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노인주거

Search Result 510,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 Review of Research Trends on the Elderly Housing in Korea : In Reference to the Comparison of Research Trends Among Korea , Japan and the U.S.A. (한국의 노인주거연구의 경향 - 한국과 일본, 미국의 연구 경향 비교를 중심으로 -)

  • 최정신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 /
    • v.7 no.2
    • /
    • pp.45-56
    • /
    • 1996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서 장래에 이루어질 노인주거연구의 주제를 예측할 수 있도록 일본, 미국, 한국의 노인주거연구의 경향의 차이를 파악하고 비교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는 세나라에서 1940년대부터 1990년대 현대까지 발표된 노인주거연구에 대한 학술지와 논문을 분석함으로써 이루어졌다. 세 나라에서 전체 772편의 논문을 수집하여 이를 발표된 연도와 주제에 따라 분류하였다. 본 연구는 일본과 미국의 연구 경향의 특징을 별도로 발표한 후속 연구이다. 일본에서는 1950년대에 노인주거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어 80년대 후반에 절정을 이루었으며, 그 이후로 서서히 관심이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다. 일본에서의 주요 주제는 노인홈과 노인시설내의 주 생활조사, 3대 동거 주택, 유료노인홈과 노인시설의 소비자 문제등이다. 미국의 경우, 노인주거의 연구는 일본보다 빠른 1940년대에 시작되어 70년대와 80년대에 걸쳐서 다른 때보다 더 많은 연구가 발표되었다. 주요주제는 1970년대부터 80년대에는 노인주거와 노인시설에 집중되어 있었으나 80년대 이후에 노인주거의 연구방법과 노인주택정책방향으로 관심이 바뀌고 있다. 한국에서의 노인주거에 대한 연구는 세나라 중에서 가장 늦은, 1970년대 후반부터 시작되어 80년대 후반 이래로 그 관심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한국에서 가장 관심이 있는 연구대상의 하나는 일본과 마찬가지로 기혼자녀와 노부모와의 동거주택에 대한 주제이다. 이상 세나라의 연구주제에서의 차이점은, 한국과 일본에서는 모두 노인주거와 연구방법 분야에는 비교적 관심이 적은 반면, 미국에서는 3대동거주택에 대한 관심이 적은 것이다. 일본과 미국 두나라에 비하여 한국에서는 노인주거 연구에 있어서 아직까지 다양한 주제를 발견하기 어려운데 그 이유는 한국에서는 노인주거에 대한 구체적인 개발이 아직까지 이루어지지 않아서 노인주거에 대한 경험도 많지 않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앞으로 한국에서도 노인주거가 개발된다면 그 후에는 보다 다양한 연구주제가 나타날 것이라고 기대된다. 예를 들면 노인거주시설의 질적인 비교, 특수한 형태의 노인주거에 대한 요구, 노인주거내의 주생활조사나 평가, 노인을 위한 설비의 디자인 등에 관한 연구들을 생각해 볼 수 있다.

  • PDF

Research on Basic Framework of Elderly Medical Residential Area for New Silver Age Group (뉴 실버세대를 위한 노인의료주거단지계획의 기본프레임워크 연구)

  • Kang, Jeong-Ran;Kim, Gyeong-Bae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4.11a
    • /
    • pp.137-138
    • /
    • 2014
  • 노인은 대부분의 활동을 주거 공간 중심으로 보내게 되므로, 노화에 따른 만성적 지병과 신체활동의 기능저하로 말미암아 주거와 의료 서비스의 결합은 노인의 생활에 있어서 핵심적인 요소가 아닐 수 없다. 따라서 주거와 의료서비스를 결합한 노인의료주거단지에 있어 노인의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한 다양한 형태의 주거생활공간에 대한 연구와 대안모색이 필요하다. 참여와 공동창작으로 이루어지는 유니버설서비스디자인의 프로세스를 본 연구에 도입함으로써 주체적이고 활동적인 서비스의 소비자로서의 노인에 대한 적극적인 대안이 될 것이다.

  • PDF

A Theoretical Study on Relocation of the Aged (노인의 주거이동에 관한 이론적 연구)

  • 이경희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12 no.2
    • /
    • pp.41-49
    • /
    • 1994
  • 본 연구의 노인의 주거이동행동이 가족생활 주기의 다른 단계의 가구들과는 다른 행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는 노인들의 생활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연구주제가 될 수 있음을 소개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하여 노인들의 주거이동 유형과 주거이동을 결 정하고 목적지를 선택하는 의사결정의 과정에 관하여 살펴보고 노인이 이동후 받게 되는 부정적인 영향들과 이러한 부정적인 결과들을 최소화 시킬수 있는 중재변인들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관점들을 토대로 하여 앞으로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져야 할 노인의 주거이동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Environmental Support of Independent Elderly Households in Senior Housing Cooperatives (미국 노인전용 조합주택의 거주환경 평가)

  • Lee, Hyunjeong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 /
    • v.14 no.5
    • /
    • pp.57-64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건설된 노인전용 조합주택으로 입주한 노인가구를 대상으로 거주자 측면에서의 주거환경 평가이며, 아울러 미국 조합주택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설문지를 통해 수집한 자료는 빈도와 백분율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총 171가구가 본 조사에 참여하였다. 조사대상 가구주의 평균 연령은 76세였으며 교육 수준은 높았고, 가족형태는 부부나 독남가구가 대다수였다. 조사에 참여한 가구들은 저렴한 주택비용, 안전성, 주택유지 및 관리의 용이성, 주거 내의 접근용이성을 현 주거환경의 선택 동기로 손꼽았다. 현 주거환경의 평가를 물리적 환경, 사회적 환경, 그리고 거주자 참여방식의 관리에 대한 만족도로 크게 3가지로 나뒀으며, 물리적 환경 관련 요소가 주거환경 평가와 관련한 만족도에 가장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장기적인 주택관련 비용의 저렴화와 노인의 독립성을 위한 지원성이 강화된 물리적인 환경의 구축이 무엇보다 주거환경 평가시 중요하므로, 향후 노인전용 대안주택 계획시 이점에 대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The Effect of Old Korean's Interactions with their Children on Residential Mobility (자녀와의 교류가 노인 주거이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 Jinyhup Kim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14 no.2
    • /
    • pp.1-17
    • /
    • 2023
  • In Korea, the population size of the elderly is rapidly increasing, and housing for them is emerging as an important issue. In particular, Aging in Place (AIP) has steadily been presented as a direction of welfare for the elderly.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the effect of the interactions of the elderly with their children on residential mobility for older Koreans. To do so, this study employed random effect logistic regression models with the dataset of the 2008-2020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interaction with their children increased the probability of residential mobility for older Koreans in both metropolitan areas and non-metropolitan areas. Second, as age increased, the interaction with their children tended to further promote residential mobility for older Koreans, but such effects varied depending on related variables.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possibility of further promoting residential mobility for older Koreans increased through the interaction effects of the variables associated with the interaction with their children. This study suggests policy implications for the residential mobility of older Koreans, i.e., whether the interactions with their children improve independent residential environments by enhancing housing stability, in terms of AIP.

A Study on the Spac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Residential Welfare Facilities for the Aged (노인주거복지시설의 운영에 따른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 Choi, Yun-Jin
    •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 /
    • v.17 no.1
    • /
    • pp.7-16
    • /
    • 2019
  • Korea, which became an aging society in 2000, has made transition to an aged society more quickly than expected since late 2017 after 17 years. Despite this trend, the awareness towards elderly housing facilities has not yet been raised across in society. The primary reason is that use of elderly housing facilities has not been promoted due to lack of understanding about th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of the facilities. The housing of the elderly should be considered in terms of not only residential space but also the issues of medical care and continuous care. Therefore, the trend of elderly housing is pursuing the Continuing Care Retirement Community. Thus, this study analyzed the policies of existing elderly housing facilities and existing elderly housing through comparison with policies and housing of foreign countries. Based on the results, the the government intends to present characteristics and direction of suitable housing design of senior citizens' housing facilities through maintenance of UNIT, securing convergence through changes in the use of facilities, and realising the cost of operation, and studying social welfare measures to cope with the increasing number of elderly residents.

The effect of Housing related characteristics on Aging in place among Older adults (주거 특성이 지역사회 지속거주 의사에 미치는 영향)

  • Jung, Chanwoo;Han, Changkeun
    • 한국노년학
    • /
    • v.41 no.3
    • /
    • pp.373-396
    • /
    • 2021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housing characteristics of older adults on the willingness to continue living in local communities in order to realize the Aging in place of the elderly in Korea. Considering that the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is important for aging in place, both healthy and unhealthy cases were analyzed in the analyses. Housing characteristics include home ownership, housing cost burden, housing convenience, housing satisfaction, and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ction. The study sample is 9,798 elderly people from the 2017 survey on the elderly.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hile 6,704 older adults (68.4%) chose to continue living in the community, 3,094 (31.6%) of the elderly did not choose to live in the local community. Second, the elderly who chose to stay in the local community are likely to have more real estate assets and less burden of housing expenses than the elderly group who did not. Third, the results report that older adults with more real estate assets and lower the housing cost burden are likely to choose sustainable living in the local community.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majority of the elderly actually preferred Aging in place. This study concludes with practice and policy implications for realizing aging in place considering the elderly's needs.

Contents Analysis of the Elderly Housing in the Unit "Family Life & Housing" - Focused on the 9th Grade Textbooks of Technology & Home Economics - (주생활 단원에서의 노인주거 관련 교과내용 분석 - 중학교 3학년 기술.가정 교과서를 중심으로 -)

  • Jang, Sang-Ock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v.20 no.2
    • /
    • pp.31-46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of elderly housing in the unit "Family Life & Housing" in Technology & Home Economics 9th grade textbook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ntents, illustrations, pictures, floor-plans, graphs and tables in current unit "Family Life & Housing" varied widely among textbooks and some didn't even contain these informations. Illustrations and pictures which are suit to the content and which contain positive image of space and living should be chosen. Second, most of the contents about elderly housing were concentrated on the life cycle, three-generation housing and universal design, discussed in chapter 'utility of living space.' The unification of overlapped contents and description which don't have stereotype about elderly housing are needed. Not only the interior environment but also the exterior environment of the elders and life-support service for them should be included in the contents. Contents that reflect the change of future population composition and the ratio of three-generation household are required. The elderly housing floor plan needs to be diversified in quantity such as ones which reflect the Korean characteristics or ones which enable person an independent lif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