Press. 351p.
  21. International Union for the Conservation of Nature and Natural Resources. 1980. World conservation strategy: Living resource conserv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22. Lindsey G. 2003. Sustainability and urban greenways: Indicators in Indianapolis.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69(2): 165-180. https://doi.org/10.1080/01944360308976304
  23. Linehan, J., M. Gross, J. Finn. 1995. Greenway planning: developing a landscape ecological network approach.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33: 179-193. https://doi.org/10.1016/0169-2046(94)02017-A
  24. Little, C. E. 1990. Greenways for America.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88p.
  25. Mertes, J. D. and J. R. Hall. 1995. Park, recreation, open space and greenway guidelines. National Recreation and Park Association, 164pp.
  26. Robbins, C. S., D. K. Dawson, B. A. Dowell. 1989. Habitat Area Requirements Of Breeding Forest Birds Of the Middle Atlantic States. Wildlife Monographs 109: 1-34.
  27. Ryan, K. L. 1993. Trails for the twenty‐first century: Planning, design, and management manual for multi‐use trails. Island Press, 212pp.
  28. Simberloff, D., J. A. Farr, J. Cox, D. W. Mehlman. 1992. Movement corridors: Conservation bargains or poor investments? Conservation Biology 6(4): 493-504. https://doi.org/10.1046/j.1523-1739.1992.06040493.x
  29. Wilcove, D. S., C. H. McLellan, A. P. Dobson. 1986. Habitat fragmentation in the temperate zone. pp. 237-256, In: M.E. Soule(ed.). Conservation Biology: The Science of scarcity and Diversity. Sunderland, MA: Sinauer Associates Inc.
  30. Wilson, E. O. and E. O. Willis. 1975. Applied biogeography, pp 523-534 in M. L. Cody and J. M. Diamond, ed. Ecology and evolution of communities. Harvard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