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il Deterioration on the Ridge of the Baekdudaegan- A Case of the Trail between Manbokdae and Bokseongiiae -

백두대간 마루금 등산로 및 주변 환경의 훼손실태- 만복대-복성이재 구간을 대상으로 -

  • Published : 2003.03.01

Abstract

According to rapid increase of visitors to the Baekdudaegan, the most important ecosystem in Korea, fur climbing or outdoor recreation, deterioration of natural environment along the trail on the ridge of Baekdudaegan is becoming more serio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deterioration condition of the trail between Manbokdae and Bokseongijae on the Baekdudaegan with intent to prepare the conservational management strategy fur the trail on the ridge of Baekdudaegan. To accomplish the purpose, not only trail condition such as altitude, entire width, bare width, maximum depth and slope of trail, but also deterioration types of trail were surveyed at the total 232 points for 28.4km in length. Furthermore, impact rating class, which could be effective means to check the step and extent of deterioration process, was judged on each points of trail. Putting together these results informs us that the deterioration condition of the trail between Manbokdae and Bokseongijae is not reached the level of grave concern yet, but prompt countermeasure to maintain the existing condition has to be considered with regard for the conditions of location and the increasing amounts of use.

최근 우리나라 주요한 생태공간인 백두대간을 이용하는 인구가 급증하면서 백두대간 마루금 등산로에서 주변 파연환경의 훼손이 심화되고 있다. 이 연구는 백두대간 마루금 등산로에 대한 보전적 측면에서의 관리전략을 마련하기 위하여 지리산 만복대에서 복성이재까지를 대상으로 등산로의 훼손실태를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지형조건을 고려하여 7개 구간으로 구분된 총 28.4km, 232개 측점에서 등산로 상태를 조사한 바 평균노폭 106cm, 평균나지폭 65cm, 평균침식깊이 8cm, 평균물매 20%로 나타났다. 훼손유형별 발생빈도는 뿌리 노출(23%). 암석노출(14%). 노폭확대(7%) 둥의 순이었으나 건전한 지점의 출현빈도는 64%로 대단히 높았다. 훼손발생지점의 등산로 상태는 건전한 지점과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등산로 주변으로 확산되는 훼손의 진행단계와 범위를 파악하기 위한 환경피해도는 3등급이 2.9m, 4등급 0.8m, 5등급 0.4m, 6등급 0.1m로 환경피해도 등급이 높을수록 훼손폭이 좁았으며, 4등급 이상의 폭은 1.2m이었다 종합적으로 볼 때 이 지역의 마루금 등산로의 훼손상태는 우려할만한 수준은 아니나 입지조건이나 이용압력의 증가 추세를 감안할 때 현상태에서 유지되도록 관리방안을 조속히 마련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권태호(1999) 우리나라 주요 국립공원 등산로의 훼손 실태와 복구대책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과학기술연구 5(5): 403-416
  2. 권태호, 오구균, 권순덕(1991) 지리산국립공원의 등산로 및 야영장 주변환경 훼손에 대한 이용영향. 응용생태연구 5(1): 91-103
  3. 권태호. 오구균, 김보현(1998) 설악산국립공원 내설악지구 등산로의 훼손 및 주연부식생. 환경생태학회지 11(4): 523-534
  4. 권태호, 오구균, 이준우(1990) 속리산국립공원의 등산로 훼손과 주연부식생에 미치는 영향. 응용생태연구 4(1): 63-68
  5. 권태호, 오구균, 이준우(1993) 소백산국립공원 등산로의 환경훼손에 대한 이용영향. 응용생태연구 6(2): 168-179
  6. 권태호, 오구균, 이준우(1994) 덕유산국립공원 등산로 및 야영장의 환경훼손에 대한 이용영향. 응용생태연구 7(2): 241-251
  7. 권태호, 오구균, 이준우(1996) 오대산국립공원 이용에 따른 등산로 및 주변환경훼손. 환경생태학회지 9(2): 221-220
  8. 권태호, 최송현, 오구균(2001) 등산로의 환경피해도를 활용한 산악형 국립공원의 수용능력 추정(I) - 북한산 국립공원을 사례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5(3): 257-266
  9. 권태호, 최송현, 유기준(2002) 백두대간 관리범위 설정에 관한 연구: 유역확장방식에 의한 접근. 한국지리정보학회지 5(4): 106-118
  10. 녹색연합(2001) 백두대간 마루금 등산로 실태조사 및 관리방안. 산림조합중앙회 용역보고서. 177쪽
  11. 산림청, 녹색연합(1999) 백두대간 산림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602쪽
  12. 산림청. 한국환경생태학회(2001) 백두대간 자연생태계보전 및 훼손지 복원방안 조사 연구. 산림청. 306쪽
  13. 산림청, 한국환경생태학회(2002) 백두대간 자연생태계 조사 및 관리방안 수립에 관한 연구. 산림청. 279쪽
  14. Cole, D.N.(1983) Assessing and monitoring backcountry trail conditions. USDA Forest Service Research Paper INT-303, 10pp
  15. Frissell, S.S.(1978) Judging recreation impacts on wilderness campsite. Journal of Forestry 76: 481-483
  16. Wenger, K.F.(ed.)(1984) Forestry Handbook(2nd ed.). John Wiley & Sons, New York, 1335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