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노후준비에 대한 책임인식이 경제적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소득수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Recognition of Retirement Responsibility on Financial Retirement Preparedness: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s of Income-level

  • 김정근 (강남대학교 복지융합대학 실버산업학과) ;
  • 박은주 (강남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 Kim, Jeungkun (Kangnam University Department of Senior Business) ;
  • Park, Eunju (Kangnam University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 투고 : 2020.05.07
  • 심사 : 2020.06.01
  • 발행 : 2020.11.30

초록

본 연구는 제7차 국민노후보장패널자료를 사용하여 노후준비에 대한 개인별 책임인식 차이가 경제적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을 소득수준에 따른 조절효과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기술통계분석과 소득수준의 조절효과 분석을 위한 위계적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Hierarchical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방법을 사용하였다. 1단계 모형에서는 통제변수와 독립변수인 '노후준비 책임인식'변수를, 2단계에선 조절변수인 '소득·욕구비율(INR)'을, 3단계에서는 독립변수와 조절변수를 조합한 '상호작용항'을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분석하였다. 총 분석대상자는 3,869명으로 평균 연령은 58.9세였고, 남성이 전체의 55.3%를 차지하였다. 경제적 노후준비를 하고 있다고 응답한 경우는 전체의 35.8%에 불과하였으며, 준비하고 있지 않다고 응답한 경우가 64.2%로 약 2배 차이를 보였다. 주요 연구 분석 결과, 첫째, 노후준비에 대한 주된 역할이 타인이 아닌 자기 자신에게 있다고 응답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응답자 중 65%가 노후대책마련 책임이 자기 본인에게 있다고 응답하였는데, 이는 유럽의 37%보다도 높은 수치였다. 둘째, 노후준비에 대한 책임이 자기 자신에게 있다고 응답한 사람은 외부에 있다고 응답한 사람보다 경제적 노후준비를 하고 있는 경향을 보였다. 셋째, 소득수준은 노후준비에 대한 책임인식이 경제적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에 부(-)의 조절효과(moderating effect)를 보였다. 넷째, 소득수준이 증가할수록, 학력수준이 높을수록 경제적 노후준비를 하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어 저소득·저학력학층은 고소득·고학력층에 비해 경제적 노후준비를 적게 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후준비에 대한 자신의 책임의식이 높더라도 소득이 낮아 경제적 노후준비에 어려움을 경험하는 저소득·저학력층을 위한 다양한 실천적·정책적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recognition of retirement responsibility on financial preparedness for retirement and to examine moderating effect of income-level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two variables, using the 7th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KReIS). Two research methods, descriptive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logistic regression(HMLR) analysis, have been conducted. The total number of sample was 3,869 subjects with an average age of 58.9 years and 55.3% males. The results show that only 35.8% of the respondents make financial plans for retirement, and 64.2% did not.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65% of respondents take a responsibility for financial preparedness for retirement, compared to 37% in European countries. Second, people with responsibility for their own retirement are more likely to have a financial preparation for retirement than people who think others(family, society, government) have to take a responsibility for retirement instead of them. Third, there is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income-level on relationships between recognition of retirement responsibility and financial preparedness for retirement. As income level decreases, the moderating effect reduces the positive effect of recognition of retirement responsibility on financial preparedness for retirement and vice versa. Fourth, as income level increases and educational level is higher, the tendency to prepare financially for retirement is also increasing. Low-income and low-educated people are less likely to have a financial preparation for retirement than their counterparts. The finding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design an effective incentive scheme for financial preparedness for retirement for low-income and low-educated people and to develop various policies and services to encourage them to prepare financially for retirement.

키워드

과제정보

본 연구는 2018학년도 강남대학교 교내연구비 지원에 의해 수행되었음.

참고문헌

  1. 강성호, 김태완. (2013). 청년실업 경험과 연금수급권. 대한경영학회지, 26(6), 1597-1615.
  2. 강유진. (2005). 한국 성인세대의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30.40.50 대 기혼남녀를 대상으로.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16(4), 159-174.
  3. 구인회. (2002). 빈곤층의 사회경제적 특성과 빈곤이행 경제위기 이후의 시기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48(1), 82-112.
  4. 국민노후보장패널. (2019). 7차 공식 데이터 유저가이드. http://www.kreis.or.kr(2020/3/1).
  5. 국민연금공단. (2017). 2016 국민연금 생생통계 Facts Book. 전북: 국민연금연구원.
  6. 국민연금공단. (2019). 2018 국민연금 생생통계 Facts Book. 전북: 국민연금연구원.
  7. 김남순. (2009). 중년층 노동자의 노후설계 인식에 관한 연구. 경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8. 김동배, 정규형, 이은진. (2012). 노인의 과거 노후 준비정도와 준비유형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과 생활만족도의 매개효과. 노인복지연구, 58, 325-352.
  9. 김복순. (2018). 저임금근로자 특성과 변화 월간노동리뷰(2018.7). 세종: 한국노동연구원.
  10. 김성숙, 박운아. (1992). 도시가계의 경제적 노후준비 행동과 관련요인 연구. 소비자학연구, 3(2), 45-58.
  11. 김승완, 전지혜. (2016). 중고령 장애여성의 경제적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여성연구, 90, 131-162. https://doi.org/10.33949/TWS.2016.90.1.004
  12. 김양이, 이채우. (2008). 중년층의 노후준비 수준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19, 55-82.
  13. 김은하, 김혜림. (2015). 기혼여성의 생활스트레스와 화병간의 관계. 상담학연구. 16(5), 39-53.
  14. 김정근, 김효주. (2018). 중장년 북한이탈주민의 금융이해력과 노후금융준비에 대한 경로분석. 한국노년학, 38(2), 1-18.
  15. 김정근. (2019). 노후소득보장, 이상은 외. 사회보장론(pp.205-239). 서울: 학지사.
  16. 김정미, 엄기욱. (2014). 베이비붐 세대의 가족특성이 경제적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 16(4), 197-221. https://doi.org/10.22944/KSWA.2014.16.4.007
  17. 김종혜, 강운선. (2013). 중장년층의 노후준비교육 참여 실태와 요구. 사회과교육, 52(4), 49-60.
  18. 김학주. (2019). 노후 소득수준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준거집단의 상대소득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39(1), 169-188.
  19. 나지나, 백승애, 신은경, 김미혜. (2010). 결혼 해체를 경험한 베이비부머 여성의 경제적 노후 준비 여부에 관한 연구. 보건사회연구, 30(2), 29-54. https://doi.org/10.15709/HSWR.2010.30.2.29
  20. 박미현. (2015). 노인 시간제 근로자의 일자리 특성과 경제적 노후준비에 관한 탐색적 연구. 글로벌사회복지연구, 5(2), 75-94.
  21. 박상철, 최성재, 곽충실. (2009). 한국형 노후생활 설계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세종: 보건복지부.
  22. 박창제. (2008). 중.고령자의 경제적 노후준비와 결정요인. 한국사회복지학. 60(3), 275-297.
  23. 박창제. (2014). 베이비부머와 전(前)베이비부머의 재무적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63, 309-335.
  24. 박효진. (2015). 중고령 여성의 경제적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6(10), 6618-6626. https://doi.org/10.5762/KAIS.2015.16.10.6618
  25. 방하남, 김기헌. (2002). 기회와 불평등: 고등교육 기회에 있어서 사회계층간 불평등의 분석. 한국사회학, 36(4), 193-222.
  26. 백은영. (2008). 은퇴 후 소득 적정성 및 지속성 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보장연구, 24(2), 27-51.
  27. 성혜영. (2018). 노후준비서비스 발전방안 수립을 위한 연구. 세종: 보건복지부.
  28. 송홍선, 김재칠, 김종빈, 남재우, 홍원구. (2013). 연금사회와 자산운용산업의 미래. 서울: 자본시장연구원.
  29. 송홍선. (2011). 고령화시대 중저소득층 자잔관리서비스 체계의 설계. 자본시장 Weekly(2011-41). 서울: 자본시장연구원.
  30. 신승희. (2010). 중년층의 노후준비에 영항을 미치는 요인. 경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1. 여윤경, 정순희, 문숙재. (2007). 한국가계의 은퇴준비에 관한 연구. 소비문화연구, 10, 129-155.
  32. 오영희, 김유경. (2011). 백세시대 대응 국민인식과 정책적 함의. 보건복지포럼, 180, 39-52.
  33. 오혜은. (2017). 시간과 소득의 동시 빈곤에 관한 연구-남녀 가구주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44(1), 161-185.
  34. 유용식. (2013).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12), 738-747. https://doi.org/10.5392/JKCA.2013.13.12.738
  35. 이동휘. (2019). 노후준비, 어떻케 생각하십니까. 주간리포트(제 30호). 서울: 한국리서치.
  36. 이병관. (2013). 내외통제성과 우연에 대한 지각이 대학생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연구. 인간이해, 34(1), 37-54.
  37. 이선형. (2009). 자녀 교육비 및 노부모에 대한 생활비 지원이 둘째자녀 출산의도와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지원경영학회지, 13(2), 43-64.
  38. 이승신. (2013). 베이비부머의 노후준비여부에 관한 연구. 소비자문제연구, 44(2), 73-95.
  39. 이신영. (2009). 도시거주 노인의 경제적 노후준비에 영향을 주는 요인 연구. 한국사회과학연구, 28(1), 205-224.
  40. 이용재. (2013).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준비 특성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5), 253-261. https://doi.org/10.5392/JKCA.2013.13.05.253
  41. 이은경. (2002). 중년기 부부의 가족주의 가치관과 노후준비도에 관한 연구. 동부산 대학 논문집, 21 , 715-744.
  42. 이희연, 전혜성. (2015). 융복합시대 중년기성인의 대외통제성이 생활만족도 및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13(11), 433-440. https://doi.org/10.14400/JDC.2015.13.11.433
  43. 전귀연, 배문조. (2010). 성인기의 노후준비의식과 노후준비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8(1), 13-24.
  44. 정경희, 오영희, 석재은, 도세록, 김찬우, 이윤경, 김희경. (2005). 2004년도 전국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세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45. 정순둘, 이현희. (2012). 가족특성과 노후준비의 관계. 노인복지연구, 58, 209-231.
  46. 정원석, 강성호, 마지혜. (2017). 저소득층 노후소득보장을 위한 공사연계연금 연구. 서울: 보험연구원.
  47. 조추용, 송미영, 이근선. (2009). 중년층의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노인복지연구, 43, 33-60.
  48. 최성재, 장인협. (2006). 노인복지학.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49. 최정숙. (2007). 내외 통제성이 중년층의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경희행정논총, 20, 45-70.
  50. 최혜련. (2012). 중장년층의 라이프스타일과 여가활동참여가 노후준비도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51. 홍석호 (2020). 경제적 부담과 건강 문제를 겪는 노인들의 여가만족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40(1), 197-216.
  52. 홍성희, 곽인숙. (2006). 중년기 남녀 봉급생활자의 은퇴계획 비교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1), 193-207.
  53. 황경숙, 성승연. (2014). 교류분석을 활용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대외통제성과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9(1), 29-51.
  54. Abel, B. J., & Hayslip, B. (1987). Locus of control and retirement preparation. Journal of Gerontology, 42(2), 165-167. doi.org/10.1093/geronj/42.2.165
  55. Bar-Tal, D., & Bar-Zohar, Y. (1977).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of locus of control and academic achievement: Review and some educational implications.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2(2), 181-199. doi.org/10.1016/0361-476X(77)90020-0
  56. Brisset, M., & Nowicki, S. (1973). Internal versus external control of reinforcement and reaction to frustr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25(1), 35-44. doi.org/10.1037/h0034247
  57. Campione, W. A. (1998). Predicting participation in retirement preparation programs. Journal of Gerontology: Social Sciences, 43(3), s91-95. doi.org/10.1093/geronj/43.3.S91
  58. Delavande, A., Rohwedder, S., & Willis, R. J. (2008). Preparation for Retirement, Financial Literacy and Cognitive Resources. Michigan Retirement Research Center Research Paper, (2008-190). doi.org/10.2139/ssrn.1337655
  59. Duttweilier, P. C. (1984). The internal control index: A newly developed measure of locus control. Education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44(2), 209-221. doi.org/10.1177/0013164484442004
  60. Fenge, L. A. (2012). Economic well-being and ageing: The need for financial education for social workers. Social work education, 31(4), 498-511. doi.org/10.1080/02615479.2011.579095
  61. Glass Jr, J. C., & Kilpatrick, B. B. (1998). Gender comparisons of baby boomers and financial preparation for retirement. Educational Gerontology, 24(8), 719-745. doi.org/10.1080/0360127980240802
  62. Griesdorn, T. S., & Durband, D. B. (2015). Does self-control predict wealth creation among young Baby Boomers? Journal of Family and Economic Issues, 37(1), 18-28. doi.org/10.1007/s10834-015-9437-4
  63. Griffin, B., Loh, V., & Hesketh, B. (2012). Age, Gender, and the Retirement. The Oxford handbook of retirement, 202-214. doi.org/10.1093/oxfordhb/9780199746521.013.0083
  64. Joseph, S., Williams, R., & Yule, W. (1995). Psychosocial perspectives on post-traumatic stress. Clinical Psychology Review, 15(6), 515-544. doi.org/10.1016/0272-7358(95)00029-O
  65. Kochhar, R., Taylor, P., Wike, R., Stokes, B., Bell, J., Simmons, K., ... & Barker, C. (2014). Attitudes about Aging: A Global Perspective In a Rapidly Graying World, Japanese Are Worried, American Aren't. Pew Research Center. https://www.pewresearch.org/global/2014/01/30/attitudes-about-aging-a-global-perspective/
  66. Kim, K. T., Lee, J. M., & Hong, E. (2016). The Role of Self-Control on Retirement Preparedness of US Households.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17(2), 31-42. doi.org/10.6115/ijhe.2016.17.2.31
  67. Lefcourt, H. M. (1966). Internal versus external control of reinforcement. Psychological Bulletin, 65(4), 204-220. doi.org/10.1037/h0023116
  68. Li, H. C. W., & Chung, O. K. J. (2009).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Locus of Control and Their Anticipatory Anxiety. Public Health Nursing, 26(2), 153-160. doi.org/10.1111/j.1525-1446.2009.00766.x
  69. Lusardi, A., & Mitchell, O. S. (2007). Baby Boomer retirement security: The roles of planning, financial literacy, and housing wealth. Journal of monetary Economics, 54(1), 205-224. doi.org/10.1016/j.jmoneco.2006.12.001
  70. McKenna, J. S., & Nickols, S. Y. (1988). Planning for retirement security: What helps or hinders women in the middle years?. Home Economics Research Journal, 17(2), 153-164. doi.org/10.1177/1077727X8801700204
  71. Morgan, L. A., & Eckert, J. K. (2004). Retirement Financial Preparation: implications for Policy. Journal of aging & social policy, 16(2), 19-34. doi.org/10.1300/J031v16n02_02
  72. National Council on Aging. (2020). Aging Matery. https://www.ncoa.org/healthy-aging/aging-mastery-program/
  73. Noone, J., Alpass, F., & Stephens, C. (2010). Do men and women differ in their retirement planning? Testing a theoretical model of gendered pathways to retirement preparation. Research on Aging, 32(6), 715-738. doi.org/10.1177/0164027510383531
  74. OECD. (2019). Pensions at a Glance 2019. Paris: OECD.
  75. Owusu-Ansah, F. E. (2008). Control perceptions and control appraisal: relation to measures of subjective well-being. Gbana Medical Journal, 42(2), 7-12. doi.org/10.4314/gmj.v42i2.43597
  76. Petkoska, J., & Earl, J. K. (2009). Understanding the influence of demographic and psychological variables on retirement planning. Psychology and aging, 24(1), 245-251. doi.org/10.1037/a0014096
  77. Phares, E. J. (1965). Internal-external control as a determinant of amount of social influence exerted.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2(5), 642-647. doi.org/10.1037/h0022710
  78. Pittman, N. L., & Pittman, T. S. (1979). Effects of amount of helplessness training and internal-external locus of control on mood and performan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7(1), 39-47. doi.org/10.1037/0022-3514.37.1.39
  79. Rotter, J. B. (1966). Generalized expectancies for internal versus external control of reinforcement. Psychological Monographs: General and Applied. 80(1), 1-28. doi.org/10.1037/h0092976
  80. Sewell, W. H., & Shah, V. P. (1967). Socioeconomic status, Intelligence, and the Attainment of Higher Education. Sociology of Education, 40(1), 1-23. doi.org/10.2307/2112184
  81. Sherraden, M., Laux, S., & Kaufman, C. (2007). Financial Education for Social Workers. Journal of Community Practice, 15(3), 9-36. doi.org/10.1300/J125v15n03_02
  82. Short, K., & Smeeding, T. (2012). Understanding Income-to-Threshold Ratios Using the Supplemental Poverty Measure: People with Moderate Income. Social, Economic, and Housing Statistics Division Working Paper, 18, Washington, DC: U.S. Census Bureau.
  83. Smith, D. B., & Moen, P. (1998). Spousal influence on retirement: His, her, and their perception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60(3), 734-744. doi.org/10.2307/353542
  84. Strickland, B. R. (1965). The prediction of social action from a dimension of internal-external control. The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66(2), 353-358. doi.org/10.1080/00224545.1965.9919655
  85. Sung, J., & Hanna, S. D. (1998). The Spouse Effect on Participation and Investment Decisions for Retirement Funds. Journal of Financial Counseling and Planning, 9(2), 47-59.
  86. Tabachnick, B. G., Fidell, L. S., & Ullman, J. B. (2007). Using multivariate statistics (Vol. 5). Boston, MA: Pearson.
  87. Wike, R. (2016). Five ways Americans and Europeans are different. https://www.pewresearch.org/fact-tank/2016/04/19/5-ways-americans-and-europeans-are-different/(2016/4/19)
  88. Williams, C. B., & Vantress, F. E. (1969). Relation between internal-external control and aggression. The Journal of Psychology, 71(1), 59-61. doi.org/10.1080/00223980.1969.10543070
  89. Willis, L. E. (2011). The Financial Education Fallacy. American Economic Review, 101(3), 429-34. doi.org/10.1257/aer.101.3.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