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Evaluative Models and Indicators for Diagnosis of Urban Visual Landscape - Focusing on Seoul City -

도시경관 진단을 위한 평가모델 및 지표개발 연구 - 서울시를 중심으로 -

  • Kim, Seung-Ju (Metropolitan Planning Research Group in Seoul Dept. Institute) ;
  • Im, Seung-Bi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Rural System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 김승주 (서울시정개발연구원) ;
  • 임승빈 (서울대학교 조경.시스템 공학부)
  • Published : 2009.04.30

Abstract

Recently, there seems to besome problems in the urban visual landscape as a result of continuous economic growth and industrial development. At the same time, the public has begun to be aware of the importance of visual resources, and the necessity for visual landscape conservation and improvement.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evaluative indicators for systematic visual landscape planning and design is urgent. The purpose ofthis study is to discover evaluative models and indicators for the diagnosis of urban visual landscapes. This study included the selection of 18 physical indicators(statistical data) by literature reviews, adoption of field and questionnaire surveys at 12 autonomous districts in Seoul and surrounding major mountain valleys and river streams(i.e. Mt. Nam and Han-River). The content of the questionnaire is scenic beauty. Moreover, the linear regression analysis between the scenic beauty mean scores and the physical indicator scores figure out the scenic beauty prediction model. As this study suggests, the most important indicators in urban visual landscapes are 'Greens', 'Park' and 'the number of apartment buildings(higher than 20 stories).' Based on the results, greens and parks should be priority elements to considerin urban landscape planning and design. Moreover, since the number of apartment buildings that are higher than 20 stories ha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scenic beauty score,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landscape planning. For the scenic beauty prediction models and evaluative indicators suggest a direction of urban management, each indicator becomes basic data for visual landscape planning and design. In following studies, if physical indicators and case studies are added, the scenic beauty prediction models and evaluative indicators could be more synthetic and systematic. Moreover, the development of physical indicators in three dimensions(3D)(i.e. results from visual district analysis, view surface analysis) could be expected to obtain more general and varied results.

본 연구는 경관계획 수립에 앞서 해당 도시의 주요 경관자원을 객관적인 기준으로 평가하고, 평가결과를 토대로 도시경관의 수준을 진단하여 향후 수립되는 경관계획의 방향설정에 기여하고자 도시경관 진단을 위한 평가모델 및 평가지표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도시 전체의 경관을 다루고 있는 경관계획 관리 연구사례의 경관구성요소를 비교 분석하여 거시적 경관 구성요소 중 수치화가 가능한 요소를 대상으로 물적지표를 추출하고, 해당 지역에 거주하는 시민을 대상으로 경관미 값을 평가하여 경관미 평균값을 종속변수로, 물적지표를 독립변수로 회귀분석을 통해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검증된 회귀모델과 지표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경관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판단되며, 수치화가 가능한 데이터들로서 범용화가 가능한 통계량으로 서울시 통계DB를 참고하여 공원전체면적률, 공원시가지면적률, 1인당 공원면적, 녹지전체면적률, 녹지시가지면적률, 녹지율, 하천전체면적률, 하천시가지면적률, 개발제한구역전체면적률, 개발제한구역시가지면적률, 상업지역전체면적률, 상업지역시가지면적률, 공업지역전체면적률, 공업지역시가지면적률, 공장용지전체면적률, 공장용지시가지면적률, 20층 이상 아파트단지 개소, 광로 연장비율 등 총 18개의 물적지표를 선정하였다. 둘째, 통계분석을 통해 통계적 유의성이 검증된 회귀모델의 공통적인 독립변수로 도출된 녹지전체면적률, 공원전체면적률, 20층 이상 아파트 단지 개소를 도시경관 진단을 위한 최종 평가지표로 선정하였다. 셋째, 녹지전체면적률, 공원전체면적률, 20층 이상 아파트 단지 개소의 표준화계수를 토대로 경관미 값에 녹지전체면적률이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층 이상 아파트단지 개소는 경관미 값과 부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경관계획 관리의 방향을 제시해 주는 기초적인 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물적지표의 추가개발과 대상지 추가조사로 더욱 종합적인 경관미 예측모델과 평가지표 개발이 예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성범(2002) SPSS로 배우는 데이터 분석과 활용. 서울: 길벗
  2. 김두운(2008) 동적 시뮬레이션에 의한 도시가로경관 관리지표의 허용범위 연구: 건축물 형태 및 배치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5(6): 74-83
  3. 김승주(2004) 도시경관진단을 위한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영석(2002) 사회조사방법론. 서울: 나남출판
  5. 김용수, 박찬용(2006) 도시경관계획을 위한 지표의 연구경향과 유형. 대한국토 . 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41(5): 117-129
  6. 김한배(2003) 도시경관계획의 작성방식에 관한 비교연구. 대한국토 . 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38(10): 213-230
  7. 변재상, 정수정, 임승빈(1999) 도시가로경관요소가 시각적 선호에 미치는 복합적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7(2): 9-18
  8. 서울시정개발연구원(1994) 한강연접지역 경관관리 방안 연구
  9. 서울특별시(2000) 새서울 우리한강 기본계획.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0. 서울특별시(2000) 서울의 주요산 경관풍치보전계획. 서울시립대학교
  11. 서울특별시(2003) 서울의 주요 하천변 경관개선 방안 연구
  12. 신지훈(2003) 도시 경관계획 지표 연구: 건축물 규모 및 배치지표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이정형, 이여경(2008) 지자체 경관시책의 현황과 특성을 고려한 경관법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4(5): 229-240
  14. 임승빈(1991) 경관분석론.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15. 임승빈, 변재상(2002) 도시경관관리를 위한 스카이라인 형성기법에 관한 연구: 미국 주요 도시의 스카이라인 형성요인과 기법적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논문집 6(1): 5-18
  16. 임승빈, 신지훈(1995) 경관영향평가를 위한 물리적 지표설정에 관한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1(10): 157-166
  17. 임승빈, 신지훈(1996) 경관영향평가를 위한 심리적 지표설정에 관한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2(9): 153-161
  18. 정재희(2000) 이동속도의 변화에 따른 가로경관의 평가: Virtual Reality를 이용한 실험. 한국조경학회지 28(5): 15-25
  19. 정태일, 오덕성(2004) 지구단위계획상의 경관계획요소에 대한 심리적반응. 한국조경학회지 32(3): 76-90
  20. 주신하, 임승빈(2003) 도시경관분석을 위한 경관형용사 목록 작성. 한국조경학회지 31(1): 1-10
  21. Bureau of Landscape Management(1995) Visual Resource Management Manual 8410 and 8431. Bureau of Landscape Management
  22. Institute of Environmental Assessment and the Landscape Institute(1995) Guidelines for landscape and visual impact assessment. E& FN SPON
  23. Stamps Ⅲ. A. E.(1997) Some streets of San Francisco: Preference effects of trees, cars, wires and building. Environment and Planning B ; Planning and Design 24: 81-93 https://doi.org/10.1068/b240081
  24. Stamps Ⅲ. A. E.(2000) Psychology and the Aesthetic of the Built Environment. MA: Kluwer Academic Publishers
  25. http://www.seoul.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