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노후도 예측

Search Result 118,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원자로수화학의 현황과 장래전망

  • 한국원자력산업회의
    • Nuclear industry
    • /
    • v.8 no.12 s.70
    • /
    • pp.64-69
    • /
    • 1988
  • 원자로수화학은 현재의 문제해결기술에서 앞으로는 문제예측형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현재 가동중에 있는 플랜트가 점점 노후화되어 가고 있는 현상황에서는 노후에 따른 트러블 예측의 중요성이 점차 증대될 것이다.

  • PDF

Safety analysis and deterioration evaluation of water pipe for improvement according to service year (상수도관의 개량을 위한 시간에 따른 노후도 및 안전성 분석)

  • Kwon, Hyuk Jae;Lee, Kyung Je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4 no.8
    • /
    • pp.589-597
    • /
    • 2021
  • In this study, corrosion depth equation was suggested according to real measured corrosion data, and then management indexes of pipe network which can determine the deterioration rate and safety rate has been established and applied to real pipe networks. Furthermore, reliability analysis and management index analysis have been conducted to estimate and compare the deterioration rate. From the results of reliability analysis, it was found that probability of failure of 200 mm steel pipe can be increased from 4.36% at present time to 8.23% after 20years at Gaduk and from 7.35% to 12.99% at Nami. From the results of management index analysis, it was found that deterioration rates of Gaduk and Nami are 1.009 and 1.174, respectively. Priority of improvement and replacement of water pipe can be determined by results of reliability analysis and management index analysis.

Study on Forecasting Factors of Baby Boomer's Social Participation Desire After Retirement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 사회참여 의향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 Kim, Jong-In;Kim, Yun-Jeo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4 no.2
    • /
    • pp.655-664
    • /
    • 2013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forecasting factors of baby boomer's social participation desire. For this purpose, I utilized Hyun-Jung Kang(2012)'s data whose 1,115 sample were collected based on residential area and gender.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77.7% of baby boomers are actually participating in economic activities. 27.0% in volunteering activities and 79.3% in leisure activities. 80.9% of baby boomers hav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economic activities after retirement, 76.7% in volunteering activities after retirement and 82.2% in leisure activities after retirement. Second, looking at the relationship between current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 and intention to participate after retirement, those who are currently having social activities turn out to have higher intention to participate social activities after retirement. Those who wish to participate in social activities, although they don't participate in social activities currently, turn out to be 55.8% for economic activities, 70.6% for volunteering activities and 66.5% for leisure activities. Third, whether they are currently participating in social activities turns out to be most compelling forecasting factor for the desire on social participation after retirement.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 continuity theory. and proposed that you need from the preparation of Middle - aged to activate the participation of important social variables known as old age life satisfaction.

Estimation of real-time data in water distribution systems using LSTM (LSTM을 이용한 상수관망 내 실시간 유량 및 수질 데이터 예측)

  • Eun Young Cho;Seon Hong Choi;Dong Woo J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63-463
    • /
    • 2023
  • 국내 수도관 보급률이 증가하면서 기존 노후화된 수도관들과 추가로 노후화된 수도관들이 증가하고 있다. 경과년수가 오래된 시설이 증가하는 것은 잠재적인 사고발생 위험을 증가시킨다. 실제 노후화된 상수도 시설물로 인해 단수, 누수, 수질오염, 지반함몰 발생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현상들은 시민들의 생활과 안전, 경제활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AI를 기반으로 상수도관의 노후도 및 위험도를 예측하는 모델을 설계하고자 하였다. 대상지역을 인천광역시 서구로 선정하여 유량과 수질의 실시간 계측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딥러닝 기법 중 하나인 LSTM(Long Short-Term Memory)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예측하였고, 결정계수(R2)와 RMSE(Root Mean Square Error)로 학습데이터와 검증데이터의 비율을 정하여 예측도를 평가하였다. 유량과 수질 데이터 중 80%는 학습데이터로 20%는 검증 데이터로 분리하였고, LSTM의 셀과레이어 수를 해석에 적합한 범위로 설정한 결과, 실제값과 예측값이 높은 상관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측된 유량 및 수질의 결과는 상수도 관리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며, 사고 위험도 평가와 관 노후화에 따른 대응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Prediction of Safety Grade of Bridges Using the Classification Models of Decision Tree and Random Forest (의사결정나무 및 랜덤포레스트 분류 모델을 이용한 교량 안전등급 예측)

  • Hong, Jisu;Jeon, Se-Ji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43 no.3
    • /
    • pp.397-411
    • /
    • 2023
  • The number of deteriorated bridges with a service period of more than 30 years has been rapidly increasing in Korea. Accordingly, the importance of advanced maintenance technologies through the predictions of age-induced deterioration degree, condition, and performance of bridges is more and more noticed. The prediction method of the safety grade of bridges was proposed in this study using the classification models of the Decision Tree and the Random Forest based on machine learning. As a result of analyzing these models for the 8,850 bridges located in national roads with various evaluation indexes such as confusion matrix, balanced accuracy, recall, ROC curve, and AUC, the Random Forest largely showed better predictive performance than that of the Decision Tree. In particular, random under-sampling in the Random Forest showed higher predictive performance than that of other sampling techniques for the C and D grade bridges, with the recall of 83.4%, which need more attention to maintenance because of the significant deterioration degree. The proposed model can be usefully applied to rapidly identify the safety grade and to establish an efficient and economical maintenance plan of bridges that have not recently been inspected.

Development of Risk Prediction Index in Water Distribution System (상수관로 위험도 예측을 위한 평가 지표 개발)

  • Ye Ji Choi;Han Na Jung;Dong Woo J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02-402
    • /
    • 2023
  • 상수관망은 충분한 양질의 수돗물을 공급하기 위한 사회기반 시설물이다. 상수관로의 노후화, 누수 등은 수도 사고 발생의 가능성을 증가시키고, 수돗물 안전성에 대한 신뢰도를 감소시킨다. 수돗물 공급 전 과정을 인공지능(AI), 정보통신기술(ICT)과 결합한 지능형 상수도관 예측 및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여, 상수도 수질 사고를 조기에 감지하고 사전에 취약지점을 예측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상수관로의 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한 체계적인 데이터와 기준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상수관로의 위험도 예측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상수관로 위험도와 관련된 평가 인자를 선정하고 분류하였으며, 각 인자의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였다. 국내·외 상수도 위험도 평가 항목에 대한 자료를 비교 및 분석하였고, 전문가 자문을 통해 인자를 정립하여 상수관로 위험도 평가 지표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평가 지표의 현장 적용성과 실효성 검증을 위해 정량적인 데이터 확보가 가능하고 상태를 평가할 수 있는 대상 지역을 선정하였다. 문헌 자료의 평가항목들과 전문가 의견을 바탕으로 상수관로 위험도 평가 인자를 31개의 직접 인자와 5개의 간접 인자로 구분하였고, 인자별 평가 기준을 제시하였다. 직접 인자는 노후화 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노후도 평가 항목, 지역 특성을 반영한 토양 부식성 항목,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결과를 제공하는 실시간 계측 항목, 직접적인 수질 결과를 제공하는 정수장 수질 항목, 상수관로의 건전성을 평가하는 자산관리 항목으로 분류하였다. 추후, 위험도 평가 운용을 위한 알고리즘을 개발하면 상수도 사고 위험에 대한 예방 및 대응 전략을 수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Model Analysis of AI-Based Water Pipeline Improved Decision (AI기반 상수도시설 개량 의사결정 모델 분석)

  • Kim, Gi-Tae;Min, Byung-Won;Oh, Yong-Sun
    • Journal of Internet of Things and Convergence
    • /
    • v.8 no.5
    • /
    • pp.11-16
    • /
    • 2022
  • As an interest in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AI) technology in the water supply sector increases, we have developed an AI algorithm that can predict improvement decision-making ratings through repetitive learning using the data of pipe condition evaluation results, and present the most reliable prediction model through a verification process. We have developed the algorithm that can predict pipe ratings by pre-processing 12 indirect evaluation items based on the 2020 Han River Basin's basic plan and applying the AI algorithm to update weighting factors through backpropagation. This method ensured that the concordance rate between the direct evaluation result value and the calculated result value through repetitive learning and verification was more than 90%. As a result of the algorithm accuracy verification process, it was confirmed that all water pipe type data were evenly distributed, and the more learning data, the higher prediction accuracy. If data from all across the country is collected, the reliability of the prediction technique for pipe ratings using AI algorithm will be improved, and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AI algorithm will play a role in supporting decision-making in the objective evaluation of the condition of aging pipes.

A method of life assessment for a decrepit signaling equipment (노후신호장치의 수명평가방안에 관한 연구)

  • Lee, Jae-Ho;Shin, Duc-Ko;Lee, Kang-Mi;Shin, Kyeong-H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9.07a
    • /
    • pp.1171_1172
    • /
    • 2009
  • 전자부품으로 구성된 제어기의 신뢰성에 대한 연구는 미국방부를 중심으로 1960년대부터 연구되었으며, 철도에서는 유럽을 중심으로 1990년대부터 연구되었다. 특히, 한국에서는 2000년대 이후부터 신호설비 신뢰성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어 과거 신뢰성 정보가 없는 노후 신호설비를 대상으로 효율적인 유지보수를 위한 수명평가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품단위 고장률 또는 운영시 발생된 고장정보와 같이 신호설비의 신뢰도가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및 분석정보가 존재하지 않고 장기간 사용된 노후신호설비에 대한 수명을 예측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 PDF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s in Water Distribution Network (상수관망의 성능평가를 위한 진단체계 구축)

  • Kim, Ju-Hwan;Kim, Jung-Hyun;Lee, Doo-Jin;Woo, Hyung-Min;Bae, Cheol-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864-868
    • /
    • 2008
  • Water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systems play a important role to deliver safe and clean water and are responsible for the most direct impacts of water utilities to customers. Although the performance of WDS(Water Distribution Systems) should be evaluated by a certain standards, interests has not been in WDS and developed due to invisible, hard-working and insufficient information in the evaluation process in Korea till now. The investigations and researches were carried out to develop software to assist the evaluation of WDS with respects to hydraulics, water quality and structural analysis methods. The methodologies have been developed which can be used to estimate the performance to water distribution network and software are implemented by the process. Developed systems are consisted with database, analysis techniques, simulation models, decision support systems and other tools. The concepts and functions are introduced in this paper and the performance index are discussed for accurate assessment of water distribution systems.

  • PDF

Realization of water distribution system digital twin model using parameter calibration model (상수도관망 디지털트윈 구현을 위한 해석 프로그램 매개변수 검보정 모형 개발)

  • Lee, Jaeyeon;Park, Jaehong;Lee, Seungyub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182-182
    • /
    • 2022
  • 4차산업 기술이 상수도 관망 분야에도 활발히 도입되며 스마트워터 구축에 기술적인 기반이 마련되고 있다. 이중 디지털트윈의 경우 컴퓨터에 현실 속 사물의 쌍둥이를 만들고, 현실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컴퓨터로 시뮬레이션함으로써 결과를 미리 예측하는 기술로 정의된다. 즉, 디지털트윈의 핵심기술은 시각화와 시뮬레이션 모형의 연계로 실시간 상황 표출뿐만 아니라 시뮬레이션 모형 입력값의 미래 변화를 추정하여 해당 사물의 상태를 예측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상수도 관망의 경우도 디지털트윈 모형 구축 시 정교한 시뮬레이션 모형과 연계를 통해 관측 데이터의 표출과 함께 미관측 지점의 데이터를 추정 및 표출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트윈 모형 구축에 가장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는 상수도 관망의 해석 프로그램 매개변수 검보정 모형을 소개한다. 대표적인 상수도 관망해석 프로그램인 EPANET2.2의경우 입력값으로 주로 수요량과 관로의 조도계수를 요구하며, 본 연구에서는 수요량은 알고 있는 것으로 가정하고 관로의 조도계수만 Markov-Chain Monte Carlo (MCMC)를 사용하여 검보정한다. 해당 모형은 (1) 실시간 조도계수 추정이 가능하면, (2) 동시에 누수 탐지가 가능하고, (3) 관로의 기능적 노후를 정의하여 향후 디지털트윈 모형 구현 시 관로 노후를 표출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한다. 우선 실시간 조도계수 추정은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진행하며, MCMC 모형을 활용한 관로 별 조도계수의 분포에 따라 정상범위 내 변동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정상범위를 벗어난 변동이 발생하는 경우 잠재적 누수가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하며, 콜모고로프-스미르노프(KS) 테스트를 통해 이를 판단한다. 기능적 노후는 관로의 통수능과 연관이 있으며, 추정한 조도계수에 따른 관로의 통수능을 산정하여 결과를 표출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모형은 향후 상수도 관망 디지털트윈 구현에 핵심 요소기술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