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노출환경등급

Search Result 67,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 Study on the Health Risk Agents in the Workplace of a General Hospital (한 종합병원 작업환경의 건강저해인자에 관한 조사 연구)

  • Kim, Yang-Ok;Kim, Ki-Soon;Park, Jong;Ryu, So-Yeon;Yang, Hee-Yeon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v.29 no.1 s.52
    • /
    • pp.1-14
    • /
    • 1996
  • To evaluate the health risk of the workplace environment of a general hospital toward the hospital workers, a questionnaire survey on the perception of risk at the workplace environment and environmental measurements at 27 locations with 240 workers in the hospital were made from October 25th, 1993 to October 30th, 1994.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By the environmental measurements, 86 workers(36%) were found to be exposed to poor or harmful degree of general illumination, 193 workers(80%) were exposed to poor or harmful local illumination, 34 workers(14%) were exposed to poor or harmful degree of thermal condition and 180 workers(75%) were exposed to poor or harmful noise level, but nobody was exposed to poor or harmful dust and toluene concentration. Also nobody was exposed to poor or harmful level of radiation or anticancer/antibiotic agents. 2. The subjective perceptions on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felt by the workers were different from the objective findings by the environmental measurements. The workers underscored the poor illumination state and overscored the dust concentrations. Also workers oversensitized about the thermal condition, the noise level, the radiation level, the toluene concentration and anticancer/antibiotic agents 3. The sources of noise were the dialogue(179 workers) and the office instruments(131 workers). The sources of dust came from the clothes(108 workers) and the building materials(79 workers). 4. The questionnaire survey showed that the 28 workers were exposed to poor or harmful level of the antibiotics, 10 workers to alkali or acid and 6 workers to drug dust in the pharmacy but the above findings could not be proved by the environmental measurements.

  • PDF

Estimation of Benthos Distribution Using Optic Satellite Data (광학위성자료를 이용한 저서생물 분포 추정)

  • Ryu, Joo-Hyung;Kim, Kye-Lim;Shin, Sang-Ho;Koo, Bon-Joo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9.03a
    • /
    • pp.314-317
    • /
    • 2009
  • 고해상도 위성자료를 이용하여 갯벌의 다양한 퇴적환경을 공간자료화하거나 표층 생물상 분포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는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수행되어졌다. 그러나 갯벌 속에 존재하는 저서생물에 대한 양을 추정하는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태안 근소만에 대하여 위성자료를 이용하여 갯벌의 DEM과 퇴적상 등의 분포를 공간자료화하고 이들로부터 생물상과 관련이 있는 노출시간 등의 2차 주제도를 제작하였다. 또한, 현장조사에 의해 얻어진 갯벌 생물 종/개체수와 갯벌의 퇴적환경 공간자료를 비교분석하여 갯벌 저서생물의 공간적 연관성을 파악하였다. 노출시간은 4개의 등급으로 구분하였으며 퇴적상 현장조사와 연계하여 우점종을 분석한 결과, 노출시간이 가장 긴 노출시간 I 등급 지역은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와, 칠게와 가재붙이가 대표종으로 분석되었다. II 지역의 모래 우세지역에는 쏙이 그리고 펄 우세지역에는 세가시육질꼬리옆새우가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III과 IV 지역은 조하대쪽으로 모래 성분이 전체적으로 우세하게 나타났는데 펄털콩게와 바지락이 우정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Double-Version Graph Validation Scheme for Security Management in Database Systems (자료기지 보안 관리를 위한 이판 그래프 검증 기법)

  • 김남규;손용락;문송천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a
    • /
    • pp.287-289
    • /
    • 1999
  • 다등급 보안 자료기지 관리체계는 하위 등급의 자료에 대한 쓰기 연산 및 상위 등급의 자료에 대한 읽기 연산을 불허하여, 상위 등급의 자료가 하위 등급의 거래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하지만, 전통적인 다등급 보안 자료기지 관리체계는 서로 상이한 등급간 거래의 공모로 생성될 수 있는 비밀 경로는 차단할 수 없다. 이러한 비밀 경로의 생성을 막기 위한 여러 연구가 다중 버전의 환경 및 제한된 버전의 환경 하에서 수행되어 왔다. 하지만 다중 버전에 기반한 기법은 상위 등급의 거래가 지나치게 오래된 버전의 자료를 읽을 뿐 아니라 버전 관리를 위하여 추가적인 부담이 요구된다는 단점이 있고, 제한된 버전에 기반한 기법은 항상 상위 등급 거래의 지연 및 철회를 강요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제한된 버전 하에서 직렬화 가능성 그래프 검사 기법을 사용하여, 각 보안 등급간의 형평성을 높일 수 있는 비밀경로 생성 방지 기법을 제안한다.

  • PDF

Interworking Biba Model and Role-Based Access Control Model (Biba 모델과 역할기반 접근제어 모델의 상호 연동)

  • 최은복;이형효;노봉남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s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Conference
    • /
    • 1998.12a
    • /
    • pp.495-507
    • /
    • 1998
  • 개방형 통신환경에서 접근제어의 목적은 컴퓨팅 자원 및 통신 정보자원 등을 불법적인 사용자로부터의 사용, 노출, 수정, 파괴와 같은 비합법적인 행위로부터 보호하는데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상업적인 환경에서 조직의 관련된 작업을 기반으로 하는 역할기반정책에 주체와 객체에 등급을 부여하여 정보의 무결성을 보장하는 Biba 모델과의 연관성을 논하였다. 또한 인가등급을 갖는 주체를 역할그래프에 동적으로 배정할 수 있는 역할배정규칙과 제약조건을 정의하였으며 객체의 보안등급 비교유무에 따른 read-write 역할을 세분하여 그래프로 도식화하였다.

  • PDF

입지 여건에 따른 항로표지시설 계획

  • Lee, Seung-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11a
    • /
    • pp.49-51
    • /
    • 2018
  • 항로표지시설은 방파제 상치, 노출암, 수중암, 산지 정상 등 다양한 입지에 건설되었으며, 항로표지시설에 대한 정밀안전진단결과(침하, 경사, 전도, 활동, 파손, 균열, 박리, 마모, 침식, 세굴 등) 내구수명은 파랑 및 조류 등 해양환경에 직접적으로 노출된 경우 20년, 비교적 해양환경에 노출이 심하지 않은 경우 40년 정도로 조사되었다. 안전진단 결과 등급이 낮은 순으로 항로표지시설 개량공사 계획이 수립 되고 있으며, 입지 여건에 따른 철거 및 시공방법에 대한 다양한 사례를 조사하여 시공기술을 제시하였다.

  • PDF

Correlationship Analysis of Physical Stream Assessment (물리적인 하천평가 체계의 상관성 분석)

  • Kim, Ki Heung;Park, Hyun Sub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546-550
    • /
    • 2017
  • 하천의 수리 및 하도의 특성으로 대표되는 물리적 환경(하도 및 수리 특성)은 생태계 기반으로서 수질특성과 더불어 생물에 미치는 영향이 아주 크다. 따라서 하천의 물리적 환경을 진단하고 평가하는 경우에는 상 중 하류의 위치에 따른 하도의 지형학적 특성과 하천의 규모 및 유량의 크기 등에 따라 하천의 유형을 분류하고 그 유형별 특성에 따라 하천환경의 평가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1980년 후반 이후에는 세계 각국에서 환경보전, 하천복원 및 하천관리 등 종합적인 하천공학적 관점에서 적용할 수 있는 하천분류체계가 제시되었으며 1990년대 이후 선진국들은 정성적 또는 정량적인 하천의 서식환경 평가시스템을 구축하여 적용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정량적 평가시스템을 운영하는 국가는 독일과 미국이고, 정성적 평가시스템을 운영하는 국가는 영국이며, 호주는 영국과 미국의 평가시스템을 통합한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한편, 국내에서는 하천환경에서 생태계 기반인 하천의 물리적 특성(구조)에 대한 평가 및 진단 절차도 없이 시행되고 있는 사례가 대부분이다. 또한 지금까지는 하천의 자연도 평가 연구 등에서 선진국들의 하천환경평가시스템을 여과 없이 적용함으로써 국내의 하천특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노출하고 있다. 따라서 국내 하천의 물리환경 평가시스템에서는 생물 서식의 기반이 되는 하천의 하도지형 특성 및 수리특성을 반영할 수 있어야 한다. 하천평가에 앞서 하천유형 분류에 따른 하도특성은 하상경사에 따라서 급경사 하천(high-gradient stream), 중경사 하천(mid-gradient stream), 완경사 하천(low-gradient stream)으로 구분하였으며 하천의 물리환경 평가시스템의 평가영역 및 평가지표는 정량적 평가시스템을 운영하는 독일(LAWA, 2004)과 미국(EPA, 2004)의 연구결과를 참고하여 공통지표를 추출하고, 우리나라의 하천이용 및 정비현황을 반영하여 하천유형을 3가지로 분류하고 각 하천유형에 대하여 3개 영역 10개 평가지표를 5개 등급으로 구분하여 평가시스템을 구축하였다. 하천에 대한 하천 지형특성과 현황을 조사할 항목은 수리 및 하도영역의 6개 항목, 하안영역의 2개 항목, 하천교란 영역 2개 항목으로 3개 영역으로 구분해서 평가하고 그 점수에 따라 1등급은 매우좋음(1등급)상태의 $20>{\sim}18{\geq}$점, 좋음(2등급)상태의 $18>{\sim}14{\geq}$점, 보통(3등급)상태의 $14>{\sim}8{\geq}$점, 나쁨(4등급)상태의 $8>{\sim}14{\geq}$점, 매우나쁨(5등급)상태의 4>점으로 등급을 산정하였다. 매우 좋음의 1등급은 참조하천이며 좋음~매우나쁨의 2등급~5등급은 비교하천으로 구분하였으며 보통보다 높은 경우는 자연하천, 낮은 경우는 인공하천으로 나누어 서식처 기반에 따라 평가체계를 구축하였다. 한국형 하천환경 물리평가 체계가 확실히 구축되기 위해서는 각자의 평가 등급이 적절하게 평가 되는지를 검증해야 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하천유형별 자연하천과 인공하천을 비교 분석하였고 평가 영역별 평가지표를 기준으로 상관분석을 통한 상관성을 분석하고 더 나아가 가중치의 적절성 및 각각의 등급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한다.

  • PDF

Trail Deterioration on the Ridge of the Baekdudaegan- A Case of the Trail between Manbokdae and Bokseongiiae - (백두대간 마루금 등산로 및 주변 환경의 훼손실태- 만복대-복성이재 구간을 대상으로 -)

  • 권태호;이준우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6 no.4
    • /
    • pp.465-474
    • /
    • 2003
  • According to rapid increase of visitors to the Baekdudaegan, the most important ecosystem in Korea, fur climbing or outdoor recreation, deterioration of natural environment along the trail on the ridge of Baekdudaegan is becoming more serio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deterioration condition of the trail between Manbokdae and Bokseongijae on the Baekdudaegan with intent to prepare the conservational management strategy fur the trail on the ridge of Baekdudaegan. To accomplish the purpose, not only trail condition such as altitude, entire width, bare width, maximum depth and slope of trail, but also deterioration types of trail were surveyed at the total 232 points for 28.4km in length. Furthermore, impact rating class, which could be effective means to check the step and extent of deterioration process, was judged on each points of trail. Putting together these results informs us that the deterioration condition of the trail between Manbokdae and Bokseongijae is not reached the level of grave concern yet, but prompt countermeasure to maintain the existing condition has to be considered with regard for the conditions of location and the increasing amounts of use.

Trail Deterioration and Managerial Strategy on the Ridge of the Baekdudaegan : A Case of the Trail between Namdeogyusan and Sosagogae (백두대간 마루금 등산로의 훼손실태와 관리방향 :남덕유산-소사고개 구간을 대상으로)

  • 권태호;이준우;김동욱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8 no.2
    • /
    • pp.175-183
    • /
    • 2004
  • They are raising the necessity to prepare the conservational management strategy for the trail on the ridge of the Baekdudaegan where deterioration of natural environment along the trail as the rapid increase of visitors to the Baekdudaegan. The purpose of this study, followed after the Kwon and Lee(2003), is to research the deterioration condition of the trail between Namdeogyusan and Sosagogae on the Baekdudaegan. To accomplish the purpose, not only trail condition such as altitude, entire width, bare width, maximum depth and slope of trail, but also deterioration types of trail were surveyed at the total 182 points for 32.3km in length. Furthermore, impact rating class, which could be effective means to check the step and extent of deterioration process, was judged on each points of trail. Results informs us that the deterioration condition of the trail between Namdeogyusan and Sosagogae is not reached the level of grave concern yet, but some points and sections of trail are in urgent need of the integrated and organized maintenance. And some managerial strategies of trail were proposed in connection with the maintenance for trail on the Baekdudaegan ridge.

Trail Deterioration in Woraksan National Park (월악산국립공원 등산로의 훼손실태 분석)

  • Kwon Tae-Ho;Kim Dong-Wook;Lee Joon-Woo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9 no.2
    • /
    • pp.130-138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ail deterioration conditions and to obtain the informations for the desirable maintenance and restoration of the trails in Woraksan National Park. To accomplish the purpose, not only trail condition such as altitude, entire width, bare width, maximum depth and slope of trail, but also deterioration types of trail were surveyed at the total 111 points for 13.5km in length on the four access trails to Yeongbong which is the main peak of Woraksan. Furthermore, impact rating class, which could be effective means to check the step and extent of deterioration process, was judged on each points of trail. Results informs us that the deterioration condition of the trail in Woraksan National Park is not reached the lev- el of grave concern yet, but the active counterplan to change over from the safety-centric facility station to the integrated and organized restoration aiming to na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is urgently needed.

Measurements of Nitrogen and Sulfur Deposition to Lake Paldang (팔당호로의 질소와 황성분 침적 측정)

  • 김영성;진현철;김진영;임은정;이시혜;김용표;심상규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11a
    • /
    • pp.131-132
    • /
    • 2002
  • 우리나라는 식수의 90% 이상을 지표수로부터 얻고 있다. 그만큼 식수를 위한 취수가 외부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원칙적으로 어떠한 대기오염물질의 침적도 수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황과 질소분은 대표적인 산성물질로 수질을 산성화시킬 수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주요 하천과 호소는 적지 않은 양의 산성물질 침적에도 불구하고 pH는 상수원수 등급기준인 6.5-8.5사이로 양호하다 (환경부, 2001). 하천, 호소의 완충 능력이 침적에 비하여 충분함을 의미하나 구체적 메커니즘은 분명치 않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