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녹지관리

Search Result 263, Processing Time 0.019 seconds

Distribution of Culturable Bacteria of Bioaerosol according to Land Type in Winter in the City Center (도심지 겨울철 토지피복 유형별 바이오에어로졸 중 배양성 세균 분포)

  • Kim, Jeong-Ho;Yun, Yong-Han;Kim, Hak-Gi;Lee, Myeong-Hun;Park, Yeong-jin;Lee, Dong-Jae;Sin, Yong-ji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35 no.6
    • /
    • pp.669-678
    • /
    • 2021
  • This study surveyed three land cover types in Chungju City in Chungcheongbuk Province to check the distribution of cultured bacteria in bio-aerosols according to land cover type. It was possible to compare and analyze the distribution of bacteria according to microclimatic changes at each measurement point by examining meteorological factors and bio-aerosols according to land cover. The microclimate temperature in each measurement point was 8.7℃ for the urban forest, 10.8℃ for the waterside green area, and 10.2℃ for the urban area, indicating the urban forest had the lowest temperature among the measurement points. The relative humanity was 61.8% fin the urban forest, 59.3% in the waterside green area, and 55.7% in the urban area, indicating that the urban forest was the most humid among the measurement points. The identified bacteria were found to be 43 genera and 99 species. In terms of species diversity of cultured bacteria, 22 genera were found in the waterside green area, 21 genera in the urban forest, and 17 genera in the urban area, 37 species were found in the waterside green area, 31 species in the urban area, and 31 species in the urban forest. Bacillus toyonensis and Pseudarthrobacter oxydan were the species present in all three types of measurement sites, and Herbiconiux flava was confirmed to inhabit green areas such as urban forests and waterside green areas. The analysis result of the bacterial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microclimatic environment in each measurement point was 333 CFU/m3 in the urban forest, 287 CFU/m3, in the waterside green area, and 173 CFU/m3 in the downtown area. The relative humidity and wind speed were analyzed to show a similar trend as the concentrat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healthy urban management and green area creation by identifying the distribution of cultured bacteria in bio-aerosols according to land cover type and comparing and analyzing the traits of bio-aerosol in each measurement point.

울진 3&4호기 CFMS 화면설계의 인간공학적 검토

  • 정광태;이용희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6.10a
    • /
    • pp.171-178
    • /
    • 1996
  • CFMS(Critical Function Monitoring System)는 원자력발전소의 비상시에 운전원에게 보조장보를 제공하는 지원시스템이다. 본 연구에서는 원자력발전소 울진 3&4호기 CFMS의 화면설계에 대한 인간 공학적 검토를 수행하였다. CFMS에 대한 규제 및 법규를 만족시키는 것과 CFMS 화면설계가 운전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인간공학적 타당성 평가의 사례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인간공학적 검토의 공식적인 체계를 설정하기 위하여, CFMS 설계에서 필요한 인간공학 업무를 규정하고 수행절차를 기술하는 인간공학 프로그램 계획 (Human Factors Engineering Program Plan; HFEPP)과 설계평가의 방법과 업무 내용을 기술하는 확인 및 검증 프로그램 계획(Human Factors Engineerign Verification and Validation Plan; HFE V&V Plan)을 개발하였다. CFMS 설계에 대한 인간공학적 확인 및 검증을 위하여 CFMS의 정보 가용성 (information availability)과 화면 적합성 (display suitability)을 확인하였다. 정보 가용성의 확인은 CFMS 설계 요건서에서 정의된 정보를 중심으로 한 필요정보의 목록과 CFMS 화면상에서 제공되는 정보의 목록을 비교함으로써 수행되었다. 화면 적합성의 확인은 검토항목 선정, 검토양식 개발, 전문가 검토, 실험검토 등의 과정을 통하여 수행되었다. 관련 규제 문건으로 부터 규제요건상 만족해야할 최소한의 검토항목을 선정하고 검토양식을 개발하였으며, 인간공학 전문가들의 주관적 평가를 통하 여 수행되었다. 또한 화면의 조작방식에 대한 상세검토를 수행하였다. 검토결과로부터 발견된 문제점들은 HED (Human Engineerign Discrepance) 목록으로 정리하여 설계에 반영하도록 하였다.로 마음의 안정감, 몸의 긴장 이완에 따른 건강 상태 유지, 수업 집중도 향상 등이 나타났다. 위와 같은 종합 적 분석 결과에 따라, 본 연구는 제조 현장의 생산성 향상 및 품질 향상과 연계하여 작업자의 작업 집중도 향상, 작업자의 육체적, 심리적 변화에 따른 생산성 및 품질 향상 변화 정도 등의 산업공학(인간공학) 제 분야의 여러 측면에서 연구 및 적용이 가능하리라 사료된다.l, 시험군:25.90$\pm$7.16mg/d1, 47% 감소)를 나타내었으며, 시험군의 AUC는 대조군에 비해 39% 감소하였고, 혈중 아세트알데히드의 농도는 투여 60분후 시험군(3.96$\pm$0.07nmo1/$m\ell$)이 대조군(6.45$\pm$0,64nmo1/$m\ell$)에 비해 유의성 있는 감소(39%)를 나타내었으며, 시험군의 AUC는 대조군에 비해 48% 감소하였다 한편, 시험관내 에탄올 대사 효소에 대한 바이오짐의 효과를 검색해본 결과 바이오짐(2.0 $\mu\textrm{g}$/assay)에 의해 Aldehyde dehydrogenase(1.5unit/assay)의 활성이 14% 증가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볼 때, 비지니스 및 바이오짐은 음주 후 상승된 혈중 에탄을 농도 및 아세트알데히드의 농도를 현저히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었다.량 보호 관리, 도시 소공원 개발, 역사 문화 공원 조성, 하천 공간 복원, 공원 시설 기능 개선, 이용 프로그램 개발, 공원 관리 개선, 환경 피해 녹지의 회복, 도시 환경 림 조성, 녹지 기능 증진, 도시 자연 경관 보전, 공원 녹지체계 구성, 공원 녹지 공급 균형, 주변 환경 녹화, 가로 녹화의 17개 시책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정책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서는 기존의 관주도의 일방적인 공원 녹지 행정이 아닌 시민의 참여를 통

  • PDF

A Case Study on the Urban Growth Management (도시성장관리계획 사례 고찰)

  • Lee, Hee-Wo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7.11a
    • /
    • pp.371-374
    • /
    • 2007
  • 본 연구는 현대 도시의 다양한 문제점에 대한 대응방식에 있어서 도시성장관리정책의 측면에서 접근하여 미국의 시애틀 도시를 대상으로 하여 그 성장과정과 도시계획 및 설계의 정책변화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제도적, 계획적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시애틀의 도시성장과정에서 주목할 점은 일찍이 도시의 녹지확보를 위한 계획과 정책, 자금확보를 수행해 왔으며, 도시성장관리 기법에 의거한 도시계획의 수립, 도시전체에 대한 포괄적 계획의 수립, 지속가능한 개발정책의 수립을 들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시민의 참여를 적극 유도하고 있다는 점이다.

  • PDF

Classification of Urban Green Space Using Airborne LiDAR and RGB Ortho Imagery Based on Deep Learning (항공 LiDAR 및 RGB 정사 영상을 이용한 딥러닝 기반의 도시녹지 분류)

  • SON, Bokyung;LEE, Yeonsu;IM, Jungh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4 no.3
    • /
    • pp.83-98
    • /
    • 2021
  • Urban green space is an important component for enhancing urban ecosystem health. Thus, identifying the spatial structure of urban green space is required to manage a healthy urban ecosystem. The Ministry of Environment has provided the level 3 land cover map(the highest (1m) spatial resolution map) with a total of 41 classes since 2010. However, specific urban green information such as street trees was identified just as grassland or even not classified them as a vegetated area in the map. Therefore, this study classified detailed urban green information(i.e., tree, shrub, and grass), not included in the existing level 3 land cover map, using two types of high-resolution(<1m) remote sensing data(i.e., airborne LiDAR and RGB ortho imagery) in Suwon, South Korea. U-Net, one of image segmentation deep learning approaches, was adopted to classify detailed urban green space. A total of three classification models(i.e., LRGB10, LRGB5, and RGB5) were proposed depending on the target number of classes and the types of input data. The average overall accuracies for test sites were 83.40% (LRGB10), 89.44%(LRGB5), and 74.76%(RGB5). Among three models, LRGB5, which uses both airborne LiDAR and RGB ortho imagery with 5 target classes(i.e., tree, shrub, grass, building, and the others), resulted in the best performance. The area ratio of total urban green space(based on trees, shrub, and grass information) for the entire Suwon was 45.61%(LRGB10), 43.47%(LRGB5), and 44.22%(RGB5). All models were able to provide additional 13.40% of urban tree information on average when compared to the existing level 3 land cover map. Moreover, these urban green classification results are expected to be utilized in various urban green studies or decision making processes, as it provides detailed information on urban green space.

Distribution of Actual Vegetation and Management of Bukhansan National Park (북한산국립공원의 현존식생분포 및 관리)

  • Oh, Koo-Kyoon;Kim, Do-Gyun;Kim, Chul-Eui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2 no.2
    • /
    • pp.83-97
    • /
    • 200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ctual vegetation and Degree of Green Naturality(DGN) and distribution of exotic plants replanted in Bukhansan National Park. The actual vegetation of the surveyed site was classified into eight plant communities and crop land, etc. Substitutional forest were classified into five plant communities; Quercus mongolica community, Q. mongolica-Pinus densiflora community, Deciduous broadleaf forest, etc. Reforested lands were classified into three forest types: P. koraiensis forest, Robinia pseudoacacia forest, P. rigida forest, etc. The area of DGN 8 consisted of 92.80% in Bukhansan National Park. The replanted plants in Bukhansan National Park was enlisted as 212 taxa, 71 families. The indigenous native among the replanted species were enlisted as 67 taxa(31.6%), 37 families. The exotic plants were enlisted as 145 taxa(68.4%), 58 families. The exotic plants needs to management that for recovery of natural environment, improvement about maintenance of multiplicity and a site of scenery about natural plants in Bukhansan National Park.

A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Vegetation and Assessment of Green Naturality of Taeanhaean National Park (태안해안국립공원의 식생분포 및 녹지자연도 사정에 관한 연구)

  • Oh, Koo-Kyoon;Kim, Young-Sun;Kim, Chul-Eui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4 no.2
    • /
    • pp.108-116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ctual vegetation and Degree of Green Naturality(DGN) in Taeanhaean National Park in 2009. The actual vegetation of the surveyed site was classified into eleven plant communities and the others. Substitutional forest were classified into six plant communities; Pinus thunbergii community, P. densiflora community, Deciduous Broadleaf Forest, P. densiflora-Deciduous broadleaf Forest, etc. and the afforested lands were classified into five forest types: P. thunbergii, P. thunbergii-P. rigida Forest, Robinia pseudoacacia Forest, etc. The area of DGN 8 consisted of 40.66% while the area of DGN 9 consisted of 13.7% when compared with land area of Taeanhaean National Park. For the recovery of natural landscape and biological diversity of Taeanhaean National Park needs to be managed for eliminate to the exotic plants.

조경기술사회 탐방

  • 한국기술사회
    • Journal of the Korean Professional Engineers Association
    • /
    • v.42 no.1
    • /
    • pp.6-7
    • /
    • 2009
  • 조경기술사회는 1989년 9월 25일 조경기술사들이 모여 분회를 구성하여 조경기술사의 지위향상과 권익보호에 힘쓰고 있다. 조경기술사의 신기술 및 기술보급을 통하여 국토환경의 보전, 공원녹지, 공지확충계획, 신도시의 개발과 기존도시의 정비 등에 경관계획, 조성 및 관리에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는 한국기술사회 조경기술 사회를 탐방하여 김기성 회장을 만나보았다.

  • PDF

Classification, Analysis on Attributes and Sustainable Management Plan of Biotop Established in Pohang City (포항시 비오톱의 유형 구분, 속성 분석 및 복원 방안)

  • Jung, Song Hie;Kim, Dong Uk;Lim, Bong Soon;Kim, A Reum;Seol, Jaewon;Lee, Chang Seok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52 no.3
    • /
    • pp.245-265
    • /
    • 2019
  • Biotope, which represents the characteristic habitats of living organisms, need to be identified as essential for the efficient creation and sustainable management of urban ecosystem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for ecological urban planning by analyzing types and attributes of the biotop established throughout the whole area of the Pohang city, a representative industrial city in Korea. The biotop established in Pohang city is composed of 12 types including forests (coniferous, deciduous, and mixed forests), agricultural fields (rice paddy and upland field), green facilities, river, reservoir, bare ground, residential area, public facilities, commercial area, industrial area, roads, and school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roperties according to biotop types, industrial, commercial and residential areas, which represent urban areas, was dominated by introduced vegetation. Moreover the introduced vegetation is usually composed of exotic plants or modified forms for landscape architecture and horticulture rather than native plants, which reflects ecological property of both region and site. As the distance from the urban center increases, the agricultural field showed a form of typical farmland, whereas the closer it is, the more form of greenhouse farming. Natural green spaces were divided into riparian vegetation established along the stream and forest vegetation. Forest vegetation is consisted of secondary forests (seven communities) and plantations (three communities). The urban landscape of Pohang city is dominated by the industrial area. Among them, the steel industry, which occurs large amounts of heat pollution and carbon dioxide, occupies a large proportion. On the other hand, green space is very insufficient in quantity and inferior in quality. This study proposed several restoration plans and further, a green network, which ties the existing green spaces and the green space to be restored as a strategy to improve the environmental quality in this area.

NDVI analysis of downtown using satellite image and GSIS (위성영상과 GSIS를 이용한 도심의 식생지수 분석)

  • Hwang, Eui-Jin;Shin, Ke-Jong;Choi, Seok-Keun;Lee, Jae-Kee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5a
    • /
    • pp.249-253
    • /
    • 2005
  • 인공위성 데이터를 이용한 원격탐사 기술과 지형공간정보시스템의 통합에 의한 도시에의 활용은 도시 계획뿐 만 아니라, 환경정비와 유지 관리 측면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대상지역의 Landsat TM 영상자료를 이용하여 보정과정을 수행하고, GSIS 시스템의 NDVI(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식을 이용하여 식생지수를 추출하였다. 산출된 식생지수를 5개 등급으로 분류하여 비 식생지역과 식생이 활발한 지역을 구분하여 분석하였고, 인공위성 데이터의 밴드간 비연산 처리를 실시하여 식물의 건강상태를 나타내는 NDVI를 위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추출함으로써, 시가지내의 녹지분포에 대한 시계열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 결과 도심주변지역에 분포하는 낯은 구릉지에서 점차적으로 도시화가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고, 전체 면적별 녹지분포가 높은 구릉지 및 산악지역의 3, 4, 5등급지역 면적 비율이 68.9%에서 37.2%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오대산국립공원의 용도지구 및 토지피복변화

  • Han, Gap-Su;Park, Gyeong-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5.05a
    • /
    • pp.85-87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오대산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용도지구의 변화와 이에 따른 토지피복 변화경향을 파악하였다. 용도지구의 경우 취락지구의 면적이 증가하여 공원 개발의 가능성이 증가하였다. 토지피복변화에서도 공원 전체면적 중 개발지와 나대지의 면적증가에 따른 녹지의 감소가 경향이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각 지구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나 자연보존지구와 자연환경지구에서 녹지의 감소와 나대지의 증가경향을 보였으며, 기존 개발성격의 용도지구인 취락지구와 집단시설지구의 경우 개발지의 증가가 두드러져 토지이용특성에 있어서 개발이 심화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결과를 통해 개발성향의 취락지구의 증가가 토지피복변화의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지구의 경우 토지피복분포상개발지가 증가하여 개발이 심화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향후 토지피복변화 경향을 고려하여 공원계획의 수립시 용도지구의 조정을 검토하며, 각 용도지구에서의 토지피복변화를 고려한 공원관리가 필요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