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녹두

검색결과 307건 처리시간 0.045초

식물추출물의 밭바구미에 대한 생물활성 (Biological Activities of Five Weed Extracts against Callosobruchus chinensis L. (Coleoptera: Bruchidae))

  • ;;;서상재;권용정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83-89
    • /
    • 2015
  • Mimosa pudica (미모사), Argemone mexicana (멕시코 가시양귀비) Leucus aspara (꿀풀과 일종), Polygonum hydropiper (여뀌), Blumea lacera (국화과 일종) 등 5종의 식물 헥산추출물들의 팥바구미 성충에 대한 살충, 성충우화억제력 및 녹두 종실피해 방제력이 검증되었다. 그 결과, 밭바구미 성충 살충력은 35-69%이었으며, 녹두에 추출물을 처리한 후 성충우화 방제율은 33-63%, 종실 피해 방제율은 13-49%이었다.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살충력, 성충우화 및 종실피해 방제율 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5종의 식물 헥산추출물들은 밭바구미 친환경 방제제로 이용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콩 및 녹두에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Riptortus clavatus (Thunberg)](노린재목: 호리허리노린재과)의 산란선호성 (Oviposition Preference of The Bean Bug, Riptortus clavatus (Thunberg) (Hemiptera: Alydidae), on Soybean and Mungbean Plants)

  • 정진교;서보윤;문중경;박종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379-383
    • /
    • 2008
  • 콩과 녹두을 대상으로 한 두과작물에 대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산란선호성을 검정하였다.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는 식물체 상부와 잎의 뒷면에 주로 산란하였으며, 포장 내에서는 가장자리와 안쪽에 관계없이 균등한 산란비율을 나타냈고, 산란된 잎의 대부분에서는 한 잎에 한 개의 알이 관찰되었다. 또 콩의 개화전과 개화 후에 산란비율에 차이가 없었다. 한편 여러 유전자원에 대한 산란선호성도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산녹두(韓國産綠豆)의 성숙중(成熟中) 지방산함량변화(脂肪酸含量變化)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Changes of Fatty Acid Composition in Seeds of Mung Bean during the Ripening Process)

  • 고무석;박복희;이행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75-79
    • /
    • 1982
  • 한국산(韓國産) 녹두(綠豆)(Phaseolus aureus)의 성숙단계별(成熟段階別) 지방산(脂肪酸)의 함량변화(含量變化)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개화후(開花後) 10일(日), 15일(日), 20日, 25일(日), 30일(日)의 5단계(段階)로 채취하여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조지방(粗脂肪)의 함량(含量)은 숙성(成熟)이 진행됨에 따라 증가(增加)하였다. (2) 녹두(綠豆)의 성숙과정중(成熟過程中) 나타나는 지방산(脂肪酸)은 myristic acid,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및 linolenic acid 등이다. (3) myristic acid, palmitic acid는 성분(成熟) 이후에서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4) 총(總) 지방산중(脂肪酸中) linoleic acid 함량이 가장 많고 oleic acid, linolenic acid는 거의 비슷한 함량(含量)을 보였다. (5) 성숙과정중(成熟過程中) 포화지방산(飽和脂肪酸) 대(對) 불포화지방산(不飽和脂肪酸)은 16-19/81-84%의 비율(比率)로 함유(含有)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녹두자엽에서 엽록소 및 단백질함량과 $\delta$-Aminolevulinate Dehydratase활성에 미치는 Polyamine의 영향 (Effects of Polyamines on Chlorophyll and Protein content, and $\delta$-Aminolevulinate Dehydratase Activity in Greening Mung Bean Cotyledons)

  • Jung-Hee Hong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권4호
    • /
    • pp.255-270
    • /
    • 1993
  • 녹두 유식물의 자엽에서 엽록소 및 단백질 함량과 $\delta$-aminolevulinate dehydratase(ALAD)활성의 변화에 미치는 polyamine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Polyamine은 녹화과정에서 자엽내의 엽록소 생성을 촉진하였으며, 이 효과는 KCl에 의해서 상승되었다. 자엽내의 단백질 함량의 변화 또한 엽록소 함량의 변화와 유사하였다. ALAD활성은 암하에서보다 광선하에서 억제되었으나, 18시간 암처리후의 광조사는 ALAD활성을 증가시켰다. Putre-scine처리에 의한 ALAD활성은 암하에서 촉진효과가 낮았으나 광선하에는 그 활성이 증가되었다. KCl은 암하에서 ALAD활성을 촉진시켰으나 광선하에서는 그 효과가 감소되었다. 또한 polyamine과 KCl의 복합처리에서는 촉진효과가 없었다. 이와같은 결과에서 녹두자엽에서의 색소체발달은 polyamine과 광선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polya- mine은 색소체발달에 중요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두류 전분의 노화 및 저장 중 겔 특성 (Retrogradation of Legume Starches and Their Gel Properties during Storage)

  • 권미라;신말식;안승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742-746
    • /
    • 1993
  • DSC에 의한 노화양상에서 호화시킨 다음 냉각하여 3시간 후에 다시 가열하였을 때의 enthalpy를 서로 비교한 결과 강남콩의 enthalpy가 가장 크게 나타나 노화가 빨리 일어났다. 반면 동부나 녹두는 노화가 느리게 일어났다. Avrami 방정식을 이용하여 $4^{\circ}C$에서 저장한 1% 전분현탁액의 노화속도를 시험한 결과에서도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저장중 8% 전분겔의 수축현상으로부터 강남콩이 가장 빨리 수축되어 이장현상이 컸으며, 팥도 상당히 수축되었고, 비교적 동부와 녹두는 적게 수축되어 이장현상이 적었다. 또한 저장중 8% 전분겔의 water mobility behavior에서의 변화는 동부와 녹두의 경우 1일까지 거의 변화가 없다가 그 이후 서서히 감소되었으나 팥과 강남콩의 경우 처음에는 water mobility가 적어 겔이 빨리 형성되고 물의 결합정도가 크나 1일 동안 저장하였을 때 water mobility가 상당히 증가된 것으로 나타나 단시간내의 겔의 결합력이 크게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녹두의 전분지질에 관한연구 (Compositions of Lipid Class and Fatty Acid in Lipids Extracted from Mung Bean Starch)

  • 엄수현;송영옥;최홍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87-93
    • /
    • 1990
  • 녹두전분으로 부터 유리지질과 저온 및 고온에서 결합지질을 추출한 다음 이들을 중성지질, 당지질, 인지질로 분획 정량하였으며 아울러 각 지질들의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였다. 녹두전분에서 추출한 유리지질에서의 중성지질, 당지질, 인지질의 함량은 각각 98.2%, 1.7%, 0.1% 이였으며 저온 및 고온에서 추출한 결합지질에서는 각각 84.3~85.7%, 10.5~11.0%, 5.2~3,3% 이었다. 그리고 중성지질의 주된 성분은 triglyceride와 esterified sterol이었으며 이들의 함량은 총 중성지질의 90%를 차지 하였다. 당지질의 유리지질과 결합지질은 monogalactosyl diglycerides와 esteryl steryl glyceried가 주성분 이었다. 그리고 인지질의 경우 유리지질은 phosphatidyl ethanolamine (79.0%)이 그리고 결합지질은 phosphatidyl inositol등이 주성분이었고 고온추출 결합지질에서는 phosphatidyl giyeride 함량이 높았다. 또한 각 지질의 지방산 조성은 유리지질에서는 palmitic acid(50.2%), stearic acid(20.6%)이 주성분이었고 결합지질에서는 palmitic acid과 linoleic acid의 함량이 높았다. 그리고 유 질에서는 arachidonic acid와 behenic acid가 또한 고온추출 결합지질에서는 behenic acid가 미량 함유되어 있었다.되어 있었다.

  • PDF

녹두발아(綠豆發芽)중 지방질성분(脂肪質成分)의 변화(變化) (Changes in Lipid Components During Germination of MungBean)

  • 최갑성;김재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71-275
    • /
    • 1985
  • 녹두(綠豆)를 7 일간(日間) 발아(發芽)시키면서 2 일(日)간격으로 자엽부(子葉部)와 배축부(胚軸部)의 조지방량(粗脂肪量), 구성지방질(構成脂肪質) 및 구성지방산(構成脂脂酸)의 변화(變化)를 연구(硏究)한 결과(結果) 녹두발아(錄豆發芽)중 자엽부(子葉部)와 배축부(胚軸部)의 조지방질(粗脂肪質)은 다 같이 감소(減少)하였는데 감소(減少)정도는 자엽부(子葉部)에서 더 심하게 나타나며 자엽부(子葉部)의 triglyceride는 계속 감소(減少)하였고 free fatty acid의 함량(含量)은 계속 증가(增加)하였으나 배축부(胚軸部)에서는 반대(反對)경향을 보였다. sterol은 자엽부(子葉部)에서 증가(增加)했고 배축부(胚軸部)에서는 약간씩 감소(減少)경향을 나타냈으며 인지질은 배축부(胚軸部)에서 약간의 증가(增加) 현상(現狀)을 나타냈고 자엽부(子葉部)에서는 계속적으로 감소(減少)하였다. 발아(發芽)중 자엽부(子葉部) 및 배축부(胚軸部)의 구성지방산(構成脂肪酸)은 불규칙하게 변화(變化)했고 자엽부(子葉部)에서는 linoleic acid가 배축부(胚軸部)에서는 stearic acid가 주요(主要) 구성지방산(構成脂肪酸)으로 나타났다.

  • PDF

녹두전분의 리올로지 성질 (Rheological Properties of Mungbean Starch)

  • 권순혜;김명희;김성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38-43
    • /
    • 1990
  • 녹두전분의 농도(5-8%, 건량기준)와 가열온도$(80-95^{\circ}C$)가 전분의 리올로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녹두전분은 농도에 관계없이 아밀로그래프의 최고점도를 보이지 않았고 가열 중 점도는 계속 증가하였다. 전분호화액은 항복응력을 가진 의가소성 유체의 성질을 보였고, 점조도지수는 농도와 가열온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나, 유동지수는 반대로 감소하였다. 전분 겔을 $4^{\circ}C$에 저장하는 동안 겔의 수축정도는 농도와 가열온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아밀로그래프를 이용하여 $95^{\circ}C$에서 15분간 호화시켜 만든 농도 7과 8%의 겔의 초기경도는 6% 겔보다 2배 이상 높았으나, $4^{\circ}C$에서의 노화속도는 농도와 가열온도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다.

  • PDF

녹두(綠豆) 발아중(發芽中) 당(糖) 함량(含量)의 변화(變化) (Changes of Sugar Contents of Mung Bean during Germination)

  • 고무석;박복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36-239
    • /
    • 1983
  • 녹두(綠豆) 발아과정(發芽過程) 중(中) 당함량(糖含量)을 측정(測定)하기 위하여 자엽(子葉)과 배축(胚軸)으로 구분(區分)하여 총당(總糖)과 환원당(還元糖)의 변화(變化)를 분석(分析)하여 얻어진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녹두(綠豆)는 발아(發芽)함에 따라 총당(總糖)은 감소(減少)하고 환원당(還元糖)은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을 보인다. 2. 발아기간(發芽期間) 중(中) 총당(總糖) 함량(含量)은 ash구(區)가 가장 높고 ccc구(區), 무처리구(無處理區) 및 gibb구(區)의 순(順)이었다. 3. 발아기간(發芽期間) 중(中) 환원당(還元糖) 함량(含量)은 ash구(區), 무처리구(無處理區), gibb구(區) 및 ccc구(區) 순(順)으로 ccc는 억제효과(抑制效果)를 나타냈다. 4. 96시간(時間) 이후(以後) 자엽(子葉)과 배축부(胚軸部)의 총당(總糖) 함량(含量)이 비슷하게 나타냈다.

  • PDF

녹두 줄기 조직배양에서 캘러스와 부정아 형성에 관한 세포조직학적 연구 (Cytohistological Study of Development of Callus and Adventitious Shoots from Cultured Stem of Vigna radiata)

  • 박종범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7호
    • /
    • pp.1141-1147
    • /
    • 2006
  • 녹두 유식물체 줄기를 조직배양하여 캘러스조직을 형성하였고 이로부터 부정아 형성을 유도한 다음, 캘러스 조직과 부정아 분화에 대한 기원을 조직해부학적으로 연구하였다. 녹두 줄기절편으로부터 캘러스조직의 유도는 0.5 mg/L 2,4-D와 1.0 mg/L kinetin이 첨가된 MS배지가 효과적이었고, 캘러스로부터의 부정아 분화에는 0.75 mg/L NAA와 1.5 mg/L kinetin이 첨가된 MS배지가 매우 효과적이어서 약 21%의 기관형성율을 나타내었다. 캘러스 조직을 조직 학적으로 관찰한 결과, 캘러스조직은 유관속 형성층 외측에 새롭게 형성된 분열능력이 있는 캘러스 형성층환인_바깥쪽으로 생장을 함으로써 유도되었다. 부정아는 캘러스 조직의 외부 표면부위에서 기원된 부정아 정단분열조직으로부터 발생되었다. 부정아 정단분열조직은 엽원기를 형성하여 나중에 잎이 발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