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녹니석

Search Result 227, Processing Time 0.03 seconds

Chemistry of Chlorite and Its Genetic Significance in the Talc Deposits in the Yesan-Gongju-Cheongyang Area, Chungnam, Korea (충남 예산-공주-청양지역의 활석 광산에서 산출되는 녹니석의 화학적 특징과 광상 성인과의 관계)

  • 김건영;김수진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 /
    • v.8 no.2
    • /
    • pp.91-107
    • /
    • 1995
  • 충남 예산-공주-청양지역의 대흥, 평안, 신양(청당)광산에서 산출되는 녹니석에 관하여 화학적 및 성인적 연구를 하였다. 이들 광상은 초염기성암기원의 사문암이 열수변질작용을 받아 생성되었다. 활석 광석의 주 구성 광물은 활석, 녹니석, 금운모, 각섬석류, 사문석, 탄산염광물 등이고 이밖에 감람석, 휘석류, 크롬철석, 스멕타이트, 녹니석/스멕타이트의 혼합층상광물들과 같은 팽윤성 광물들이 소량 산출된다. 이 중 감람석과 크롬철석은 광상의 초염기성암 기원을 지시하는 중요한 광물이다.녹니석은 활석 광석의 불순 광물 중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는 광물이다. 이들 녹니석은 성인적으로 활석과 밀접하게 연관된 녹니석과 그렇지 않은 녹니석의 두 가지 뚜렷한 타입으로 나뉘어지며 이들은 화학적으로 명확한 차이를 보인다. 전자의 녹니석은 Mg/(Mg+Fe)비가 높으며 매우 일정한 범위의 Mg/(Mg+Fe)qkl (0.784∼0.951/산소수 14 기준)를 보여주고, 높은 8면체 치환양 (0.892 (-0.200∼0.692)/산소수 14, 이상적인 클리노클로어/차모사이트 성분 기준)과 넓은 범위의 Al 함량 변화 (2.975 (1.085∼3.160)/산소수 14 기준), 높은 Cr, Ni 함량을 갖는다. 이들은 매우 제한되고 높은 Mg/(Mg+Fe)비를 갖는 환경에서 생성되었으며 따라서,활석과 밀접하게 연관된 녹니석은 생성시, 주변암에 둘러싸여 있는, 초염기성암 기원의 사문암에 의해 주로영향을 받았다. 후자의 녹니석은 전자의 녹니석에 비하여 Fe 함량이 더 놓으며 광범한 범위의 Mg/(Mg+Fe)비 (0.378∼0.852/산소수 14 기준)를 보여주고, 더 적은 범위의 8면체 치환양 (0.560 (-0.035∼0.525)/산소수 14, 이상적인 클리오클로어/차모사이트 성분 기준)과, 전반적으로는 더 높은 값을 가지면서 더 좁은 범위의 Al 함량 변화 (1.491 (1.468∼2.959)/산소수 14 기준)를 보여주며, 낮은 Cr, Ni 함량을 갖는다. 이들은 낮은 Mg/(Mg+Fe)비를 갖고 전자에 비해 Al이 풍부한 환경에서 생성되었으며, 따라서 활석과 연관되지 않은 녹니석은 생성시 광체와 인접한 화강아질 편마암에 의해 주로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생각된다. 녹니석의 이러한 2가지 화학조성상의 경향은 녹니석과 공존하는 운모류나 각섬석류들의 화학분석결과와도 잘 일치한다. 이러한 결과는 이 지역의 활석 광상이 초염기성암 기원의 사문암이 열수변질작용을 받아 생성되었음을 명확하게 지시하며, 따라서 활석 광석내에 존재하는 녹니석은 활석의 근원 광물로서 녹니석편암 및 녹니석 편마암 매의 녹니석이 활석화되고 남은 잔존광물이 아니라, 주변암에 의해 성분상의 영향을 받은 열수와 사문암과의 변질교대작용에 의한 활석화과정 중에 주로 생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결과는 연구지역의 활석광상이 초염기성암의 사문암화 작용과 활석화 작용의 두 가지 변질작용에 의해 형성되어졌음을 알려준다.

  • PDF

Formation of Mixed-layered Chlorite/Vermiculite and Halloysite from Clinochlore by Weathering in Anorthosite in the Sancheong District (산청지역 회장암내 단사녹니석의 풍화에 의한 녹니석/버미큘라이트 혼합층 광물 및 할로이사이트의 생성)

  • Jeong, Gi Young;Kim, Soo Jin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 /
    • v.6 no.2
    • /
    • pp.145-155
    • /
    • 1993
  • Mineralogical, textural, and chemical changes of chlorite by weathering in anorthosite in the Sancheong district were stucdied using X-ray diffract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electron microprobe analysis. Chlorite in anorthosite corresponds to ferroan clinochlore with IIb structural type. It weatheres firstly to regularly mixed-layered chlorite/vermiculite(C/V) and then, to halloysite without the intermediate stage of vermiculite. Clinochlore packet cleaves and transforms to several thin packets of C/V, which subsequently change to halloysite developint fan-sharped structures by large volume increase. Direct halloysitization of C/V is attributed to the rapid weathering of anorthosite.

  • PDF

Occurrence and Mineralogical Properties of Clay Minerals in the Gosari Pottery Stones Mine in Taebek, Kangweon-do (강원도 태백시 고사리도석광산에 산출하는 점토광물의 산상 및 특성)

  • 황진연;정윤영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 /
    • v.7 no.2
    • /
    • pp.97-110
    • /
    • 1994
  • 고사리광산의 도석에는 다량의 석영과 함께 녹니석/스멕타이트 혼합층광물, 운도/스멕타이트 혼합층광물, 카오리나이트와 같은 점토광물이 산출한다. 이들 점토광물에 대해 주로 X-선회전분석과 화학분석 등을 이용하여 광물학적 특성을 검토하였다. 이 광산의 도석은 녹니석/스멕타이트 혼합층광물을 다량 함유하는 것이 특징으로 나타났다. 이 녹니석/스멕타이트 혼합층광물은 Li을 함유하는 돈바싸이트로 된 녹니석층과 바이델라이트에 가까운 스apr타이트층으로 구성된 혼합층구조를 이룬다. 이 곳에 산출하는 운모/스멕타이트 혼합층광물은 모두 약 15% 이하의 팽윤층을 포함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이 광산의 도석은 백악기의 유문암 및 유문암질 응회암이 열수변질작용을 받아 형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점토광물조합의 분포상태에 의해 대략적인 변질분대가 나누어진다. 중심부인 강변질대에서는 다량의 녹니석/스텍타이트 혼합층광물이 나타나며 카오리나이트가 수받되기도 한다. 그 외곽지역의 약변질대에서는 점토광물로서 운모/스멕타이트 혼합층광물이 주로 나타난다. 카오리나이트는 주로 열극이나 그 주위에 국부적으로 산출되는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은 변질광물의 산출상태로 볼 때 변질작용의 진행에 따라 운모/스멕타이트 혼합층광물이 먼저 형성된 후 이것의 일부가 녹니석/스맥타이트 혼합층광물 및 카오리나이트로 변화된 것으로 생각된다. 도 카오리나이트는 열수의 공급이 많은 열극부에서 녹니석/스멕타이트 혼합층 광물과 거의 동시기에 침전된 것으로 생각된다. 이 광산에서 산출하는 일부 운모/스멕타이트 혼합층광물은 후기의 변질작용에 의해 형성된 것도 포함된다.

  • PDF

Intergrowth and Interlayering of Muscovite, Chlorite, and Biotite in a Garnet Zone Metamorphic Rock of the Ogcheon Belt, South Korea (옥천대의 석류석데 변성암에서 산출되는 백운모, 녹니석 및 흑운모의 Intergrowth와 Interlayering)

  • Yeong Boo Lee;Jung Hoo Lee;Chang Whan Oh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 /
    • v.15 no.2
    • /
    • pp.122-131
    • /
    • 2002
  • Muscovite, chlorite and biotite in metapelites of the Ogcheon Hetamorphic Belt are studied using electron probe microanalysis (EPMA), backscattered electron images (BEI) of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and lattice fringe images of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These minerals are observed to be intergrown under a polarized light microscope and are apparently interlayered below EPMA resolution; EPMA data often indicate mixtures of phyllosilicates such as muscovite/chlorite (M/C), biotite/chlorite (B/C), muscovite/pyrophyllite/chlorite (M/P/C). biotite/pyrophyllite/chlorite (B/P/C) or biotite/muscovite/chlorite (B/M/C). BEI observations show that the three minerals (muscovite, chlorite and biotite) are mixed at various scales in a grain through the garnet zone, and the interlayering of the three minerals are observed from TEM lattice fringe images and selected area electron diffraction patterns. The result of TEM observations reveals that 7-$\AA$ layers (serpentine, precursor of chlorite) are interlayered within 10-$\AA$ layers (muscovite) at 100~200 $\AA$ scale as well as M/C in the chlorite zone. The 7-$\AA$ layers become smaller in size and less frequent in the biotite tone, and 10-$\AA$ layers are interlayered with chlorite (14 $\AA$) at an individual layer scale. The 7-$\AA$ layers are no longer observed in the garnet zone, and 10-$\AA$ layers (biotite) are interlayered with chlorite (B/C) at 50~100 $\AA$ scale. Relatively large scale (1000~2000 $\AA$) of intergrowth is also frequently observed from the garnet zone samples. However, rocks from all three metamorphic zones show interlayering of a few units of 7-, 10- and 14-$\AA$ layers with each other at TEM observations. The result of this study implies that metamorphic minerals such as muscovite, chlorite and biotite form through disequilibrum mineral reactions resulting in inhomogenious phases.

Microstructural Intergrowth of Margarite and Chlorite in a Schist from Unkyori formation of Miwon Area (미원지역 운교리층 편암에서 산출하는 마가라이트와 녹니석의 미세 협재조직)

  • 이승준;안중호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 /
    • v.16 no.3
    • /
    • pp.255-263
    • /
    • 2003
  • Margarite, occurring in an Unkyori Formation of Miwon area, Chungcheongbukdo, South Korea, was investigated using a high-resolution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HRTEM) to reveal the microstructural intergrowth textures of margarite. HRTEM images of margarite, which was previously confirmed to have intergrowth textures by petrographic microscope and back-scattered electron images, show that chlorite occurs as thin packets of layers interlayered within margarite crystals, and intercalated chlorite layers are intergrown irregularly in areas as a few hundred angstroms thick slabs or isolated chlorite unit layers. Margarite crystals observed by HRTEM consist of a well-ordered 2M polytype, and electron diffraction pattern shows no prominent streaking along the 001 (or $c^{*}$) direction, indicating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stacking disorder in margarite. Intercalated extra brucite-like layers, which are approximately 5 $\AA$ thick, are observed locally within margarite crystals. Insertion of such extra brucite-like layer at the interlayer of margarite would result in a chlorite-like structure unit. (001) margarite layers are parallel to (001) of chlorite, and margarite layers are not extended from (001) of chlorite, indicating that margarite was apparently produced through a dissolution-precipitation mechanism.m.

Phase equilibria between coexisting minerals in the talc ores and process of talc formation in the Daeheung Talc Deposits, Korea (대흥활석광상에 있어서 공존하는 광물의 상평형과 활석화 과정)

  • 이상헌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3 no.2
    • /
    • pp.156-170
    • /
    • 1994
  • The talc ore deposits can be divided into chloritic and dolomitic ores according to mineral assemblages. The former is mainly composed of chlorite and talc accompanied with dolomite, muscovite and opaque mineral, and the latter of dolomite and talc with serpentine, calcite and magnesite in places. Talc was originated from chlorite and serpentine. Carbonate minerals were formed either directly from the introduced hydrothermal solution or secondarily as a by-product of steatitization of chlorite and serpentine. The process of talc formation may be governed by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host rocks and the amount and/or chemical composition of the hydrothermal solution which may be different in places. However, the representative reactions producing talc from chlorite and serpentine are as follows : (1) chlorite+$Mg^{++}+Si^{4+}+H_2O$=talc, (2) chlorite+$Mg^{++}+Si^{4+}+Ca^{++}+CO_2+O_2+H_2O$=talc+ dolomite+ magnesite, and (3) serpentine +$Mg^{++}+Fe^{++}+Si^{4+}+Ca^{++}+CO_2+H_2O$=talc+dolomite. The reactions indicate that the carbonate minerals can be formed when the hydrothermal solution have high $fO_2$ and $fCO_2$. The steatitization might be proceeded by the hydrothermally metasomatic reaction between chlorite schist or chlorite gneiss intercalated in the granitic gneiss and hydrothermal solution accompanied to the wet granitization.

  • PDF

Dioctahedral Chlorite-Smectite Mixed-Layer Minerals in the Sandstones of the Ulleung Basin, Offshore SE Korea (울릉분지 사암 내에 발달된 이팔면체 녹니석 - 스멕타이트 혼합층 광물)

  • Son Byeong-Kook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 /
    • v.18 no.2
    • /
    • pp.73-81
    • /
    • 2005
  • Mineralogical and chemical examinations were performed on chlorite-smectite mixed layer minerals that occur in the sandstones from a petroleum exploration well in the southern part of the Ulleung Basin. X-ray diffraction and chemical analyses show that the chlorite-smectite mixed layer mineral is tosudite, a 1 : 1 R1 ordered interstratification of chlorite and smectite with an overall dioctahedral character. This mineral is almost the same as the tosudite reported from hydrothermally-altered regions, which is rich in Li. This fact indicates that the tosudite area may be affected by hydrothermal events, because the studied well is located in the tectonically-deformed area, in which lots of trust faults and folds are present. In these respects, the formation of tosudite is probably due to the variable effect of hydrothermal fluids from the deeper part of the area.

Text integration processing based on connectives in Aphasics (실어증 환자의 접속사 정보처리에 관한 연구)

  • Kim, Soo-Jeong;Moon, Young-Sun;Kim, Mi-Ra;Kim, Yoo-Jeong;Nam, Ki-Ch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9.10e
    • /
    • pp.441-446
    • /
    • 1999
  • 본 연구는 접속사를 통한 텍스트 통합 과정이 논리적 추론 종류에 따라 다른 정보처리 과정 혹은 다른 종류의 단원적 구조(modular structure in language processing)에 의해 처리되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또한, 접속사를 통한 추론 과정이 실어증의 증상 종류에 따라 다른 종류의 언어정보처리 손상이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실험에 참가한 환자는 이해성 실어증환자(Wernicke aphasic), 전반성 실어증 환자(Global aphasic), 표현성 실어증 환자(Broca aphasic) 등이었다. en 종류의 과제를 이용하였다. 한 과제는 앞 뒤 문장을 논리적 관계성을 표현하는 접속사를 채워 넣는 과제였고 다른 과제는 접속사가 포함된 텍스트가 옳은지를 판단하는 정오 판단 과제였다. 실험재료 문장에 사용된 접속사는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그리고'와 대등 관계를 나타내는 '그러나' 및 인과 관계를 표현하는 '그래서' 였다. 이 세 종류의 접속사는 각기 다른 논리적 관계성을 나타낸다. 실험 결과는 실어증 환자가 전반적으로 채워 넣기 과제에서 보다는 정오 판단 과제에서 더 많은 실수를 보였으며, 표현성 실어증 환자보다는 이해성 실어증 환자가 더 많은 오류를 보였다. 또한, 세 종류의 접속사 중에 '그리고'가 표함된 텍스트에서 더 많은 실수를 보였다. 이 연구에서 나타난 흥미 있는 결과는 표현성 실어증 환자는 '그러나' 접속사가 포함된 텍스트에서의 수행이 '그래서'가 포함된 경우에서보다 좋은 반면에 전반성 실어증 환자는 '그래서'를 포함하는 텍스트에서의 수행이 '그러나'를 포함하는 텍스트에서의 수행이 더 우수해서 이중해리(double dissociation)가 나타난다는 사실이다. 이 결과는 선후 문장이 어떤 종류의 논리적 관계성을 지니는가에 따라 다른 종류의 정보처리가 진행된다는 것을 암시하는 결과이다.>$\textrm{cm}^2$.。C로 비교적 양호한 초전박막의 전기적 특성을 나타내었다.(Mg+Fe)비를 갖고 전자에 비해 Al이 풍부한 환경에서 생성되었으며, 따라서 활석과 연관되지 않은 녹니석은 생성시 광체와 인접한 화강아질 편마암에 의해 주로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생각된다. 녹니석의 이러한 2가지 화학조성상의 경향은 녹니석과 공존하는 운모류나 각섬석류들의 화학분석결과와도 잘 일치한다. 이러한 결과는 이 지역의 활석 광상이 초염기성암 기원의 사문암이 열수변질작용을 받아 생성되었음을 명확하게 지시하며, 따라서 활석 광석내에 존재하는 녹니석은 활석의 근원 광물로서 녹니석편암 및 녹니석 편마암 매의 녹니석이 활석화되고 남은 잔존광물이 아니라, 주변암에 의해 성분상의 영향을 받은 열수와 사문암과의 변질교대작용에 의한 활석화과정 중에 주로 생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결과는 연구지역의 활석광상이 초염기성암의 사문암화 작용과 활석화 작용의 두 가지 변질작용에 의해 형성되어졌음을 알려준다.농도 증가 없이 폐 조직에 약 50배 정도의 고농도 cisplatin을 투여할 수 있었으며, 또한 분리 폐 관류 시 cisplatin에 의한 직접적 폐 독성은 발견되지 않았다이 낮았으나 통계학적 의의는 없었다[10.0%(4/40) : 8.2%(20/244), p>0.05]. 결론: 비디오흉강경술에서 재발을 낮추기 위해 수술시 폐야 전체를 관찰하여 존재하는 폐기포를 놓치지 않는 것이 중요하며, 폐기포를 확인하지 못한 경우와 이차성 자연기흉에 대해서는 흉막유착술에 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비디오흉강경수술은 통증이 적고, 입원기간이 짧고, 사회로의 복귀가 빠르며, 고위험군에 적용할 수 있고, 무엇보다도 미용상의 이점이 크다는 면에서 자연기흉에 대해 유용한 치료방법임에는 틀림이 없으나 개흉술에 비해 재발율이 높고 비용이 비싸다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만큼

  • PDF

Interlayered Structures of Talc and Chlorite in the Talc Deposits of the Yugu Area, Korea (충남 유구지역 활석광상에서 관찰되는 활석과 녹니석의 혼합층상 특성)

  • Kim Geon-Young;Kim Soo Jin;Koh Yong Kwon;Bae Dae Seok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 /
    • v.18 no.3 s.45
    • /
    • pp.195-204
    • /
    • 2005
  • Interlayered structures of talc and chlorite in the talc deposits of the Yugu area are studied using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Packets of chlorite-like layer in talcs or packets of talc-like layer in chlorites are commonly observed. Randomly interlayered features of talc and chlorite are locally observed in some specimens. Reactions observed in the present study include the addition or removal of a brucite-like layer in the interlayer region of the talc or chlorite resulting in the , transformation between a talc and a chlorite layers and breakdown or formation of a talc-like layer resulting in transformation between two talc layer and one chlorite layer. Both reactions are accompanied by a significant change in volume. In addition to these mechanisms, there are two volume conserving mechanisms; the combination of both mechanisms and mutual transformation in a complex manner. Reactions from 2 chlorite layers to 3 talc layers, from 2 chlorite layers + 1 talc layers to 1 chlorite layers + 3 talc layers, and from 3 chlorite layers to 5 talc layers are observed among the complex type mechanisms.

Occurrence and Chemical Composition of Chlorite and White Mica from Drilling Core (No. 04-1) at Gubong Au-Ag Deposit Area, Republic of Korea (구봉 금-은 광상일대 시추코아(04-1)에서 산출되는 녹니석과 백색운모의 산상 및 화학조성)

  • Bong Chul Yoo
    • Korean Journal of Mineralogy and Petrology
    • /
    • v.36 no.4
    • /
    • pp.273-288
    • /
    • 2023
  • The Gubong Au-Ag deposit, which has been one of the largest deposits (Unsan, Daeyudong, Kwangyang) in Korea, consists of eight lens-shaped quartz veins (a mix of orogenic-type and intrusion-related types) that filled fractures along fault zones within Precambrian metasedimentary rock. Korea Mining Promotion Corporation found a quartz vein (referred to as the No. 6 vein with a grade of 27.9 g/t Au and a width of 0.9 m) at a depth of -728 ML by drilling (No. 90-12) conducted in 1989. Korea Mining Promotion Corporation conducted drilling (No. 04-1) in 2004 to investigate the redevelopment's possibility of the No. 6 vein. The author studied the occurrence and chemical composition of chlorite and white mica using wallrock, wallrock alteration and quartz vein samples collected from the No. 04-1 drilling core in 2004. The alteration of studied samples occurs chloritization, sericitization, silicification and pyritization. Chlorite and white mica from mineralized zone at a depth of -275 ML occur with quartz, K-feldspar, calcite, rutile and pyrite in wallrock alteration zone and quartz vein. Chlorite and white mica from ore vein (No. 6 vein) at a depth of -779 ML occur with quartz, calcite, apatite, zircon, rutile, ilmenite, pyrrhotite and pyrite in wallrock alteration zone and quartz vein. Chlorite from a depth of -779 ML has a higher content of Al and Mg elements and a lower content of Si and Fe elements than chlorite from a depth of -275 ML. Also, Chlorites from a depth of -275 ML and -779 ML have higher content of Si element than theoretical chlorite. Compositional variation in chlorite from a depth of -275 ML was mainly caused by phengitic or Tschermark substitution [Al3+,VI + Al3+,IV <-> (Fe2+ or Mg2+)VI + (Si4+)IV], but compositional variation from a depth of -779 ML was mainly caused by octahedral Fe2+ <-> Mg2+ (Mn2+) substitution. The interlayer cation site occupancy (K+Na+Ca+Ba+Sr = 0.76~0.82 apfu, 0.72~0.91 apfu) of white mica from a depth of -275 ML and -779 ML have lower contents than theoretical dioctahedral micas, but octahedral site occupancy (Fe+Mg+Mn+Ti+Cr+V+Ni = 2.09~2.13 apfu, 2.06~2.14 apfu) have higher contents than theoretical dioctahedral micas. Compositional variation in white mica from a depth of -275 ML was caused by phengitic or Tschermark substitution [(Al3+)VI + (Al3+)IV <-> (Fe2+ or Mg2+)VI + (Si4+)IV], illitic substitution and direct (Fe3+)VI <-> (Al3+)VI substitution. But, compositional variation in white mica from a depth of -779 ML was caused by phengitic or Tschermark substitution [(Al3+)VI + (Al3+)IV <-> (Fe2+ or Mg2+)VI + (Si4+)IV] and direct (Fe3+)VI <-> (Al3+)VI substitu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