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녹지경관

Search Result 162,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Landscape Fragmentation of Circular Greenspace in Cheongju and Requirements for a Sustainable Development (청주시 환상녹지의 경관 파편화 실태와 지속가능한 녹지관리 방안 모색)

  • Kim, Jai-Han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7 no.1
    • /
    • pp.79-97
    • /
    • 2012
  • This study examines on the impact of biodiversity in circular greenspace of Cheongju city since 2002 greenbelt release. Research h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biotope pattern change with landscape fragmentation. Major landscape fragmentation has occurred with development of residential sector and build-up of major highways. Settlement has been expanded to the entire area connected to urban district excluding the eastern forest. North-south district shows high road density, where inter-regional roads meet in the cross-section. It is found that landscape fragmentation impact on species richness as well as population size of the species varies depending on the animal species. The birds show high species richness in N2, N3, N4, S2(north-south zone) even with high fragmentation rate. This can be explained that birds can access to aquatic environment where they can find abundant food resources. The amphibians and the reptiles show almost no zonal variation in species richness than the birds. The more a zone fragmented in small patches, the species richness of the amphibians and the reptiles also tends to be declined. Information accumulation on biodiversity for integrating landscape planning in urban planning, various level of community participation in decision making process, and cross border cooperation with neighbouring Cheongwon-gun will be required for sustainable greenspace management of Cheongju City.

  • PDF

A Study on the Evaluative Models and Indicators for Diagnosis of Urban Visual Landscape - Focusing on Seoul City - (도시경관 진단을 위한 평가모델 및 지표개발 연구 - 서울시를 중심으로 -)

  • Kim, Seung-Ju;Im, Seung-Bi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7 no.1
    • /
    • pp.78-86
    • /
    • 2009
  • Recently, there seems to besome problems in the urban visual landscape as a result of continuous economic growth and industrial development. At the same time, the public has begun to be aware of the importance of visual resources, and the necessity for visual landscape conservation and improvement.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evaluative indicators for systematic visual landscape planning and design is urgent. The purpose ofthis study is to discover evaluative models and indicators for the diagnosis of urban visual landscapes. This study included the selection of 18 physical indicators(statistical data) by literature reviews, adoption of field and questionnaire surveys at 12 autonomous districts in Seoul and surrounding major mountain valleys and river streams(i.e. Mt. Nam and Han-River). The content of the questionnaire is scenic beauty. Moreover, the linear regression analysis between the scenic beauty mean scores and the physical indicator scores figure out the scenic beauty prediction model. As this study suggests, the most important indicators in urban visual landscapes are 'Greens', 'Park' and 'the number of apartment buildings(higher than 20 stories).' Based on the results, greens and parks should be priority elements to considerin urban landscape planning and design. Moreover, since the number of apartment buildings that are higher than 20 stories ha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scenic beauty score,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landscape planning. For the scenic beauty prediction models and evaluative indicators suggest a direction of urban management, each indicator becomes basic data for visual landscape planning and design. In following studies, if physical indicators and case studies are added, the scenic beauty prediction models and evaluative indicators could be more synthetic and systematic. Moreover, the development of physical indicators in three dimensions(3D)(i.e. results from visual district analysis, view surface analysis) could be expected to obtain more general and varied results.

부산북항재개발사업에서 색채계획을 통한 경관조성방안

  • Gwon, So-Hyeon;Lee, Jung-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06a
    • /
    • pp.24-26
    • /
    • 2012
  • 항만은 해륙교통의 요충지로서 그리고 국토의 균형적인 발전과 지역진흥의 기반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지만 노후항만시설 및 쇠퇴공간에 대한 유지 및 보수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기능의 상실은 물론 재해와 우범화의 대상이 될 수 있다. 특히, 항만의 활성화를 위해 중요한 부분인 항만고유의 기능인 생산 및 물류의 지원과 아울러 소득수준 향상에 따른 풍부한 생활공간으로의 환경 친화적인 정비와 항만재개발이 필요하며, 미래지향적 종합항만공간으로의 기능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국내 최초로 대규모 항만재개발이 추진되고 있는 부산북항재개발 사업에서도 항만도시의 경쟁력을 위해 국가차원에서의 경관계획을 반영하고 있으며, 해양도시 이미지 개선 및 가치향상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고유의 자연, 역사, 문화적 자원과 함께 각종시설, 건축물, 상징물, 생태 녹지의 상황과 특성에 맞는 경관조성에 노력을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북항재개발 사업에 대한 경관색채계획 사례분석을 통해 경관조성방안에 대해 향후발전방향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 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 PDF

A Study of the Functional Improvement for Comfortable Expressway Service Areas - Metropolitan Expressway Service Areas - (고속도로 휴게소 환경개선을 위한 기능 증진 방안 연구 - 수도권 휴게소를 중심으로 -)

  • Lee, Won-Myoung;Han, Bong-Ho;Kim, Jong-Yup;Park, Seok-Cheol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3 no.3
    • /
    • pp.63-76
    • /
    • 201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uggest improvement plans for problems with the landscape areas of highway service areas. The survey factors were land use, placement of green area and land coverage in terms of spatial and environmental property. Noise and topographic structure in detached green areas were surveyed in terms of impact factor. The status of the planting area around each service area was analysed in regards to planting structure and planting landscape. As a result, the mean of rations of land use were 81.6% building and 18.4% green areas, which were composed of 5.4% landscape area, 9.1% buffer area, etc. Planting areas as usable space accounted for only 0.7%, and the result of noise measurement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highway and service area and type of detached green area. The mean of ratio of planting area was 18.4%, which consists of 6.7% landscape planting, 3.4% other green area, 4.6% buffer area, 2.0% buffer and landscape area, 1.1% shade planting and 0.5% landscape and shade planting. Most planting areas aim at landscape appreciation and areas in which visitors can relax and gain recreation were insufficient. The planting structures of service areas were 52.2% canopy layer, 11.8% shrubs and 9.4% canopy and shrub layers, and most of the planting areas were a single layer of green area. Multi-layered planting structures in the landscape and buffer areas were required and a shade planting area was needed to improve amenities as planting canopy layered trees. This study suggested improvement methods for based environments, spatial function and planting function in landscape areas.

Improvement on Street Greenery for the Landscape Specialization and Increase of Green Volume on the Streets of Seoul (서울시 가로경관 특성화 및 녹량증진을 위한 가로녹지 개선 방안)

  • Byon, Hye-Ok;Han, Bong-Ho;Ki, Kyong-Seok;Jung, Jin-Mi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0 no.6
    • /
    • pp.35-46
    • /
    • 2012
  • This study attempts to specifically analyze green volume and scenery characteristics by classifying the streets in Seoul and suggest improvements accordingly. The subject streets for research were limited to those that have high occupancy ratio and are wide enough to have a big potential in improving green volume. In terms of green volume and scenery according to the types of streets, Platanus occidentalis and Ginkgo biloba were most common regardless of the street type, and the green ratio was 51.6% in residential areas, 50.4% in commercial areas, and 43.7% in business areas. Apart from the residential area, there was almost no green areas, and the ratio of green coverage was 71.0% in business areas, 64.0% in green areas, 37.3% in residential areas, and 36.2% in commercial areas, while the green volume coefficient was $1.9m^3/m^2$ on average. Based on the study results, it was set as a goal to provide the residential areas with a green community space and flowering trees throughout the year for scenery, and commercial areas with flowering trees and maples to emphasize the stores' image while not interfering with service and walking. For business areas, the goals were to improve green ratio and create streets that suit the urban image, and to set up spaces to provide habitat for wild animals with multi-layer planting and link to surrounding forests.

The Present Condition of Urban Vegetation and It' Ecological Management Proposal (도시녹지의 실상과 생태학적 관리방안)

  • 오구균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1 no.2
    • /
    • pp.230-239
    • /
    • 1997
  • 공원법이 제정된 이후 40여년 동안 어려운 여건 속에서 공원녹지분야의 양적 발전이 이루어져 왔다면 21세기에는 질적 발전이 이루어져야 되겠다. 도시계획의 틀속에서 최소한의 공원녹지가 지정, 조성되어 관리되고 있으나 지정된 공원녹지가 사유지인 곳이 많기 때문에 공원조성 뿐만 아니라 적절한 녹지관리가 어려워 자연보호식 녹지보호나 식묵행사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변화하는 시민 요구와 도시환경에 발 맞추어 도시환경보전과 경관보전을 위한 녹지체계 수립이나 관리목표를 세분화하지 못하고 체계적이고 선진적인 도시녹지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체계적이고도 질적인 도시농지관리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저확한 녹지실태 조사와 수요를 토대로 녹지체계정립, 녹지종류의 조정, 녹지종류별 생태학적 관리목표설정 및 세부지침이 선행되어야 한다.

  • PDF

POLICY PLAN FOR PARKS AND GREENERIES IN SEOUL

  • Lee, Sang-S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Professional Engineer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5.12b
    • /
    • pp.30-48
    • /
    • 1995
  • 서울시는 국가의 수도로서 이제 6n년의 역사를 맞이하였다. 뛰어난 산수와 자연 경관을 가진 서울시의 자연은 근세이후 도시의 발전에 따른 점차적으로 훼손되어 왔으며, 특히 1960년대 이후의 도시성장기에 시행된 개발 위주의 도시 정책은 공원 녹지의 잠식을 가속화시켜 본래의 자연은 양적, 질적 측면에 많은 피해가 발생되었다. 또한 도시 정책의 부분으로서 공원 녹지 정책은 개발 위주의 도시 정책에 밀려 제기능을 발휘 할 수 없었으며, 정책에 있어서도 목표와 미래 방향에 대한 뚜렷한 비전을 제시하지 못하였다. 현재 공원 녹지와 관련된 정책 환경을 볼 때, 각종의 도시개발 사업, 지방 자치제 시행에 따를 도시의 난 개발은 부족한 공원녹지를 더욱 잠식하는 위협요소가 되고 있으며, 토지수요에 대한 공급의 한계 상황에 직면해 있는 시점에서 개발론자 들은 공원 녹지를 개발의 주요대상으로 인식하는 자세를 견지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지구 환경의 문제의 대두, 환경에 대한 시민의 관심, 정책 집행자들의 환경 보전과 관리의 움직임이 나타나기 시작하고 있어 서울시의 공원 녹지의 미래 전망을 밝게 해주는 긍정적인 요소가 되고 있다. 2000년대를 바라본 현시점에서 도시의 기간 요소로서 공원 녹지는 단지 존재만의 가치가 아니라 적정한 기능을 부여하고 이용의 활성화를 통한 공원 녹지의 새로운 탄생이 요구되고 있다. 이것은 공원 녹지정책 측면에서 공원 녹지의 양적 측면에서의 풍요로움과 질적 측면에서의 기능성의 회복과 도시 구성적 측면에서의 공원 녹지의 네트워크의 구성이라는 3가지의 정책 이슈를 제기한다. 양적 측면에서 녹의 풍요로움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공급 지표 위주의 정책보다는 공원 녹지의 총량적인 관리 체제를 통한 전 도시적 차원의 공원녹지 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며, 공원 녹지로서 잠재 가치를 가지고 있는 새로운 유형의 공원 녹지의 조성과 각종 개발사업에 대한 공원 녹지의 잠식 방지를 위한 명확한 사회적인 공감대의 형성이 요구된다. 질적 측면에서는 공원 녹지의 기능성의 회복이라는 측면과 시대에 부합되는 새로운 기능 및 가치의 부여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공원의 매력, 공원의 시설기능 증진, 녹지의 질의 향상 및 녹지 가치의 증진에 대한 다양한 시책이 요구된다. 구성적 측면에서는 공원녹지의 개별적 존재보다는 공원 녹지를 상호간 유기적인 계통을 확보하여 공원 녹지의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도시 속의 산재된 고립된 섬으로서의 공원 녹지가 아닌 시민생활에 늘 가까이 있는 생활 속의 공원녹지로 재편되어야 한다. 이러한 정책의 의제는 양적 측면에서 보전(CONSERVATION)과 창출(CREATION), 질적 측면에서 쇄신(RENOVATION)과 복구(RESTORATION), 그리고 구성적 측면에서 공원 녹지의 연결(CONNECTION)과 시민 참여에 의한 운동(MOVEMENT)이라는 정책 개념의 구현을 통해 가능하다. 이러한 정책 개념과 의제를 가지고 서울시 공원 녹지 정책을 구체화시키기 위해서 푸르름의 새로운 탄생이라는 기치 아래 풍요로운 서울, 사랑 받는 공원, 생활 속의 녹지의 3대 목표, 공원 녹지의 보전, 잠재 공원 녹지의 창출, 공원의 활성화, 녹지의 복구, 경관 보전 및 복구, 공원 녹지의 네트워크, 도시 녹화의 7대 과제를 설정하고 미시설 공원 녹지 집행, 개발 사업시 공원 녹지의 확보, 환경 녹지의 총량 보호 관리, 도시 소공원 개발, 역사 문화 공원 조성, 하천 공간 복원, 공원 시설 기능 개선, 이용 프로그램 개발, 공원 관리 개선, 환경 피해 녹지의 회복, 도시 환경 림 조성, 녹지 기능 증진, 도시 자연 경관 보전, 공원 녹지체계 구성, 공원 녹지 공급 균형, 주변 환경 녹화, 가로 녹화의 17개 시책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정책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서는 기존의 관주도의 일방적인 공원 녹지 행정이 아닌 시민의 참여를 통한 시민이 함께 하는 정 책 사업의 추진이 요구되며, 특히 민간 부문의 적극적 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방안이 동시 에 강구되어야 한다. 또한 공공에서는 정 책 집행을 위한 조직과 행정의 개편, 예산의 확보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현재 서울시는 지방자치제 시행에 따라 시 행정에 있어 많은 변화가 예고되고 있으며, 공원 녹지는 새로운 환경 변화에 부합되는 적절한 도시요소가 될 것으로 추정된다. 서울시 하천 복개의 금지, 하천공간의 복원에 대한 움직임, 환경 녹지 복구를 위한 사업의 시행, 민간부문의 환경 운동의 활성화 등 바람직 한 현상이 전개되고 있어, 공원 녹지는 미래의 도시 관리 에 있어 주요 관심사가 될 것이다.

  • PDF

부산 북항재개발 항만시설물 경관계획

  • Lee, Han-Seok;Kim, Gyeong-In;Gang, Yeo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06a
    • /
    • pp.365-367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부산 북항재개발지역 항만시설물을 대상으로 친수성과 경관향상을 위해 경관계획을 실시하였다. 경관수로를 중심으로 방파제, 호안, 등대 등 항만시설물을 대상으로 시민에게 열린 친수공간을 계획하고 주변 녹지 및 수역과 조화되는 경관계획을 실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