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노인 자살

검색결과 204건 처리시간 0.022초

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요인 (Personal Factors Affecting the Suicidal Ideation of Elderly)

  • 유용식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231-242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노인자살의 위험요인을 확인하고 자살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제천시에 거주하는 노인종합복지관, 노인교실, 시니어클럽을 이용하는 65세 이상의 노인 26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영향요인을 살펴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요인은 심리적 요인에서 스트레스, 우울감, 고독감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스트레스, 우울감, 고독감이 높을수록 노인의 자살생각 정도가 높아짐을 의미한다. 또한, 노인의 자살생각에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요인은 스트레스로 나타났으며, 다음은 고독감, 우울감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제언하면 첫째, 노인 자살예방을 위해 심리적 치료 및 예방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둘째, 노인의 정신건강 지원제도나 교육 및 서비스 확대가 필요하다. 셋째, 스트레스 대처·완화·중재 프로그램의 개발 및 보급이 필요하다.

노인의 성격유형에 따른 고독감과 자살생각 (Loneliness and Suicidal Ideation According to Character Type in Elderly)

  • 방소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319-327
    • /
    • 2014
  • 본 연구는 노인의 고독감과 자살생각 정도를 확인하고, 성격유형에 따른 고독감과 자살생각의 차이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일 지역의 노인정 및 사회복지관을 이용하는 만 65세 이상 노인 149명을 대상으로, 2013년 5월부터 6월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대상자의 고독감과 자살생각은 1점에서 4점의 범위 중 평균이 각각 2.0(${\pm}0.5$)점, 1.5(${\pm}0.6$)점으로 중위수 이하이고, 성격유형은 적극적 통합형이 67.1%로 가장 많으며, 다음은 의존적 수동형, 자기부정형, 실패과장형의 순이었다. 성격유형이 적극적 통합형인 노인의 고독감과 자살생각 평균이 실패과장형이거나 자기부정형인 노인보다 유의하게 낮고, 노인의 고독감과 자살생각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는 노인의 성격유형에 따른 고독감과 자살생각의 차이를 확인함으로서 노인의 정신건강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으며,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 고독감과 자살생각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성격유형을 고려한 차별화된 중재 프로그램이 개발 및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 노인자살률의 지역적 편차와 요인에 관한 연구 - 16개 광역시·도를 중심으로 (Elderly's Suicide Differentials and Their Factors: Focusing on 16 Metropolises and Provinces in Korea)

  • 김형수;김신향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215-224
    • /
    • 2014
  • 지금의 노인세대는 개인도 국가도 노후를 준비하지 못한 세대들이며 그에 따른 경제적 어려움과 유병장수로 인한 건강문제와 다양한 사회적 문제의 등장으로 스스로 생을 마감하는 자살이라는 극단적인 방법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 노인자살은 사회적으로 큰 이슈가 될 정도로 급속도로 증가 하고 있다. 노인 자살과 관련하여 최근에 들어 와서 많은 관심으로 여러 방면에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미시적인 자살의 요인에 관한 연구가 대다수이고, 소수의 거시적 차원의 연구도 국가적 수준에 국한되는 경향으로 인해 지역별 노인자살에 대한 연구는 극히 부족한 실정이다. 그리하여 지역적 특성에 따른 지역적 수준에서의 노인자살 연구가 절실히 요망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03년에서 2011년까지 9년간 지역별(16개시도) 노인 자살률 현황을 성별(남자노인 vs 여자노인)과 연령별(전기노인 vs 후기노인)로 나누어 보다 구체적으로 분석한 후 노인자살률과 사회경제적 요인의 관련성과 미치는 영향을 검토함으로써 자살예방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노인의 자살생각을 높이는 지각된 짐스러움과 절망감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역할 (The Role of Social Support for the Influences of Perceived Burdensomeness and Hopelessness on Suicidal Ideation of the Elderly)

  • 전영선;허창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64-74
    • /
    • 2019
  • 본 연구는 노인의 자살생각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진 지각된 짐스러움과 절망감을 감소시킬 변인으로 사회적 지지를 제안하고, 사회적 지지가 지각된 짐스러움과 절망감을 매개로 노인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부적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사회적 지지의 하위차원 중 가족지지는 노인의 지각된 짐스러움을 줄여줌으로써 자살생각을 감소시킬 뿐 아니라, 감소된 짐스러움이 절망감을 감소시켜 노인의 자살생각을 줄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친구지지는 노인의 지각된 짐스러움 및 절망감을 줄여줌으로써 자살생각을 줄여줄 뿐 아니라, 감소된 짐스러움이 절망감을 낮춤으로써 노인의 자살생각을 줄여주고 있었다. 지역사회지지는 노인의 지각된 짐스러움에 영향을 미치지는 못했으나 노인이 느끼는 절망감을 줄여줌으로써 자살생각을 줄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들(가족, 친구, 지역사회)은 자살생각에 대해 직접적인 효과를 보여주기보다, 다른 부정적인 요인을 감소시킴으로써 자살생각에 대한 간접적인 효과를 보여주었다. 이상의 결과에 근거하여, 고령화 사회와 핵가족화 사회에서 자칫 소원해 질 수 있는 가족관계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의 필요성과 노인의 대인관계 및 사회적 네트워크 형성에 대한 지원, 그리고 지역사회 지원정책의 이용을 장려하는 적극적인 홍보 노력이 병행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자살생각 영향요인 : 수면과 우울을 중심으로 (Factors Affecting the Suicidal Ideation of the Elderly Living in the Community : Focused on Sleep and Depression)

  • 원종순;이혜련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2호
    • /
    • pp.287-297
    • /
    • 2019
  •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노인의 자살생각 영향요인을 수면과 우울을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실시하였다. 수도권 도시거주 노인 210명을 대상으로 자살생각, 수면양상(수면시간, 수면의 질), 우울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자살생각을 많이 하는 노인은 14.3%, 수면시간이 5시간 이하인 노인은 23.3%, 수면의 질이 나쁜 노인은 17.6%, 우울한 노인은 33.3% 이었다.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최종적으로 자살생각 수준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우울(OR=6.889, 95%CI=2.679-17.712), 수면의 질(OR=3.770, 95%CI=1.469-9.679), 성별(OR=3.080, 95%CI=1.266-7.491)로 확인되었고, 이 세 가지가 자살생각 변인의 31.6%를 설명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자살생각 경감을 위해서는 성별을 고려한 우울 감소와 수면의 질 개선이 필수적인 전략이며 이러한 전략을 반영한 자살예방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정책 방안 마련을 제언한다.

노인자살의 이해와 일차적 예방 (Sociological Understandings of Elderly Suicide and Its Primary Prevention)

  • 김형수
    • 한국인구학
    • /
    • 제23권2호
    • /
    • pp.167-187
    • /
    • 2000
  • 우리사회에서 노인 자살자의 수와 자살율이 지난 십 년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는 한국 노인들이 당면하고 있는 문제들(경제적 불안정, 조기퇴직, 건강악화, 가족부양체계의 약화, 정서적 고립 등)의 심각성을 시사하고 있다. 하지만 노인자살에 관한 국내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노인자살현상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통하여 자살의 배후에 있는 노인문제 혹은 생활조건을 확인하여 노인복지 차원에서 일차적 예방 대책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특히, 자살위험이 높은 특정 노인인구집단을 중심으로 자살예방 대책이 조속히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우리 나라 노인문제의 구조적 상황과 노인자살과의 관련성을 사회학적 시각(교환이론과 사회통합이론)으로 조망해 본 후 이를 기초로 노인자살을 유도하는 노인생활의 조건을 개선할 수 있는 노인복지과제를 제시하여 한국노인의 자살율 증가를 예방하고자 하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

  • PDF

노인의 자살생각 예측요인 (A study on predictive factors of Elderly Suicidal Ideation)

  • 오윤정;김향동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1-9
    • /
    • 2018
  • 이 연구는 노인의 자살생각 예측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조사 연구이다. 노인대학, 노인종합복지관, 경로당을 이용하고 있는 노인 359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 사회적 지지 평균 3.35점, 자아존중감 평균 3.38점, 우울 평균 8.64점, 자살생각 평균 1.65점이며, 연령, 교육정도, 배우자유무, 동거형태, 의료보장형태, 용돈, 과거직업유무, 여가활동, 건강상태, 만성질환 수, 흡연유무에서 자살생각과 유의한 관련을 보였다.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우울이 높을수록 자살 생각이 높게 나타났다. 자살생각의 예측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 결과, 자살생각을 설명하는 주요변수는 타인지지, 자아존중감, 용돈, 학력, 연령으로 나타났고, 자살생각을 48.2% 설명하였으며 이 중에서 타인지지의 설명력이 41.8%로 가장 높았다.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을 증진하고, 우울을 감소시킬 수 있는 노인의 자살예방통합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사용될 것을 기대한다.

자살예방정책이 노인자살률 감소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 Analysis of the Impact of Suicide Prevention Policies on Elderly Suicide Rate Reduction)

  • 이태호;허순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7호
    • /
    • pp.318-331
    • /
    • 2022
  • 세계적으로 높은 우리나라 노인자살률을 해결하기 위하여 정부는 2004년 제1차 자살예방기본계획을 시점으로 하여 자살예방정책을 추진하여왔지만, 여전히 노인자살률은 개선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자살문제 해결에 있어 지방 정부의 역할에 주목하고, 지역 단위의 자살예방정책과 노인자살률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2015~2017년까지의 3개년 자료를 시군구 단위에서 분석하였다. 노인자살률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사회자 본 요인, 인구사회학적 요인, 의료이용접근성 요인 등을 통제하고자 다중회귀분석과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자살률이 높은 지역에 자살조례 제정과 기초 자살예방센터·정신건강복지센터의 설치 등이 이뤄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자살률이 높은 지역에서는 센터설립 후 경과기간이 길면 자살률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자살률은 지역의 복지정책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어 자살예방정책은 복지정책 강화와 연계하여 추진되어야 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 노인의 자살생각에 관한 융복합 예측요인 : 패널자료분석 (Conjunctive Predictors of Suicidal Ideation in Korean Elderly : Panel Data Analysis)

  • 김현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391-397
    • /
    • 2019
  • 우리나라의 인구 10만명 당 자살자 수는 24.6명으로 OECD국가 중 가장 높은 수준이다.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자살사망은 증가하고 있어 노인인구는 자살사망의 위험이 다른 인구집단에 비하여 매우 높다. 본 연구는 한국노인의 자살을 예측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자살예방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국 복지패널의 2016년도에 구축된 11차 년도 복지패널 자료 중 만 65세 이상 노인 가구원 자료를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평균연령은 75.55세(표준편차 6.34)이며, 남성은 37%, 여성은 63%였으며, 지난 일 년간 자살생각을 한 적이 있는 대상자는 165명으로 전체의 3.4%였다. 주관적 건강상태와 우울, 자아존중감, 기초생활수급, 의료급여, 노인장기요양급여 등 사회서비스 수급여부의 관련요인을 포함하여 단계적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우울(Exp(B)=1.113), 주관적 건강상태(Exp(B)=.767)가 자살생각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Nagelkerke $R^2=.248$). 따라서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자살예방프로그램의 효과적 적용을 위하여 주관적 건강상태의 사정과 우울증 선별검사를 통한 고위험군의 파악이 요구된다.

노인자살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거시적 분석 (Macro Analysis of Factors Impacting on the Elderly's Suicide Rates in the Republic of Korea)

  • 김기원;김한곤
    • 한국인구학
    • /
    • 제34권3호
    • /
    • pp.31-54
    • /
    • 2011
  • 이 연구의 목적은 노인자살률의 지역적 차이를 기술하고 지역적인 노인자살률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는데 있다. 통계분석을 위하여 2000년부터 2008년까지 16개 광역자치단체의 자살에 대한 자료가 이용되었다. 조이혼율, 1인당 지역생산액, 복지예산비율, 여가시설수, 의료 및 주거복지시설수, 체육시설수 등 여섯 개 독립변수들이 다중회귀분석에 도입되었으며 노인자살률, 여성노인자살률, 남성노인자살률 등이 종속변수로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노인자살률은 2000년 이후 지속적으로 상승하였으며 노인자살률의 지역적 차이 역시 존재하였다. 다중회귀분석결과에 따르면 체육시설(${\beta}$=-521), 복지예산비율(${\beta}$=-375) 그리고 여가시설(${\beta}$=-219) 등은 노인자살률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반면, 의료시설수(${\beta}$=0.550)와 조이혼율(${\beta}$=0336)은 노인자살률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기초로 하여 노인자살률을 완화시키기 위한 정책적 함의들이 소개되고 논의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