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노인의 건강상태

검색결과 969건 처리시간 0.036초

안동주변 농촌지역 50세 이상 주민의 신체계측치 및 생화학적 영양상태에 관한 연구 (2) (Anthropometric Measurements and Biochemical Nutritional Status of the Older Residents (50 years and over) in Andong Area (2))

  • 이혜상;권인숙;권정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12호
    • /
    • pp.1599-1608
    • /
    • 2008
  • 본 연구는 농촌지역 노인들의 만성질환 예방을 위한 건강증진사업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안동시 읍면지역 농촌의 50세 이상 주민 1,384명을 대상으로 신체계측과 생화학적 영양상태를 측정하고 평가하였으며, 이들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평균 연령은 62.7세(남자 63.8세, 여자 62.0세)였고, 연령별 분포는 $50{\sim}59$세가 33.0%, $60{\sim}69$세가 50.0%, 70세 이상이 17.0%이었다. 평균 신장은 남녀 각각 163.7과 151.5 cm, 평균 체중은 각각 63.3과 57.3 kg, 허리둘레 평균은 각각 82.5와 86.8 cm로 신장과 체중은 국민건강영양조사보다 작았지만 여자의 허리둘레는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체질량지수는 남녀 각각 23.6과 $24.9kg/m^2$로 국민건강영양조사보다 높았으며, 체지방율은 각각 21.8%와 31.8%였다. 비만 유병율이 체질량지수로는 남자 28.7%, 여자 47.3%였고, 50대 여자의 비만 유병율이 전국 평균(39.8%)보다 매우 높았다. 체지방율에 의한 비만 유병율은 남녀 각각 25.8%, 50.8%였으며, 남녀 모두 70세 이상에서 가장 높아 각각 37.5%와 58.5% 를 나타내었다. 허리둘레에 의한 복부비만은 남녀 각각 15.6%, 80.0%였으며, 50대 여자의 복부비만이 84.7%로서 전국 평균($50{\sim}54$세 60.7%, $55{\sim}59$세 69.6%)보다 매우 높았다. 수축기 혈압은 남녀 각각 136.9와 133.6 mmHg, 이완기 혈압은 각각 83.8과 82.5 mmHg로, 국민건강영양조사보다 수축기 혈압은 남자는 다소 높고 여자는 비슷하였으며, 이완기 혈압은 남녀 모두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혈색소치는 남자 14.3 g/dL, 여자 13.0 g/dL로 국민건강영양조사와 비슷하였으나, 헤마토크리트치는 남자 44.7%, 여자 39.8%로 전국 평균보다 높았다. 혈액의 지질 양상을 보면, 중성지방은 남녀 각각 98.5와 101.7 mg/dL로서 남녀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총 콜레스테롤치는 각각 170.0과 183.1 mg/dL, LDL-콜레스테롤치는 각각 106.8과 119.9 mg/dL로서 여자가 남자보다 더 높았으며, HDL-콜레스테롤은 각각 43.3과 42.7 mg/dL로서 성별 차이가 없었다. 국민건강영양조사보 다 중성지방, 총 콜레스테롤 및 HDL-콜레스테롤이 모두 낮았으며 낮은 총 콜레스테롤치는 낮은 HDL-콜레스테롤치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공복 혈당은 남녀 각각 96.7과 93.0 mg/dL로 여자의 공복 혈당이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비해 매우 낮았다. 혈액의 과산화지질 농도는 남녀 각각 4.50과 4.32 nmole/mL였으며, 정상범위에 속하기는 하지만 정상범 위에서 다소 높은 수치인 것으로 나타났다. 고혈압 유병율은 남녀 각각 58.0%와 47.2%였고, 남자는 60대(61.9%), 여자는 70세 이상 (60.2%)에서 가장 높았다. 철결핍성 빈혈은 혈색소치에 따라 남녀 각각 19.3%와 20.6%, 헤마토크리트치에 따라 각각 7.2%와 11.9%였으며, 70세 이상의 빈혈 유병율 매우 높아(혈색소 기준 남녀 각각 27.4%와 33.3%) 이들에 대한 특별한 관심이 요구된다. 저알부민혈증이 남녀 각각 9.8%와 11.7%로 단백질-열량 섭취 불량이 반영된 것으로 나타났다. 당뇨 유병율이 남자 12.0%, 여자 10.2%였으며, 70세 이상 남자의 당뇨병 유병율이 17.9%로 매우 높았다. 중성지방 이상자 비율은 남녀 각각 7.3%와 6.2%로 전국 평균보다 낮았으며, 고콜레스테롤혈증(남자 19.5%, 여자 30.5%)과 HDL-콜레스테롤 이상자 비율(남자 39.5%, 여자 42.7%)은 전국 평균보다 높았다. 이상 안동시 읍면 지역 농촌의 50세 이상 주민을 대상으로 신체계측과 생화학적 영양상태를 측정하여 분석한 결과, 고혈압 및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병율이 높았으며, 단백질-열량 불량 상태를 말해 주는 저알부민혈증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70세 이상 노인들에서 철 결핍성 빈혈이 많았고, 50대 여자에서는 비만, 특히 복부 비만이 매우 심각하였으며, 70세 이상 남자에서는 당뇨병 유병율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 지역 50세 이상 주민을 대상으로 혈압과 혈당을 규칙적으로 측정하도록 유도하며, 소금섭취 저감화와 균형 있는 영양섭취 및 다양한 운동프로그램을 통해 체중을 줄이고 혈압을 낮출 수있는 영양중재프로그램의 운영 필요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신체적 기능장애를 가진 국가유공자의 삶의 질 수준 및 관련 요인 연구 (Study of Quality of Life and Related Factors in Veterans with Physical Dysfunction)

  • 권춘숙;김선엽;장현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490-497
    • /
    • 2015
  • 본 연구는 신체적 기능장애를 지닌 국가유공자의 삶의 질 수준을 확인하고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들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서울, 부산, 대구, 광주와 대전에 위치한 보훈병원에서 신체적 기능장애로 치료를 받고 있는 국가유공자 41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의 삶의 질은 SF-36을 이용하여 평가하였고, 일상생활동작은 수정된 바델지수로, 통증수준은 4항목 시각적 상사척도로, 우울증 척도는 노인우울척도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삶의 질은 연령이 높을수록, 주관적 건강상태가 나쁠수록, 경제수준이 낮을수록, 와병기간이 길수록, 통증수준, 우울증 점수가 높을수록 유의하게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 결과 삶의 질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우울증(B=-.969)이었으며, 주관적 건강상태(B=-5.098), 일상생활동작 수행(B=.140), 통증수준(B=-.163)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신체적 기능장애를 지닌 국가유공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심리적 접근 뿐 아니라 일상생활동작 수행정도 등 신체적 증상의 완화, 통증감소를 개선시킬 수 있는 의학적 중재 및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애완견 매개활동이 노인의 자기존중감, 우울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Pet Dog-Assisted Activities on Self-Esteem, Depression and Cognitive Function among Elderly People)

  • 신에스더;이성국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5권3호
    • /
    • pp.314-325
    • /
    • 2010
  • 본 연구는 애완견매개활동이 양로원 노인들의 자기존중감, 우울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대구광역시 소재의 1개 양로원의 90여명의 노인들 중 65세 이상의 노인들 22명을 선정하여 실험군으로 하고 대구광역시 소재의 또 다른 곳에 위치하고 있는 1개 양로원의 90여명의 노인 중 65세 이상의 노인들 22명의 노인들을 선정하여 대조군으로 하였다. 일반적 특성과 건강상태 및 행위에 관한 특성, 자기존중감, 우울 및 인지기능에 관한 특성이 동일한 자들로 실험군과 대조군을 선정하여 실험군에게는 주 1회 3 실험군간 12회기의 애완견매개활동에 참여하게 한 후 실험 전과 실험 후의 자기존중감, 우울 및 인지기능, 우울 및애완견매개활동을 하지 않고 정기적인 방문만을 한 대조군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실험군 중 애완견매개활동 12회 중 10회 이상 참여한 19명과 대조군 중 실험 종료 1주 후 그리고 실험 종료 4주 후의 척도검사에 모두 응답한 20명을 최종분석 대상자로 하여 자기존중감, 우울 및 인지기능의 변화를 비교하였더니 실험군에서 자기존중감, 우울 및 인지기능의 점수가 긍정적으로 변화하였으며 이들의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애완견매개활동은 노인층인구의 증가, 이혼율의 증가, 출생율의 저하, 핵가족화, 개인화 및 디지털 문화의 확산 등으로 인해 소외감과 외로움을 느끼는 사람들이 늘고 있는 이러한 사회적 여건 속에서 애완견매개활동은 이들에게 정신적, 사회적으로 유용한 치료 및 긍정적 향상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특히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능력의 퇴보로 심리 정서적인 문제들을 가지고 있는 노인들에게는 매우 효과적인 중재방안이 될 수 있으며 여러 종류의 의료 시설, Care시설 및 교화목적을 위한 시설 등에도 활발하게 적용 가능한 방안으로서의 관련프로그램 개발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여성노인의 건강상태와 신체적.심리적.사회적 요소들과의 관계연구 (A study on the Physical, Mental and Social Factors Influencing the Health Status of Aged Women in Korea)

  • 노승옥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53-67
    • /
    • 1996
  • A total health state evaluation of Korean female elderlies was made by using the questionary scheme measuring the physical, mental and social functions of the elderlie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ritical factors for the health maintenance of female elderlies and to develop their preventive nursing program. A total of 280 subjects over 65 years old living in Seoul and the suburban area were selected and interviewed during the period of September and October in 1995. The materials collected were analyzed statistically by using SAS data processing program, and the results and recommendation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physical health state of Korean elderly women was evaluated to be satisfactory by showing an average score of 3.722 in 5.0 full-score scale. But this score was lower than those evaluated for the elderlies combined both sexes(4.054). The mental health state of the subjects was also evaluated as high scoring 3.484, possibly due to the fact that 78% of the subjects lived together with their children's family. On the other hand, the social health state of the subjects was relatively low scoring 2.585, mainly due to that 80% of them was widows which was resulted by the 6-7 years longer life-expectancy of Korean women. 2. A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hysical health state scores between different age groups was observed, indicating the rapid ageing process occurring in this age group. The family structure was appeared to be an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the physical health state of the female elderlies ; the physical health score of the women with her husband only was higher than that of those living with children's families, and the lowest score was obtained from those living alone. 3. The age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determining the mental health state of the subjects, while the religion, educational status, marriage state and family structure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mental health state of the aged women. 4. The social health state of the subject was deeply influenced by the marriage state and family structure, showing significantly lower scores with widowers compared to the married couples. Those living with their married spouse only obtained the highest social health score, while those living along showed the lowest score. The parent and grandparentship of those living with their children and the religion, especially Catholic and Protestant, had positive influence on the social health state of the aged women. 5. The mental health state of aged women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factors determining the physical health, except for digestive system related ability and sexual ability and the highest extra home ability. 6. The mental health state of aged women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factors determining social health, especially with the parent and grandparentship and the family relative's role. From these results,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are made. 1. Since the physical, mental and social health states of aged people are deeply influenced by the sex and the average values of the both sex can create misleading figures, the health evaluation of the elderlies should be made separately by sex. 2. Since the health state of aged women is highly influenced by their family structure, the spouse's role and living with married couple only should be emphasized in respect of preventive health care. 3. The social activity programs and grandparentship teaching programs should be prepared in the nursing care program for aged people.

  • PDF

구강기능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시행 전·후 구강기능의 변화 (The Change of Oral Function Before and After Practicing Program for Oral Function Improving)

  • 이선미;조은별;황윤숙;강부월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497-503
    • /
    • 2011
  • 본 연구는 노인을 대상으로 구강기능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을 3개월간 실시하고, 프로그램 전 후의 변화를 확인하고자 구강기능향상의 주관적 지표와 측정평가를 통한 객관적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SPSSWIN 18.0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주관적 전신건강인지에 있어서 좋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시행전에 19.1%였으나 시행후에는 21.4%로 높아졌고, 구강건강인지에 있어서도 건강하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시행전에 19.1%였으나 시행후에는 26.1%로 높아졌다. 2. 구강기능관련 주관적 지표 변화는 대부분의 문항에서 시행전보다 시행후에 구강기능에 대한 문제점들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타액량이 적다는 느낌, 취침 중 입마름으로 인한 잠깨기, 평소 입마름 증상, 입마름으로 인한 일상생활의 불편에 관한 문항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측정평가에 의한 구강기능의 변화는 타액량에 있어서는 1.19에서 1.30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약간의 변화가 있었고, 개구량에 있어서는 시행전 4.22에서 시행후 4.53로, 발음상태는 시행전 30.52개에서 시행후 38.88개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전체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는 4.48점으로 매우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구강보건전문가는 물론 프로그램 운영자는 대상자들이 흥미롭게 꾸준히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노력과 더불어 실제 소수의 보건소나 치과임상에서 시행되고 있는 입체조 프로그램을 활성화시켜 지역사회 노인 운동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정착될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우리나라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 - 일반 특성, 생활습관, 정신건강, 만성질환, 영양섭취상태를 중심으로: 제5기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 2010~2012 (The Factors Influenc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 Focused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Health Habits, Mental Health, Chronic Diseases, and Nutrient Intake Status: Data from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 2010~2012)

  • 이혜상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479-489
    • /
    • 2014
  • Objectives: This study intended to determine significant factors that influence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EuroQol 5 Dimensi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EQ_5D) & EuroQol visual analogue scale (EQ_VAS)) of the elderly in Korea. Methods: This study was based on 3,903 subjects aged 65 years or more who participated in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 2010~2012. The HRQoL was analyzed by various factors (general characteristics, health habits, mental health, chronic diseases, nutrient intakes). SPSS statistics for complex samples (Windows ver. 21.0) was used. Results: The HRQoL was higher in the males, those with higher educational level or higher income level while it was lower in those belong to single households. In particular, the EQ_5D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roup who reported walking practice, moderate physical activity (male), and the group who reported no vigorous physical activity (female). The EQ_VA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roup who reported walking practice. Both EQ_5D and EQ_VA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group with stress, melancholy, suicidal thinking, and osteoarthritis. EQ_5D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group with < 75% Estimated Energy Requirements (EER) in energy intake, and with < Estimated Average Requirements (EAR) in iron or niacin intake. A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i) higher educational level (male), and good self-rated health statu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EQ_5D, ii) age, alcohol intake (male), melancholy (female), suicidal thinking, osteoarthritis, and niacin intake deficiency (male) significantly decreased the EQ_5D, iii) higher income level (male) and good self-rated health statu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EQ_VAS, and iv) age (male), stress, suicidal thinking (female) and osteoarthritis significantly decreased the EQ_VAS.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ed that general characteristics, mental health, osteoarthritis, and niacin intake were associated with the HRQoL. Prospective research of long-term control is needed to establish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and the HRQoL.

경남 일부지역 장수노인의 영양섭취상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Nutritional Status of the Long-lived Elderly People in Kyungnam)

  • 최희정;김경업;김성희;강동희;정효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877-884
    • /
    • 2002
  • 본 연구는 경남 남해 장수노인들의 영양섭취 상태 및 식품 선호도를 조사 평가함으로써 건강한 장수를 위한 식생활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되었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사 대상자는 남자가 24명, 여자가 76명으로 평균 연령은 남자 88.7$\pm$3.6세, 여자 89.2$\pm$4.2세였다. 남녀 각각 평균 신장은 160.2$\pm$7.1 cm, 147.0$\pm$5.6 cm, 평균 체중은 52.6$\pm$8.4 kg, 44.9$\pm$7.1 k9이었으며 노인 평균 BMI 및 WHR은 208$\pm$3.1, 0.88$\pm$0.1이었고 수축기와 확장기 혈압은 149.9+30.1 mmHg, 87.2$\pm$14.8 mmHg였다 2. 평균 1일 열량 섭취량은 1547$\pm$432.7 kcal로 75세 이상 한국인영양권장량의 91.3%를 차지하였다. 단백질(63.1$\pm$28.2 g), 철분(16.7$\pm$11.2 mg), 비타민 B$_1$(1.04$\pm$0.4 mg) 및 비타민 C(97.0$\pm$45.3 mg)의 섭취는 권장량 이상을 섭취하였고 칼슘(418.1$\pm$189.7 mg) 및 비타민 B$_2$(0.94$\pm$0.5 mg)의 섭취는 각각 권장량의 58%,78%정도로 가장 부족한 실정이었다. 또한 열량 및 대부분의 영양소 섭취량은 여자가 남자보다 많았다. .:. 열량, 단백질 및 지질의 식품군별 섭취 비율을 살펴본 결과 열량 및 단백질의 급원으로 곡류 및 전분류의 의존도가 매우 컸으며 그 다음 순이 육류, 생선, 달걀 및 콩류였는데 이 중 생선류에 대한 의존도가 가장 컸고 육류의 의존도는 현저히 낮았다. 지질은 육류, 생선, 달걀 및 콩류로부터 의 섭취비율이 가장 높았는데 이 중 콩류가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4. 식품군별 식품의 선호도에 있어서 곡류 및 전분류에서는 밥을 우리나라 주식 인 만큼 가장 선호하였고 과일 및 채소류에서는 거의 모든 종류의 채소류를 가장 좋아하며 그 다음으로 남자는 해조류를, 여자는 김치를 좋아하였다. 육류, 생선, 달걀 및 콩류에서는 생선류의 선호도는 가장 높은 반면 육류의 선호도는 가장 낮았다 우유 및 유제품류에서는 약 90%의 노인이 요구르트를 선호하였고 유지 및 당류에서는 당류를 가장 선호하였다. 그리고 식품의 맛에 대한 선호도에서는 대부분이 단맛을 좋아하였으며 신맛은 아무도 좋아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에서 경남 남해의 장수노인들은 대부분의 영양소 섭취상태가 양호하였고 열량 및 단백질 섭취는 곡류 및 전분류로부터의 의존도가 가장 컸으며 동물성 식품 중에서는 생선 및 어 패류를 가장 선호함과 아울러 그 섭취량이 제일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0~2011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활용한 한국 노인의 치아보유상태에 따른 사회경제적 수준 분석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status and socioeconomic status of elderly in Korea -based on 2010~201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 최용금;한선영;김철신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1권5호
    • /
    • pp.265-273
    • /
    • 2013
  • The insurance payment plan for dental implants in Korea has been criticized because the payment priority has not been properly established, and the benefits are concentrated among middle-class citizens. In the current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al health condition and socioeconomic status of the elderly was analyzed using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reason underlying the criticism of the insurance payment plan. The subjects were >65-year-old individuals in the 2010 and 2011 database of KNHANES. Data from 2,812 subjects were analyzed. The socioeconomic status was determined based on edentulousness, molar tooth loss, and presence of 28 teeth.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average income was 1,560,000 won for edentulous elderly, 1,811,000 won for elderly who had lost molar teeth, and 1,896,000 won for elderly with 28 teeth (p<0.05). In addition, elderly with a low education level demonstrated a poor oral health condition (p<0.001). In conclusion, the insurance plan currently under examination is not properly designed for economically impoverished elderly because the plan only covers 50% of the costs and is limited to implantation of molar teeth only. This plan will not provide practical benefits to elderly with a poor socioeconomic status; therefore, the insurance payment plan needs to be improved so that the appropriate beneficiaries can be targeted.

노인의 주관적 구강건강상태 및 구강보건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Influential Factors to the Oral Hygiene Behavior and Perceived Oral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 이숙정;김창환;최규일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39-51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set of fundamental data for the oral hygiene education for the elderly as a result of the survey on the oral hygiene and subjective oral health of the elderly in an aged society. For this purpose, 269 elders who dwelled in Gyeongsangbuk-do region were randomly selected in an arbitrary selection process, followed by a survey on their oral hygiene and health. The collected data were coded and processed by using SPSS 15.0 software. As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basic items concerning the management of the oral health were analyzed for their frequency and percentages, whil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awareness on the oral health were processed with Chi-square validation to show a set of results as follows; Firstly, among the items on the oral health, the satisfaction on the current condition of their oral health was below average. Secondly, concerning the oral hygienic behaviors, the majority of the samples answered that they were brushing their teeth twice a day. And, as for the brushing methods, the largest number of the samples answered that they were brushing their teeth in a 'horizontal direction'. Thirdly, they reported they were having difficulties in getting dental treatment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sound oral health education to them to correct the inappropriate oral hygienic behaviors.

일부 노인의 구강내 상태에 따른 구강건강관련 삶의질 차이에 관한 연구 (The oral status of the elderly in some states difference between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 박종희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51-62
    • /
    • 2014
  • Purpose: Recently our country is rapidly aging population is growing. In the oral cavity of the elderly status of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to evaluate any impact. Methods: The survey used structured self administered questionnaires from April to May in 2011 in Daejeon and Chungcheong provinces to 277 people, analysis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a frequency analysis method, the difference between the quality of life T/F test, whether oral self-according to the quality of life healthy oral health effects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Award comes on the number of residual value, lower age all the more, smaller monthly income was small, but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 was no difference between gender. Residual value according to the number of differences in the quality of life of physical pain upper, physical disability, the lower the physical pain, physical disability, psychological disability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gradation. Depending on oral maxillary prosthesis fitted to physical pain, psychological discomfort, physical disability, the lower the functional limitation, physical pai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hysical disability. Conclusion: Status of the oral cavity of the elderly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remaining in the lower dimensions, upper and lower prosthetics, self-aware state of oral health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elderly oral health education to be strengthened to increase the residual value, reducing their own prosthetic perceived oral health is health, so they feel it should be for the development of health education programs for the elderly should 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