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녹색종

검색결과 332건 처리시간 0.023초

녹색콩풍뎅이(Popillia quadriguttata)의 기주식물 (Host Plants of Popillia quadriguttata (Coleoptera: Scarabaeidae))

  • 이동운;추호렬;정재민;이상명;사공영보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5-19
    • /
    • 2002
  • 골프장 주요 해충인 녹색콩풍뎅이(Popillia quadriguttata) 성충의 기주식물을 경남지역의 골프장에서 알아본 결과, 골프장에서는 13과 15속 15종의 식물을 식해하는 것이 관찰됨으로서 기존 문헌기록의 8과 11속 11종을 합하여 총 18과 25속 26종의 기 주식물이 기록되었다. 녹색콩풍뎅이의 섭식 가능 식물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내에서 조사한 결과, 34과 70종의 제공 식물 중 19과 30종을 섭식하였다. 골프장에서는 등나무를 선호하였고. 실내 실험에서는 찰피나무와 석류, 버즘나무, 이팝나무, 고욤나무를 선호하였다.

전주천의 녹색 유글레나조류와 환경요인과의 상호관계 (The Relationships of Green Euglenoids to Environmental Variables in Jeonjucheon, Korea)

  • 김준태;부성민
    • 생태와환경
    • /
    • 제34권2호통권94호
    • /
    • pp.81-89
    • /
    • 2001
  • 녹색 유글레나조류와 수환경 요인과의 상호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전주시내 도심 하천에서 1996년 9월부터 1997년 8월가지 유글레나조류의 종조성과 밀도 및 환경요인을 매월 조사하였다. 질산염 농도는 6월에 3.22 mg/l로 높았고, 인산염은 겨울철에 0.71 mg/1 이상으로 높았다. 녹색 유글레나조류는 5속 71종이 출현하였으며, 봄에서 초여름 사이에 35${\sim}$42종으로 높고, 겨울에는 20종 이하였다. 출현종 수는 수온과는 정의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녹색 유글레나조류의 밀도는 겨울과 초여름에 각각 최대가 되는 전형적인 bimodal형을 보여주었다. 겨울의 밀도는 5,394 ce11s/ml로, Euglena caudata, E. geniclata와 E. viridis의 활발한 생장에 기인하였으며, 인산염에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초여름의 밀도는 4,823 cells/ml로 E. deses, Lepocinclis ovum과 Phacus trypanon등의 활발한 생장에 기인하며, 암모늄염과 질산염에 정의 상관을 보였다. 녹색 유글레나조류의 생태적 특징은 전주천과 같이 오염된 수계에서 환경요인의 변화를 예측하는 생물학적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 PDF

한국산 퉁돔과 어류 1미기록종, Aprion virescens (First Record of the Green Jobfish, Aprion virescens (Perciformes: Lutjanidae) from Korea)

  • 김준상;김병엽;송춘복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10-313
    • /
    • 2011
  • 퉁돔과에 속하는 Aprion virescens 1개체(표준체장 151.4 mm)가 제주연안에서 자망으로 처음 채집되었다. 이 종은 눈 앞에 세로로 깊게 파인 홈이 있고, 가슴지느러미는 매우 짧아 주둥이 길이와 비슷하며 등지느러미에 선명한 4개의 점이 존재한다. 이 미기록종의 속명과 국명은 "녹색퉁돔속", "녹색퉁돔" 이라고 각각 제안하였다.

그린 IT 국가전략

  • 우기종
    • ESCO지
    • /
    • 통권59호
    • /
    • pp.28-31
    • /
    • 2009
  • 지난 5월 13일 녹색성장위원회는 IT 부문의 녹색화와 IT를 통한 경제 사회 전 분야에 걸친 녹색화를 파급시키는 것을 주된 내용으로 하는 '그린 IT 국가 전략'을 수립 심의하였다. 이번에 수립된 그린 IT 국가전략은 기존에 각 부처별로 산재되어 있던 그린 IT 분야 개별 계획들을 연계하는 동시에, 부처간 협력과 조정을 통해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새로운 정책 사업 분야를 적극 발굴하려는 취지 하에 범부처 차원에서 마련되어진 종합계획이다.

  • PDF

가압살균한 전난액의 녹색변이 방지에 관한 연구 (Prevention of the Green-grey Discoloration in Retorted Liquid Whole Eggs)

  • 송인상;유익종;강통삼;민병용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7-32
    • /
    • 1984
  • 달걀을 어육혼합소시지 등 가압살균제품의 원료로 사용할 경우 기술상 문제점의 하나인 녹색변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전란액에 $Na_2$EDTA를 첨가하고 121$^{\circ}C$에서 가압살균시 $Na_2$EDTA에 의한 녹색변이 방지정도를 검토하기 위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전란액의 녹색변이 정도는 가열 온도 및 시간에 의해 크게 달라져 온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시간이 갈수록 심하였다. 2. 가압살균한 전란액의 녹색변이는 $Na_2$EDTA 0.015%정도 첨가에 의해 방지가 가능하였다. 3. 전란액의 $Na_2$EDTA 0.02% 첨가시 기호성의 하락은 인정할 수 없었으며 저장기간 중에는 녹색변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 PDF

유색콩 수집종의 주요 생태적 특성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lor - Soybean Collections)

  • 정찬식;백인열;고미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73-177
    • /
    • 1996
  • 경상북도 일원에서 수집한 유색콩 146계통을 공시하여 밥밑콩 유전자원의 이용성을 확대하고 유색콩 품종육성의 기초자료로 활용코자 주요 작물학적 특성을 조사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집계통은 흑색, 흑색 아주까리형, 선비잡이형, 밤색, 갈색, 갈색 아주까리형, 녹색 등 종피의 형태에 따라7종으로 분류되었으며 이 중 흑색 및 녹색의 종피를 가진 계통이 가장 많았다. 계통별 화색은 자색과 백색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자색을 가진 계,통이 전체 수집종의 90%에 해당하는 132계통이었다. 종실의 종피를 제거한 후 자엽의 색깔은 녹색이 82계통, 황색이 64계통 이었다. 2. 종피형태 별 개화일수, 결실일수 및 생육일수를 조사한 결과 개화일수 및 결실일수의 경우 51∼81일 및 75∼103일의 변이폭을 나타내어 수집계통간 공히 변이폭이 컸던 반면 생육일수의 경우에는 흑색 아주까리계통(123일)을 제외한 모든 계통에서 150∼159일로 비교적 변이폭이 작았다. 3. 100립중의 경우 109이하의 계통으로부터 36g이상의 계통까지 다양하였으나 이들중 흑색종피를 가진 계통중에서도 자엽색이 녹색인 계통들이 황색 계통에 비해 100립중이 무거운 경향을 보였고, 특히 선비잡이형 종피계통의 경우에는 100립중이 36g이상 되는 극대립종이었다. 4. 수집종의 종실형태는 대체로 편타원형이었으며, 길이 : 폭 : 두께의 비율은 평균1 : 0.87 : 0.69였고, 100립중과 종실의 형태적 특성간의 상관관계는 길이, 폭, 두께 모두가 고도로 유의한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 PDF

우리나라 소나무림의 식생형과 종다양성 패턴 (Vegetation Types and Diversity Patterns of Pinus densiflora Forests in South Korea)

  • 조현제;이창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0권1호
    • /
    • pp.118-123
    • /
    • 2011
  • 우리나라 전역에 걸쳐 잔존하고 있는 소나무림 315개소를 대상으로 식물사회학적 조사와 TWINSPAN 집락분석 및 DCA ordination 분석을 통하여 식생유형을 구분하고, 식생유형별 식물상 및 종조성 특성 그리고 종다양성 패턴 등을 분석하였다. 식생형은 크게 신갈나무형과 졸참나무형 등 2개의 상위단위와 8개 그룹의 하위단위로 유형화되었다. 식물상 조성에 있어서 종 및 속 수준에서의 풍부도는 국화과(21속, 45종)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백합과(18속, 34종), 장미과(17속, 34종), 콩과(15속, 25종)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종풍부도, 다양성 및 균등도 등의 다양성 패턴은 식생형 별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해발고도에 따라 종풍부도는 일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낸 반면, 종균등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