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노인 주거

검색결과 534건 처리시간 0.023초

주거의 경제 및 지역적 특성이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ffect of Housing Economic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on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 임광빈;강동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467-479
    • /
    • 2018
  • 본 연구는 주거의 경제 및 지역적 특성이 노인의 삶의 만족도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한국복지패널 11차 조사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거의 경제적 특성인 주택가격, 가구원당 주거면적 및 총생활비대비 광열수도비 비중은 노인의 삶의 만족도와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노인의 자아존중감은 삶의 만족도에 대한 주거의 경제적 특성의 영향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거의 지역적 특성인 거주 지역은 노인의 삶의 만족도와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노인의 자아존중감은 삶의 만족도에 대한 주거의 지역적 특성의 영향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주거의 경제 및 지역적 특성 등과 관련한 노인주거복지정책은 노인의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하여서도 노인의 심리적 복지감인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주거 빈곤 및 주거불평등 등으로 인해 노인의 삶의 만족도와 자아존중감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정책적인 고려를 하여야 할 것이다.

Active aging의 여가생활을 고려한 유료노인주거시설의 부대시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ase of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leisure of Active aging)

  • 김소연;이현수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15-218
    • /
    • 2008
  • Recently most Elderly in 2050 Our country is becoming an "aging society" at a speed far more rapidly than expected, the interests of silver industry is also increasing. Many researches about the elderly are already presented in academic world, especially in the field of housing environment, the housing plans on the basis of physical, social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for the elderly are proposed. As the number of elderly participating in economy activities is getting higher, we selected on "active aging" generation which given a definition by OECD. In this research, we examine the present situation related to the needs for leisure time with the elderly who want to have their comfortable life. This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residential facilities for elderly, and how that facilities are reflected to their needs for the leisure. This study will indicate to the direction of plans in elderly housing.

  • PDF

주생활 단원에서의 노인주거 관련 교과내용 분석 - 중학교 3학년 기술.가정 교과서를 중심으로 - (Contents Analysis of the Elderly Housing in the Unit "Family Life & Housing" - Focused on the 9th Grade Textbooks of Technology & Home Economics -)

  • 장상옥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31-46
    • /
    • 2008
  • 본 연구는 7차 교육과정의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의 주생활 단원에 나타난 노인주거 관련 교과내용의 분석을 통하여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서 노인주거에 관한 교과서 집필 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주생활 단원의 노인주거 관련 교과내용의 총 분량, 참고자료, 활동자료, 정리, 그림, 사진, 평면, 도표의 분량은 교과서별로 편차가 커서 앞으로 교과서 개발 시는 이의 배분을 적절히 하도록 한다. 시각자료는 노인과 노인주거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유발할 수 있도록 선정한다. 활동자료는 학습자가 노인주거를 가까운 장래의 자신의 문제로 받아들일 수 있는 실천적 구성이 필요하다. 둘째, 내용요소별로 중복되는 부분의 통합이 필요하며, 노인주거에 대한 고정관념을 가지지 않는 다양한 관점에서의 기술이 요구된다. 교과내용은 노인의 주거 내부 환경뿐만 아니라 외부환경과 생활지원서비스에 대한 내용이 추가되어야 하며 장래의 인구구성 변화 및 자녀와의 동거 경향을 반영한 대비 내용이 필요하다. 노인주거 평면은 한국적 특성을 반영한 평면, 독립적으로 살아가기 위한 평면 등의 다양화가 필요하다.

  • PDF

노인주거복지시설 계획방향설정을 위한 수요자 요구조사 및 분석 - 경기도 거주 노인들을 중심으로 - (Study of a Residential Desire Survey for Planning Criteria of an Old Aged Residence - Focused on the Old Aged in Gyeonggi Province -)

  • 은민균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0권3호
    • /
    • pp.27-36
    • /
    • 2009
  • A person's residence is the primary environment which affects physical and emotional-gratification. Residential environments are very important to a person's quality of life. Because the age of society has rapidly increased, we must take a profound interest in the welfare and residences of the aged. While the government has begun to prepare for an aging society, the residential environments of the aged has not been fully considered. Because the welfare of the aged begins in the house, the term 'residence for the aged' is not limited to the physical space. Because residences for the old aged are included in various social policies such as family relations, social security, health care, safety etc, relevant policies for these residences must be prepared as rapidly as possible. This study-focused on both the importance of residences for the aged and the residential desires of the aged, and aims to propose planning criteria for the residences of the aged.

건설사의 사업다각화를 위한 유료노인주거시설 투자효과 분석 (Financial Impact of Construction Firms' Business Diversification-Focused on the Residential Facility for Retired Seniors-)

  • 진미연;최종수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8권1호
    • /
    • pp.96-106
    • /
    • 2007
  • 21세기와 함께 고령화 사회로 접어든 우리사회의 전반적인 여건 변화는 그간 잠재수요로 내재되어 있던 유료노인주거시설에 대한 수요를 현실화시킬 것으로 기대됨에 따라 유료노인주거시설 시장은 새로운 투자 영역으로 부상할 전망이다. 한편, 현재 국내 건설사의 매출이 아파트 등 주거부문 건설에 집중되어 있어서 향후 경기변동에 따라 재무적 위험에 처할 가능성이 높으나 유료노인주거시설에 대한 투자와 이를 장기적으로 운영할 경우 고정적인 수입원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사업포트폴리오의 다양화 뿐만 아니라 재무적인 측면에서 안정성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배경으로부터 유료노인주거시설 확충 시 투자자/운영자 측면에서 수익모델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건설사의 유료노인주거시설에 대한 투자 및 장기적인 운영이 매출액 및 영업이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건설사의 사업다각화에 대한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노인의 라이프케어 증진을 위한 주거안전 영향 요인도출 (Factors Related to Housing Safety and Improved End-of-Life Care for Elderly People)

  • 김주홍;오명화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341-351
    • /
    • 2019
  • 이 연구는 노화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다양한 문제들 중 노인의 주거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주거 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연구 진행은 첫 번째 단계로, 실제 65세 이상 노인 6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두 번째 단계로는, 국 내외 문헌고찰을 통해 확인된 노인 주거 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확인된 요인을 바탕으로 설문을 구성하여 전문가에게 델파이 조사를 시행하였다. 델파이 조사에서는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집하여 주거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구성 요인에 대해 확인하는 과정을 반복하였으며, 구성된 요인에 대해 내용타당도 지수(Content Validity Index: CVI)를 통해 검증하도록 하였다. 연구 결과, 노인의 주거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실외, 현관, 실내, 거실, 침실, 부엌, 욕실 및 화장실 총 7개 영역에 23개 하위 요인을 확인 및 추출할 수 있었다. 이 중 가장 많은 언급과 중요도를 보인 요인으로는 실내-외 영역의 계단 유무, 안전한 바닥, 실내 영역의 문턱 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노인이 기존의 주거지에서 안전하게 생활하기 위해서는 위의 요인들의 확인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노인의 주거환경 만족요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자존감과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Older People's Satisfaction Factors of Housing Environment on Their Quality of Life: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Depression)

  • 남기민;남현정
    • 사회복지연구
    • /
    • 제44권3호
    • /
    • pp.395-420
    • /
    • 2013
  • 본 연구는 노인들의 자존감과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들의 주거환경만족요인들(안전성과 편리성)이 그들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청주시에 소재하고 있는 4개의 노인복지관 및 시니어클럽을 이용하는 60세 이상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2012년 10월1일부터 10월31일까지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386부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주거환경의 만족요인 중 안전성은 노인의 삶의 질에 어떤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편리성은 노인의 삶의 질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안전성은 노인들의 자존감 및 우울에 어떤 영향도 미치지 않았으나 편리성은 노인들의 자존감에 정(+)의 영향을 미쳤고 우울에는 부(-)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노인들의 자존감은 그들의 삶의 질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나 노인들의 우울은 그들의 삶의 질에 부(-)의 영향을 미쳤다. 넷째, 안전성과 노인들의 삶의 질 간에 매개변수로 설정한 자존감과 우울은 어떤 간접효과도 보여주지 않았다. 그러나 편리성과 노인들의 삶의 질 간에는 매개변수로 설정한 자존감과 우울의 간접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노인들의 주거환경의 편리성은 노인들의 삶의 질에 직접, 또는 자존감과 우울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만큼 노인주거환경의 편리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대책이 마련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주생활단원의 노인주거 내용에 대한 교사의 중요도 인식 - 중학교 3학년 기술 가정 교과서를 중심으로 - (Teachers' Importance Perception on Elderly Housing Contents in the Housing Chapter of Middle School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xtbook)

  • 전경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28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현행 교과서의 노인주거 내용에 대한 교사의 중요도 인식을 조사하여 노인주거 교육내용 구성과 교수학습 과정에 참고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7차 교육과정 기술 가정 교과서 10종의 주생활단원 노인주거 내용을 5개 내용요소의 67개 항목으로 분석하였으며, 기술 가정 교사 233명을 대상으로 중요도 인식을 조사하였다. '안전성과 안전관리'의 11개 항목 중 욕실과 화장실의 안전에 관한 항목이 가장 비중이 높았으며 욕실 화장실의 안전에 관한 항목(욕실 화장실 바닥 미끄럼 방지 처리, 욕실 화장실 안전 손잡이, '샤워기 욕조 세면대의 위치와 높이조정)에 대한 교사의 중요도 인식도 높았다. '노인실 계획'의 7개 항목에서는 보편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기본적 지침(긴급 통보 장치, 화장실을 가깝게 배치, 턱이 없고 높이가 같은 바닥)에 대한 교사의 중요도 인식이 높았다. '가족축소기 및 주거의존기'의 20개 항목에서는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설비 갖추기와 노후기 주거 상황에 보편적으로 적용 가능한 항목(긴급 통보 장치, 턱이 없고 높이가 같은 바닥, 미끄럽지 않은 바닥)에 대한 중요도 인식이 높았다. '3세대 동거 주택'의 11개 항목에서는 안전에 관한 원칙적 내용이나 세대간의 독립성 확보에 관한 항목(노인을 위한 주거 안전 고려, 독립성을 보장하는 세대간의 공간 배치, 노인 전용의 욕실 화장실 두기)에 대한 중요도 인식이 높았다. '유니버설 디자인의 25개 항목에서는 욕실 화장실의 안전한 사용이나 이동의 편리성을 보장하는 항목(욕실 화장실의 안전 손잡이, 턱이 없고 높이가 같은 바닥, 휠체어가 회전할 수 있는 문이나 통로, 휠체어가 통과할 수 있는 문이나 통로)에 대한 중요도 인식이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노인주거 교육내용 구성과 교수학습에 대해 제언할 점은 첫째, 여러 내용요소에 공통으로 포함되며 교사의 중요도 인식이 높은 4개 항목(긴급 통보 장치, 욕실 화장실 안전 손잡이, 턱이 없고 높이가 같은 바닥, 미끄럽지 않은 바닥)을 보편적인 노인주거 교육내용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둘째, '안전성과 안전관리'의 중점은 욕실 화장실의 안전이 되어야 하며, 셋째, '노인실 계획'의 중점은 화장실의 근접 배치와 보편적 디자인 지침이 되어야 하며, 넷째, '가족축소기 및 주거의존기'의 중점은 안전사고 방지 설비와 보편적 디자인 지침 및 고령화 대비와 연계되는 내용이 되어야 하며, 다섯째, '3세대 동거 주택'의 중점은 노인 주거 안전과 세대 간의 독립성 확보에 관한 내용이 되어야 하며, 여섯째, '유니버설 디자인'의 중점은 보편적 디자인 지침과 이동의 편리성을 보장하는 것으로 관련법과도 일치하는 내용이 되어야 하는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