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녹색 건축

Search Result 283,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법령과고시(2) - 제1차 녹색건축물 기본계획 수립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294
    • /
    • pp.90-93
    • /
    • 2015
  • 국토교통부(장관 서승환)는 녹색건축물조성지원법의 후속조치로 지난해 12월 31일 제1차 녹색건축물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정부는 기본계획에 따라 2020년까지 건축물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를 배출전망치(BAU) 대비 26.9% 감축 목표를 수립했다. 특히 정부는 녹색건축물의 보급과 육성을 비전으로 ${triangle}$신축 건축물의 에너지 기준 강화 ${triangle}$기존 건축물의 에너지 효율개선 촉진 ${triangle}$건축물 사용자의 에너지 절약 유도 ${triangle}$녹색건축 기술개발 및 인프라 구축 등 4대 추진전략과 10개 정책과제를 도출했다. 이번 녹색건축물조성지원법 수립을 통해 고효율 설비 의무화 등 기계설비를 확대 반영하여 기계설비업계 발전의 토대가 마련됐다. 향후 정책과제 추진에 따라 녹색건축 설비 및 시공품질 강화, 그린리모델링 활성화, 녹색건축 전문기업 및 전문인력 육성을 비롯한 기계설비분야 기술개발 촉진 등으로 구체화될 전망이다.

  • PDF

이슈 & 이슈 - 녹색건축물 효율화 정책 및 녹색건축물 조성 지원법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263
    • /
    • pp.50-57
    • /
    • 2012
  • 저탄소 녹색성장은 세계적인 친환경 추이에 발맞추고 소비자들의 인식변화에 부응하는 신성장동력이다. 이를 잘 활용하면 기업의 경쟁력을 장기적으로 강화시킬 수 있고 새로운 기회를 가져다줄 수 있다. 녹색성장은 그야말로 기업 성장에 엄청난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새로운 패러다임인 것이다. 정부는 향후 에너지를 자급자족하는 건축물을 목표로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그 일환으로 건축물 에너지 목표관리제 도입, 녹색건축물 조성 지원법 등이 있다. 내년 2월 23일 시행을 앞두고 있는 '녹색 건축물 조성 지원법'은 건축물의 설계 시공 유지 관리 등 모든 분야에 영향을 미치는 법으로서, 특히 건축물의 에너지효율 개선 관련 기준을 제시할 예정이다. 이로써 고효율 설비 등 시설 투자는 물론 에너지 소비를 제어할 수 있는 기계설비의 위상과 역할이 크게 부각될 전망이다. 대한건설협회 및 한국생산성본부인증원은 지난 4월 18일 건설회관에서 '건설분야의 녹색정책과 대응방안' 컨퍼런스를 개최하고, $\bigtriangleup$저탄소 녹색성장 정책방향 $\bigtriangleup$녹색건축물 관련법 및 정책 추진방향 $\bigtriangleup$녹색건축물 조성지원법 제정에 따른 건설업의 나아갈 방향 $\bigtriangleup$녹색건축 도시조성을 위한 실천전략 $\bigtriangleup$녹색건축물제도가 건설업에 미치는 영향 등에 관해 주제발표를 했다. 본지는 '건설분야의 녹색정책과 대응방안' 컨퍼런스에서 발표된 내용을 바탕으로 '녹색건축물 조성 지원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본다.

  • PDF

A Basic Study on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in China (중국의 녹색건축인증 현황에 대한 기초조사 연구)

  • Kim, Jae-Young;Liu, Zhi-Hong;Lee, Jong-Kuk
    • The Journal of Sustainable Desig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Research
    • /
    • v.16 no.1
    • /
    • pp.12-19
    • /
    • 2017
  • This study investigates and analyzes the current status of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ESGB) in China, which is experiencing serious environmental pollution due to rapid economic development as an international pending issue for green growth, It is a basic research. This will be used as a resource to contribute to the reduction of carbon emissions in the future construction sector. The research method is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and the types of facilities in the whole of China, and to examine the evaluation criteria and items of ESGB 2014 and analyze the differences with ESGB 2006. Most of the research methods are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refer to the website of China Green Building Evaluation and the data of China Urban Science Institute.

건설정책 - 2025년부터 모든 건축물 '제로에너지' 의무화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233
    • /
    • pp.44-46
    • /
    • 2009
  • 국토해양부는 지난 10월 5일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열린 녹색성장위원회 회의에서 '녹색도시 건축물 활성화 방안'을 보고했다. 이 방안은 온실가스 감축과 저탄소 녹색성장을 구현하기 위해 건축물의 에너지를 획기적으로 감축하는 내용의 장기 마스터플랜이다. 녹색건축물 활성화 전략은 에너지소비총량제 등 신축건물 대책과 에너지소비증명서 등 기존 건축물 대책으로 나뉜다. 정부는 건축물의 에너지성능을 단계적으로 강화하여, 2025년부터는 모든 신축 건축물에 대하여 제로에너지 건축물(외부에서 유입되는 에너지가 제로인 건축물)을 의무화할 계획이다.

  • PDF

녹색건설기술 - 에너지절감 등 녹색기술 건축현장 적용사례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250
    • /
    • pp.44-60
    • /
    • 2011
  • `녹색건설기술 세미나'가 지난 2월 17일 건설회관 2층 중회의실에서 개최됐다. 이날 세미나에서는 ${\Delta}$녹색건설 정책방향 ${\Delta}$태양광 녹색기술 활용사례 ${\Delta}$에너지절감 건축현장 적용사례 ${\Delta}$친환경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 적용사례 등이 발표됐다. 본지는 녹색건설기술 정보교류 활성화를 위해 세미나에서 발표됐던 내용 중 이상엽 삼성물산 과장이 발표한 '에너지절감 등 녹색기술 건축현장 적용사례'를 소개한다.

  • PDF

법령과고시 - 녹색건축물조성지원법, 설비분야 반영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272
    • /
    • pp.54-55
    • /
    • 2013
  • 대한설비건설협회는 지난 2월 23일부터 시행에 들어간 녹색건축물조성지원법에 미래 건설산업의 핵심분야인 녹색건설에 차지하는 설비건설의 중요성을 반영하고, 설비건설 발전을 위한 정부 차원의 기본계획수립을 추진한 결과 국토해양부 장관이 녹색건축물 조성 촉진을 위하여 5년마다 수립하는 기본계획에 우리 설비분야가 포함되었고, 녹색건축물 전문인력 양성 및 업체 육성정책에도 설비 등 시공분야가 반영되었다. 이로써 그동안 협회가 추진했던 기계설비기준법의 제정 목적을 녹색건축물조성지원법에 반영시킨 성과를 거두었다.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협회는 금년에도 기계설비 시공 및 유지관리기준 등 기계설비의 주요 내용이 제대로 규정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할 계획이다.

  • PDF

법령과고시 (1) - 에너지 소비절감을 위한 녹색건축물 조성지원법 개정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288
    • /
    • pp.81-82
    • /
    • 2014
  • 국토교통부(장관 서승환)는 그린리모델링 사업지원 및 효율적 건물 에너지 관리 방안 등을 담은 '녹색건축물 조성지원법'을 일부 개정해 지난 5월 28일 공포했다. 이로써 정부는 녹색건축물 시공 전문기업을 지원할 뿐만 아니라, 에너지 절약적이고 친환경적인 건축물의 보급 활성화를 위하여 일정규모 이상의 건축물을 건축하는 경우에는 녹색건축 에너지효율등급 인증을 받도록 하고, 건축물 에너지 소비 절감을 위한 고효율 냉 난방 장치 설치를 의무화했다.

  • PDF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and Items in Korea and China - Focused on the Public Facilities - (한·중 녹색건축인증 체계 및 항목 비교를 통한 개선방향 연구 - 공공시설을 중심으로 -)

  • Kim, Jae-Young;Lee, Jong-Kuk
    • The Journal of Sustainable Desig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Research
    • /
    • v.17 no.3
    • /
    • pp.9-16
    • /
    • 2018
  • This research is intended to propose future research directions by identifying differences between Korea and China's public facilities at the time of introduction and presenting improvement measures by comparing the criteria for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The study focuses on the comparison of Korea's G-SEED 2016 and China's ESGB 2014. For data related to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in Korea, refer to the Construction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2016 v1.2 Guide for New Housing. A study on th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in China referred to the Green Building Assessment Standards. Comparisons were made between G-SEED 2016 general building certification review criteria and ESGB 2014 public facility certification criteria, and certification methods, essential items and specialties for each area.

Development of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Framework for Urban Neighborhood Scale Development (근린단위 녹색건축인증 평가체계 개발)

  • Jung, Seunghy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9 no.12
    • /
    • pp.203-214
    • /
    • 2019
  •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is being implemented in various countries around the world for the purpose of securing sustainability and reducing energy use and carbon emissions. Korea has been implementing G-SEED, a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for buildings since 2002, but in foreign countries, the evaluation target has been expanded from buildings to neighborhood units, cities, and infrastructur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Korean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in terms of neighborhood scale. In order to make Korean certification scheme for neighborhood communities, three major international certification systems (BREEAM Communities, LEED-ND, and CASBEE-UD) were compared. Comparison was executed about definitions and goals, certification system and range, certification categories, and regulation relationship by literature review. Based on the results, the evaluation system proposal including the scope, subjects, and items for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in Korea was prop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