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노인자살

검색결과 201건 처리시간 0.021초

노인 자살관련 요인: 무망감과 우울증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회적 지지와 자아통제감의 효과를 중심으로 (Elderly Suicide and It's Related Factors : Focused on the Role of Social Support and Mastery in the Effects of Hopelessness and Depression on Suicidal Ideation)

  • 엄태완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9권2호
    • /
    • pp.355-379
    • /
    • 2007
  • 본 연구는 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무망감과 우울증에 대한 사회적 지지와 자아통제감의 효과에 관심을 가지고 접근하였다. 또한 노인자살의 변경 가능한 요인인 자살생각과 무망감 및 우울 변인의 관련성과 사회적 지지와 자아통제감 변인의 독립적 영향력을 분석의 초점에 두었다. 자료는 K도 3곳의 노인복지관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65세 이상 320명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최종적으로 297부를 통계분석 하였다. 자료 분석결과, 노인의 자살관련 요인으로 가정된 자살생각과 무망감 및 우울은 공통적으로 학력, 결혼상태, 소득, 만성질환 수에 따른 차이를 나타내었다. 사회적 지지는 우울과 상호작용하여 자살생각을 조절할 수 있었지만, 사회적 지지와 무망감, 자아통제감과 무망감 및 우울은 자살생각에 대한 상호작용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인구사회학적 변수를 통제한 상황에서도 사회적 지지와 자아통제감은 자살생각에 독립적인 영향력을 나타내었으며, 무망감과 우울도 자살생각과 정적 관련성을 가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노인자살을 예방할 수 있는 실천 방안들이 논의되었다.

  • PDF

노인의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족연대감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s of Family Solidarity o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of Older Adults in Korea)

  • 윤현숙;염소림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8권1호
    • /
    • pp.53-71
    • /
    • 2016
  • 본 연구는 노인의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러한 영향관계에 가족연대감이 지니는 매개효과를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2014년 춘천시 노인생활 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65세 이상 2,034명의 노인을 대상으로 변수의 수준,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Sobel-test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우울이 높을수록 가족연대감은 낮아졌고, 자살생각은 높아졌다. 또한 가족연대감이 높을수록 자살생각이 낮아졌다. 우울과 가족연대감을 동시에 투입하여 분석한 결과, 우울수준이 높을수록 자살생각이 높아졌고, 가족연대감이 높을수록 자살생각이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노인의 자살생각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우울을 감소시키고, 가족 연대감을 향상시켜야 한다는 것을 알려주었다. 특히, 노인복지 실천현장에서 가족 연대감의 향상을 통해 노인의 우울을 감소시키고 자살을 예방하는 노력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 PDF

한국 노인의 자살생각에 관한 융복합 예측요인 : 패널자료분석 (Conjunctive Predictors of Suicidal Ideation in Korean Elderly : Panel Data Analysis)

  • 김현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391-397
    • /
    • 2019
  • 우리나라의 인구 10만명 당 자살자 수는 24.6명으로 OECD국가 중 가장 높은 수준이다.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자살사망은 증가하고 있어 노인인구는 자살사망의 위험이 다른 인구집단에 비하여 매우 높다. 본 연구는 한국노인의 자살을 예측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자살예방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국 복지패널의 2016년도에 구축된 11차 년도 복지패널 자료 중 만 65세 이상 노인 가구원 자료를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평균연령은 75.55세(표준편차 6.34)이며, 남성은 37%, 여성은 63%였으며, 지난 일 년간 자살생각을 한 적이 있는 대상자는 165명으로 전체의 3.4%였다. 주관적 건강상태와 우울, 자아존중감, 기초생활수급, 의료급여, 노인장기요양급여 등 사회서비스 수급여부의 관련요인을 포함하여 단계적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우울(Exp(B)=1.113), 주관적 건강상태(Exp(B)=.767)가 자살생각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Nagelkerke $R^2=.248$). 따라서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자살예방프로그램의 효과적 적용을 위하여 주관적 건강상태의 사정과 우울증 선별검사를 통한 고위험군의 파악이 요구된다.

노인의 자살생각 예측요인 (A study on predictive factors of Elderly Suicidal Ideation)

  • 오윤정;김향동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1-9
    • /
    • 2018
  • 이 연구는 노인의 자살생각 예측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조사 연구이다. 노인대학, 노인종합복지관, 경로당을 이용하고 있는 노인 359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 사회적 지지 평균 3.35점, 자아존중감 평균 3.38점, 우울 평균 8.64점, 자살생각 평균 1.65점이며, 연령, 교육정도, 배우자유무, 동거형태, 의료보장형태, 용돈, 과거직업유무, 여가활동, 건강상태, 만성질환 수, 흡연유무에서 자살생각과 유의한 관련을 보였다.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우울이 높을수록 자살 생각이 높게 나타났다. 자살생각의 예측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 결과, 자살생각을 설명하는 주요변수는 타인지지, 자아존중감, 용돈, 학력, 연령으로 나타났고, 자살생각을 48.2% 설명하였으며 이 중에서 타인지지의 설명력이 41.8%로 가장 높았다.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을 증진하고, 우울을 감소시킬 수 있는 노인의 자살예방통합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사용될 것을 기대한다.

후기고령노인의 자살시도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Experience Suicide Attempt of the older Seneior citizen)

  • 이광숙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4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15-216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후기 고령노인의 자살시도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탐구하여 이들의 경험에 대해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 ${\bigcirc}{\bigcirc}$구에 거주하는 자살시도를 경험한 75세 이상 노인 6명을 연구참여자로 의도표집하여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Giorgi가 제시한 4단계 분석 절차에 따라 자료를 분석한 결과 6개의 구성요소와 20개의 하위 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연구를 통해 후기 고령노인의 자살시도 경험의 4가지 구성요소는 <모진 세월의 회한; 죽도록 고생한 모진 인생, 조실부모와 가난의 대물림, 도무지 잊을 수 없는 자식들의 외면, 가족갈등에서 온 깊은 원망>, <절망적이며 처량한 신세; 경제력을 상실과 절망, 마음대로 죽을 수 없는 처절함, 차라리 죽고 싶은 죄책감>, <쓸모없는 무가치한 삶; 아무 쓸모없는 사람, 자녀들 및 신세지기 싫은 강박관념에 괴로움, 자살충동이 일어남>, <참을 수 없는 신체의 고통과 무기력: 죽음과 삶의 두려움, 우울증, 정신병, 치매, 무기력>, <의지할 곳 없는 외로움; 하루 종일 고립됨, 숨쉬고 있지만 마지 못해 살아감, 죽은 것처럼 살고 있는 나, 하루가 지루함>,<마지막 선택; 세상이 싫어 떠날 것임, 먼저 간 배우자 따라.., 아무것도 바라지 않음>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후기 고령노인의 자살시도 경험에 대한 의미와 본질을 논의하고 노인자살예방을 위한 실천 현장의 구체적 개입전략, 생명존중문화의 실질적인 대처 방안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PDF

한·미 노인자살률의 비교 연구와 정책적 시사점 (A Comparative Study on Elderly Suicide Rates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nd Its Implications)

  • 김형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2호
    • /
    • pp.427-435
    • /
    • 2016
  • 노인자살률의 사회경제적인 요인에 대하여 다수 국가 간 비교분석은 있어도 우리나라와 특정 국가와의 집중적인 비교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OECD 국가의 일원으로서 노인자살률의 큰 격차를 보일뿐만 아니라 노인자살률 증감률의 정반대 양상을 보이고 있는 한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거시 사회 경제적 요인과 노인자살률과 어떠한 관련성을 지니는 지를 일차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한국과 미국의 지난 20년간(1990-2009)의 노인자살률과 사회구조적 요인간의 경향분석과 동시에 상관관계 분석을 활용하였다. 아울러 분석결과를 기초로 우리사회의 노인자살 예방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언하고자 한다.

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군에 대한 메타분석 (Suicide among the Elderly in Korea: A Meta-Analysis)

  • 이정은;유지영
    • 한국노년학
    • /
    • 제37권3호
    • /
    • pp.601-616
    • /
    • 2017
  • 본 연구는 노인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대한 선행연구들의 결과를 메타분석을 통하여 종합하여 제시하며, 이를 바탕으로 자살생각 단계에서부터 자살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기 위한 자살예방프로그램 개발과 상담적 접근 방법을 모색하는데 실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분석대상 자료는 2001년부터 2016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선행연구들 중 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독립변인으로 하고 노인의 자살생각을 종속변인으로 하는 연구물 총 97편으로 하였다. 노인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개인변인군, 가족변인군, 사회변인군으로 나누고 각각의 체계 안에서 자살생각의 유발요인과 억제요인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총 30개의 변인중 개인변인군에서 19개의 하위변인이 추출되었고 유발요인에서는 우울, 짐스러움, 스트레스가, 억제요인에서는 정신건강이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변인군에서는 5개의 하위변인이 추출되었고, 유발요인 중 동거인 없음이 중간 효과크기를, 억제변인 중 가족결속은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 사회변인군에서는 6개의 하위변인이 추출되었으며, 유발변인은 노인차별, 사회고립, 부정적 사회관계 순으로 효과크기가 나타났고, 억제변인은 사회관계, 사회지지, 사회환경, 사회활동 순으로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제6기 1차년도 (2013) 국민건강영양조사로 추정한 노인의 자살생각 관련 요인에 관한 융합연구 (Convergence Study on the Related Risk Factors of Elderly's Suicidal Ideation Based on the 6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김복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1호
    • /
    • pp.27-35
    • /
    • 2016
  • 본 연구는 노인의 자살생각 관련 위험요인을 파악할 목적으로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 1차년도(2013) 자료를 이용하여 2차 자료 분석을 하였다. 65세 이상 노인 1,201명의 자료를 SPSS 22.0 버전으로 카이제곱검정, t-검정,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상자의 7.7%가 자살생각을 한 적이 있었으며, 노인의 자살생각과 관련된 위험요인으로 우울과 스트레스 및 활동 제한이 확인되었다. 즉 우울감을 느끼는 경우 4.44배(CI=2.66~7.40), 스트레스를 많이 느끼는 경우 9.24배 (CI=3.48~24.45), 활동제한이 있을 때 2.31 배(CI=1.40~3.82) 자살생각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노인의 교육수준, 독거, 배우자 유무, 경제활동 여부, 만성질환 수, 건강관련 삶의 질에 따라 자살생각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노인의 자살생각을 낮추고 자살을 예방하기 위해 위험요인의 완화를 중재할 수 있는 융복합적인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연구를 제언한다.

노인의 알코올 사용, 우울 및 자존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lcohol Use, Depression, and Self-esteem on Suicidal Ideation of the Aged)

  • 곽윤복;고성희;김현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9호
    • /
    • pp.221-228
    • /
    • 2013
  • 본 연구는 노인의 알코올 사용, 우울과 자존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전라북도 지역 3개 복지관을 이용하는 65세 이상의 재가노인 245명이었다. 연구도구는 한국판 알코올 사용 장애 선별검사(AUDIT-K), 한국판 노인우울척도 단축형(GDSSF-K), 자존감척도(Self-esteem Scale) 및 자살생각척도(Scale for Suicidal Ideation)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Pearson's correlation,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와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우울은 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자존감이 낮을수록, 종교가 없는 경우, 주관적 건강상태가 나쁜 경우 자살생각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지역사회 노인의 우울을 감소시키고 자존감을 향상시키며, 종교적 활동을 돕고 건강상태를 증진함으로써 노인의 자살생각을 낮추고 더 나아가 자살예방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노인의 과거수용과 자살생각의 관계: 노화태도와 우울의 이중매개효과 (The Effect of Past Acceptance on Suicidal Ideation in Old Age: Verification of Double Mediation of Attitude to aging and Depression)

  • 이은진;김성희;남석인
    • 한국노년학
    • /
    • 제41권4호
    • /
    • pp.527-546
    • /
    • 2021
  • 본 연구는 노인의 과거수용이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노화태도와 우울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서울 및 경기도 지역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2017년 2월부터 8월까지 대면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최종적으로 329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SPSS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매개변수가 2개인 직렬다 중매개모형 검증을 통해 이중매개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부트스트랩을 활용하여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과거수용은 노화태도에, 노화태도는 우울에, 우울은 자살생각에 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노인의 과거수용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직접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노인의 과거수용과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노화태도와 우울을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자살생각에 이르는 경로만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이중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 우울 감소와 자살 예방을 위한 긍정적인 과거수용과 노화태도 증진 방안을 정책적·실천적 측면에서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