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노후준비의식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9초

결혼이주여성 노후생활인식과 사회활동 및 여가활동이 노후준비의식에 미치는 영향 -충청남도를 중심으로- (Effects of Married Female Immigrants' Consciousness of Later Life and Social-Leisure Activities on Their Preparation Perception for Their Later Life in Choongchungnam-Do)

  • 문미;송선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7호
    • /
    • pp.379-387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이주여성의 노후생활인식과 사회활동 및 여가활동이 노후준비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자료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3년 충청남도지역에 거주하는 결혼이주여성들 355명으로부터 수집하였으며, 분석은 SPSS 18.0프로그램과 회귀분석방법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이주여성의 정서적 노후준비의식은 여가활동이 많고 사회활동이 많으며 노후에 대한 생각과 노후계획을 많이 할수록 높았다. 둘째, 결혼이주여성의 신체적 노후준비의식은 여가활동이 많고 노후계획 준비를 많이 할수록 결혼기간이 짧을수록 높았다. 셋째, 결혼이주여성의 경제적 노후준비의식은 사회활동이 많고 노후계획 준비를 많이 할수록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결혼이주여성들의 노후준비의식 수준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정책 입안의 필요성이 논의되었다.

베이비부머의 노후준비가 부모부양 의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ld Age Preparation of Baby Boomers Give Dependents Awareness of Parent)

  • 박근수;김태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467-479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급격한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한 핵가족화가 가족 및 개인의 책임과 의무로 여겨져 왔던 부모부양의식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온 현실에 있어서, 시대 상황적으로 여러 가지 상대적으로 취약한 베이비부머 세대 스스로의 노후준비가 부모 부양의식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결과 종교, 주거상태, 월평균소득 등이 부모부양의식에 미치는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으며, 경제생활관련 노후준비수준, 건강생활관련 노후준비수준, 여가생활관련 노후준비수준, 가족생활관련 노후준비수준, 주거생활 관련 노후준비수준 그리고 노후준비수준 총합 모두에서 부모부양의식과 관련하여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주거생활관련 노후준비수준과 여가생활관련 노후준비수준이 부모부양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유의확률이 .001(*p<0.05) 가장 유의미하게 나타났고, 이어서 경제생활관련 노후준비수준이 .005(*p<0.05)의 유의확률을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본인들의 노후 준비수준이 높을수록 상대적으로 그들의 부모부양의식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정책적 제언을 하면, 첫 번째, 그들의 주거생활과 관련한 안정적 지원정책이 차별화하여 지원되어야 할 것이며, 두 번째로 봉사활동 등 사회활동을 통한 여가활동을 위한 사회적 프로그램의 지원이 필요하며, 아울러 아직 젊은 그들에게 경제활동을 통한 경제생활 불안감을 해소 할 수 있도록 국가의 정책적인 배려가 있어야 할 것이다.

중년기 성인의 노인에 대한 태도와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Middle aged People's Attitudes toward Elderly and Preparations for their Old age)

  • 배문조
    • 한국노년학
    • /
    • 제29권3호
    • /
    • pp.1107-1122
    • /
    • 2009
  • 본 연구는 중년기 성인의 노인에 대한 태도가 어떠한지, 이러한 태도에 따른 노후준비의식과 준비행동이 어떠한지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대구경북지역의 중년 441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적 특성에 따른 노인에 대한 태도 차이를 살펴본 결과 성별, 연령, 학력, 직업, 소득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관련특성에 따른 노인에 대한 태도를 살펴본 결과 노인과의 동거경험과 접촉경험이 노인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는데 중요한 변인으로 밝혀졌다. 셋째, 노인에 대한 태도에 따른 노후준비의식을 보면 노인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인 사람일수록 노후준비의식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노인에 대한 태도에 따른 노후준비행동을 보면 노인에 대한 태도의 하위변인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긍정적일수록 신체적 준비행동, 정서적 준비행동 및 여가준비행동을 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기의 노후준비의식과 노후준비행동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Perception and Behavior for Preparing their Old Age)

  • 전귀연;배문조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8권1호
    • /
    • pp.13-24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perception and behavior for preparing their old age.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with 723 adults from Daegu and Kyungpook.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perception for preparing their old age according to the personal variables such as gender, age, education, marriage status, occupation and income.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perception for preparing their old age according to the elderly-related variables such as taken the elder program, interests in media for elderly, the opinion on living together with the aged, contact with aged and the opinion about contact with aged. Thir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behavior for preparing their old age according to the personal variables such as gender, age, religion, education, marriage status, occupation and income. Finall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behavior for preparing their old age according to the elderly-related variables such as taken the elder program, interests in media for elderly, the opinion on living together with the aged and the opinion about contact with aged.

국가 · 민간의료기관 근로자간의 노후준비 영향 분석 (The Effect Analysis of Aging Preparation Between National and Private Medical Workers)

  • 심현진;이일현;이현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365-374
    • /
    • 2013
  • 본 연구는 노후에 대한 인식이 국가 민간의료기관 근로자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또한 노후인식이 노후준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부산의 보건소와 병 의원의 근로자 783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t-test,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국가 민간의료기관의 근로자간에 노후에 대한 인식, 정부정책에 대한 만족도, 노후준비에 대해서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었으며, 국가 근로자가 민간 근로자 보다 더 잘 인지하고, 만족하며, 비교적 준비하고 있었다. 또한 노후에 대한 인식과 정부정책 만족도는 모두 보통 수준 이상으로 나타났지만, 노후 준비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후 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본 결과 국가의료기관과 민간의료기관 근로자에서 각각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노후 준비에 미치는 영향은 부분적으로 차이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국가 민간의료기관 근로자간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에는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노후준비에 대한 교육 및 정책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려한다.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the Baby Boom Generation's Preparation for Old Age)

  • 유용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738-747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생활 준비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인구사회학적 특성에서는 성별, 연령, 건강상태, 월평균소득이 그리고 노후태도, 노후불안이 노후준비도에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남자보다는 여자가, 연령이 높을수록,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월평균소득이 높을수록 그리고 노후태도가 높을수록, 노후불안이 낮을수록 노후준비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정책제언을 하면,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세대별 욕구와 특성에 맞는 노후준비 서비스가 개발되어야 한다. 둘째, 노후태도를 높일 수 있는 의식변화와 단계별 노후생활 준비교육이 필요하다. 셋째, 노후불안을 낮출 수 있는 다양한 정신건강 프로그램이 개발 보급되어야 한다.

여성결혼이민자의 라이프스타일, 부부관계 만족도, 노후준비의식에 관한 연구: 충청남도지역 여성결혼이민자를 중심으로 (A Study on Married Female Immigrants' Life Style and Marriage Satisfaction in Terms of Preparing Their Old Age in Chungcheongnam-do)

  • 손희란;송선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9권10호
    • /
    • pp.57-69
    • /
    • 2011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married female immigrants' life style and marriage satisfaction on the perception of preparing their old age. We also investigated how socio-demographic factors influence their Preparation for old age. For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350 questionnaires obtained from female immigrants living in Chungcheongnam-do. Cronbach's ${\alpha}$ tests were conducted for reliability, and regressional analysis was conducted to test our hypothe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s that there is evidence of relations among the sub-variables. However, we found attitudes to safety and material pursuit are not related to married female immigrants' preparations for their old age. On the other hand,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ir life style and marriage satisfaction influences their perception of preparing their old age in a positive way. Finally, sociodemographic factors such as gender, age, education, marriage status, occupation and income are shown to affect the women's perception of preparing their old age positively.

노후준비에 대한 책임인식이 경제적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소득수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Recognition of Retirement Responsibility on Financial Retirement Preparedness: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s of Income-level)

  • 김정근;박은주
    • 한국노년학
    • /
    • 제40권4호
    • /
    • pp.639-657
    • /
    • 2020
  • 본 연구는 제7차 국민노후보장패널자료를 사용하여 노후준비에 대한 개인별 책임인식 차이가 경제적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을 소득수준에 따른 조절효과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기술통계분석과 소득수준의 조절효과 분석을 위한 위계적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Hierarchical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방법을 사용하였다. 1단계 모형에서는 통제변수와 독립변수인 '노후준비 책임인식'변수를, 2단계에선 조절변수인 '소득·욕구비율(INR)'을, 3단계에서는 독립변수와 조절변수를 조합한 '상호작용항'을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분석하였다. 총 분석대상자는 3,869명으로 평균 연령은 58.9세였고, 남성이 전체의 55.3%를 차지하였다. 경제적 노후준비를 하고 있다고 응답한 경우는 전체의 35.8%에 불과하였으며, 준비하고 있지 않다고 응답한 경우가 64.2%로 약 2배 차이를 보였다. 주요 연구 분석 결과, 첫째, 노후준비에 대한 주된 역할이 타인이 아닌 자기 자신에게 있다고 응답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응답자 중 65%가 노후대책마련 책임이 자기 본인에게 있다고 응답하였는데, 이는 유럽의 37%보다도 높은 수치였다. 둘째, 노후준비에 대한 책임이 자기 자신에게 있다고 응답한 사람은 외부에 있다고 응답한 사람보다 경제적 노후준비를 하고 있는 경향을 보였다. 셋째, 소득수준은 노후준비에 대한 책임인식이 경제적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에 부(-)의 조절효과(moderating effect)를 보였다. 넷째, 소득수준이 증가할수록, 학력수준이 높을수록 경제적 노후준비를 하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어 저소득·저학력학층은 고소득·고학력층에 비해 경제적 노후준비를 적게 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후준비에 대한 자신의 책임의식이 높더라도 소득이 낮아 경제적 노후준비에 어려움을 경험하는 저소득·저학력층을 위한 다양한 실천적·정책적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한국 노인의 노후생활에 관한 인식 (Awareness of Korean Elderly on Aged Life)

  • 이준우;이현아;황준호
    • 한국노년학
    • /
    • 제31권3호
    • /
    • pp.711-732
    • /
    • 2011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노인들이 삶 속에서 실제적으로 경험하는 노후생활의 의미와 본질을 이해하고 시대적·문화적 배경 속에서 이를 재구성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양한 유형의 노인들을 접할 수 있는 도농복합지역인 경기도 화성시를 선정하여 만 60세 이상 노인 15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interview)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한국 노인이 인식하는 노후생활은 신체적, 가족적, 경제적, 여가적, 사회환원적 측면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후준비에 대한 인식과 준비도는 상당히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꿈꿔왔던 노후생활과 실제 노후준비에 대한 격차가 커짐으로써 '자녀들에 대한 원망', '현실부정', '신체적·경제적 변화', '생애주기의 연장선에서 오는 경험'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해 보면, 첫째, 노후생활과 노후 준비에 대한 의식을 강화하고, 성공적인 노후생활을 목표로 한 교육을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생애주기별 영역에 따른 통합적 관점에 입각한 노인복지정책, 실천적 개입이 요구된다. 셋째, 현 노인세대를 대상으로 한 소득보장제도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넷째, 생애사건에 대한 적응과 대처방식에 대한 개입이 필요하다. 다섯째, 예비 노인세대를 위한 노후생활설계 프로그램을 확대 시행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