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노인 스트레스

검색결과 388건 처리시간 0.023초

마음챙김기반 자비명상프로그램이 배우자 상실을 경험한 여성노인의 뇌 활성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alysis on the Influence of Mindfulness Based Compassion Meditation Program for Elderly Women's Brain Activation and Stress, Who Experienced Loss of Spouse)

  • 김연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312-318
    • /
    • 2016
  • 본 연구는 마음챙김기반 자비명상프로그램이 배우자를 상실한 여성노인의 뇌 활성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2 channel EEG(Electroencephalogram)를 통해 검증하였다. 실험대상은 Y군 소재 65세~75세의 여성노인 60명으로, 30명은 실험집단으로, 30명은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연구기간은 2015년 8월에서 2015년 11월까지 매주 1회기씩, 회기 당 60분씩, 총 16회기로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은 몸과 마음을 연결해서 통합적으로 치유할 수 있도록 하는 마음챙김과 자기 자신을 향한 사랑, 연민과 자비심 계발을 위한 자비명상을 접목하여 마음챙김기반 자비명상프로그램을 개발한 것이다. 실험결과, 실험집단에서 활성지수 우뇌 사전/사후(82.51/85.83, p<.013)의 변화를 보였으며(유의수준 p=.05). 항스트레스지수는 좌뇌(74.71/71.17, p<.050)로 나타났다. 활성지수는 뇌의 정신적 활동과 행동성향을 판단할 수 있는 지표이고, 항 스트레스지수는 육체적, 정신적 스트레스를 나타내는 지수이다. 본 연구는 마음챙김기반 자비명상프로그램이 배우자 상실을 경험한 여성 노인의 뇌 활성과 스트레스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서 효용과 가치가 있다는 것을 뇌과학적으로 분석한 것에 의의가 있다.

노인 관상동맥질환자의 스트레스 측정도구 개발 (Development of a Stress Scale for Elderly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 최연옥;김정선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630-638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cale to evaluate stress in elderly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s (CAD) and to examin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cale. Methods: The development process for the preliminary scale included construction of a conceptual framework and initial items, verification of content analysis, sentence correction, and pilot study.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a questionnaire survey with one-to-one interviews during January and February, 2012. Participants were 240 elderly patients with CAD. Data were analyzed using item analysis, factor analysis, criterion related validity, and internal consistency. Results: The developed scale consisted of 32 items and 6 factors - aging and disease (7 items), family relations (5 items), anxiety and withdrawal (9 items), management of daily living (3 items), compliance of medical regimen (4 items), poverty and finance (4 items), and explained 68.5% of total variance. The scale ha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Korean Perceived Stress Scale (KPSS). Cronbach's alpha was .96, and Guttman split half coefficient was .91. Conclusion: Results indicate that the Stress Scale for Elderly Patients with CAD has validity and reliability, and is a suitable scale in health care settings to assess stress in elderly patients with CAD.

노인 당뇨병환자의 스트레스 지각, 스트레스 대처방식, 자가간호행위 및 당화혈색소와의 관계 (The Study Related to Perceived Stress, Stress Coping Method, Self-Care Behavior and Hemoglobin $A_1c$ of Elderly Diabetic Mellitus Patients)

  • 박미연;김경희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86-194
    • /
    • 200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γ is to understand relations among perceived stress, stress coping method, self-rare behavior and Hemoglobin $A_1c$ of elderly diabetic mellitus patients. Method: Participants were 128 patients who were under medical treatment in outpatient department at C university hospita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echnical statistics, frequency, percentage, T-test, ANOVA and pe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by SPSS 12.0. Resul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care behavior and coping method based on emotions under the lower category of stress coping method. Hemoglobin $A_1c$ of patients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physical exorcise of self coping method under the lower category. Perceived stress had also a negative correlation with emotions as coping method in the lower category and medication of self-care behavior. Conclusion: It was noted that elderly diabetic mellitus patients didn't much use a coping method based mainly problems and another method based emotions in case of perceived stres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be useful for developing an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focused on elderly diabetic mellitus patients.

  • PDF

우리나라 노인의 정신건강 관련 요인 분석 (Factors Affecting the Mental Health of the Aged in Korea)

  • 이현경;손민성;최만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672-682
    • /
    • 2012
  • 이 연구는 최근 노인들의 스트레스와 우울, 자살생각 등 정신건강 폐해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이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삶의 질, 건강행태, 건강수준 등과 정신건강 간의 구조적인 관계를 검증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 자료는 전 국민을 모집단으로 체계적인 표본조사를 실시한 2009년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원자료에서 65세 이상 노인들 중 연구에 적합한 1,490명을 최종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노인들의 삶의 질이 높을수록 스트레스, 우울, 그리고 자살생각 등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또한 삶의 질은 건강수준을 강화시켜 정신건강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둘째, 흡연, 문제음주, 비만, 적당한 운동과 수면 등으로 측정한 건강행태가 정신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은 없었으나, 건강수준을 매개로 한 간접효과를 확인하였다. 이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노인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해서는 삶의 질 제고를 우선적으로 고려하면서, 건강행태를 변화시키려는 체계적인 노력이 중요하다 하겠다.

한국 근력저하 여성노인의 건강 관련 삶의 질 영향 요인: 제 7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한 융복합 연구 (Factors Influencing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Older Women with Low Muscle Strength in Korea: The Convergence Study Using 7th KNHANES)

  • 이한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317-326
    • /
    • 2021
  • 본 연구는 근력저하 여성노인의 건강 관련 삶의 질의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된 융복합 연구이다. 제7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활용하여 65세 이상 근력저하 여성노인 453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자료는 가중치를 적용한 복합표본분석방법으로 SPS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근력저하 여성노인의 건강 관련 삶의 질은 0.84점이었고, 건강 관련 삶의 질은 연령, 교육수준, 주관적 건강상태, 유산소 신체활동, 스트레스 인지정도, 관절염, 골다공증, 우울증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근력저하 여성노인의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대한 영향 요인은 연령(t=-2.68, p=.008), 교육수준(t=2.85, p=.005), 주관적 건강상태(t=7.24, p<.001), 스트레스 인지정도(t=-2.73, p=.007), 유산소 신체활동(t=2.62, p=.009), 관절염(t=-3.33, p<.001)이었고, 설명력은 33.5%이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근력저하 여성노인의 건강 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근력을 증진하고 관절염을 관리할 수 있는 신체활동을 포함한 중재 전략의 개발이 필요하다.

직업활동 참여노인의 개인-환경 적합성과 업무 스트레스 및 만족도 : 자아효능감의 조절효과 (Person-Environment Fit, Work Stress and Satisfaction of Elderly People under Participation in Job Activities : Moder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 서경조;조성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248-264
    • /
    • 2013
  • 본 연구는 직업활동 참여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개인-환경 적합성, 업무 스트레스 및 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하고, 개인-환경 적합성(개인-직무, 조직, 동료 적합성)과 업무 스트레스 및 만족도의 영향관계와 자아효능감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는 서울 지역에서 택시운전기사로 직업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60세 이상의 남성을 대상으로 2013년 2월 15일에서 3월 20일까지 실시하였고, 총 358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개인-환경 적합성, 업무 스트레스 및 만족도에 부분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개인-환경 적합성은 업무 스트레스에는 부(-)적 영향을 준데 반해, 업무 만족도에는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자아효능감은 개인-조직 적합성과 업무 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지닌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국 기혼 성인자녀의 노부모 부양 스트레스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aregiving Stress on Depression among Korean Married Adult Children of Korea)

  • 김윤정;정진아;가현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0호
    • /
    • pp.563-570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노부모를 부양하는 성인자녀의 부양스트레스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14년 1월 2월 충남의 H 대학의 대학원생을 조사원으로 활용하여 노부모부양에 책임이 있는 기혼의 성인자녀를 대상으로 편의표집을 하였으며, 350부를 배포하여 최종적으로 307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성인자녀의 부양스트레스의 신뢰도는 .94, 우울감의 신뢰도는 .92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첫째, 노부모 부양 성인의 우울감은 평균 2.56점, 부양스트레스는 평균 2.53점으로 보통수준이하로 낮았다. 둘째, 기혼 성인자녀의 부양스트레스는 여성인 경우, 50대 이상, 농촌에 거주, 경제수준이 낮은 경우 더 높았다. 우울감은 배우자가 없는 경우, 경제수준이 낮은 경우 더 높았다. 셋째, 기혼 성인자녀의 경제수준이 낮을수록, 부양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우울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화 이론'에 의한 노인 문제와 죽음의 결정요인 탐구 -영화 '죽여주는 여자'를 중심으로 (Exploring the Determinants of the Elderly Problem and Death by 'modernization theory' -Focused on the movie 'The Woman Who Kills')

  • 한명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518-526
    • /
    • 2022
  • 현대화에 따른 평균수명의 연장은 노년기 돌봄과 질병에 있어 수혜 시간의 연장을 의미한다. 그러나 노인 증가에 비해 자녀들의 부모부양책임에 대한 태도는 점점 약화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사회현상은 노년기 삶에 소외, 절망감, 스트레스를 가져다주고 이로 인한 무망감으로 자살 생각이나 의도적인 죽음(자살)을 불러오는 요인이 되어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노인의 의도적인 죽음(자살)은 주변에서 흔히 일어나는 사회현상으로 영화를 통해서도 그 실상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영화 '죽여주는 여자'에 등장하는 주인공 '소영'과 주변 인물인 '송 노인', '종수', '재우' 등의 대화 속에서 노인 문제와 죽음 요인에 해당되는 내용을 매트릭스(Matrix) 분류체계 방법으로 정리한 후, 임병우(2019)가 정리한 '현대화에 따른 노인 문제 발생 흐름도'에 적용하여 의도적 죽음(자살) 요인을 탐구하였다. 분석 결과 4명의 노인들은 질병, 소외와 고독, 빈곤, 상실 등 노인 문제에 노출되었으나, 현대화로 인한 지위 하락과 부양의식 태도 변화로 인한 돌봄 부족의 스트레스가 지속되자, 삶에 대한 절망감에 빠져 의도적 죽음(자살)을 선택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독거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융복합적 요인 (Convergence Factors Influencing the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People Living Alone)

  • 박지선;유영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1호
    • /
    • pp.63-70
    • /
    • 2016
  • 본 연구는 독거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실천대안을 모색하고자 사회환경적, 심리적, 신체적 요인 등 융복합적 요인들과 건강관련 삶의 질 간의 관련성을 구조방정식모형으로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2014년 지역사회건강 조사 대상자 중 65세 이상 1인 가구의 13,771명이다. 분석자료는 사회자본, 스트레스, 주관적 건강상태, EQ-5D이고, SPSS 23.0과 AMOS 23.0으로 분석했다. 분석결과 모형의 적합도는 CFI=.906, GFI=.955, RMSEA=.074로 양호한 수치였다. 변수 간 관련성은 독거노인의 사회자본은 스트레스 감소 및 주관적 건강상태를 높이고, 삶의 질 향상으로 이어졌다. 따라서 독거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독거노인 돌봄서비스 확대 및 이들이 참여할 수 있는 공간 마련 등 사회자본 증대를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4대 중증질환자의 정서적 스트레스와 명리학적 선천성 질환에 관한 연구 -서울시 요양원 입소노인을 중심으로- (Study on the mental stress of the invalids with the four most common chronic illnesses and their congenital diseases in light of the four pillars of destiny -centering on the elderly in Seoul nursing homes)

  • 김일신;조성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3715-3723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요양시설 입소노인의 중증질환자와 명리학적 선천성질환의 상관관계, 스트레스 충격척도, 정서적 탈진척도 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하는 요양시설에 입소한 노인들 중에서 4대 중증질환자의 147명을 대상으로 2013년 3월 15일부터 5월 31일까지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은 빈도분석, 상관분석, 단순회귀분석, t-test, 일원변량분석 등을 실시하였고, 실증분석은 모두 유의수준 5%에서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및 결론은 중증질환 자와 명리학적 선천성질환의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으며, 중증질환 판정시 스트레스척도가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스트레스 척도가 높을수록 정서적 탈진척도도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