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hange of Oral Function Before and After Practicing Program for Oral Function Improving

구강기능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시행 전·후 구강기능의 변화

  • Lee, Sun-Mi (Dept. of Dental Hygiene, Dongnam Health University) ;
  • Cho, Eun-Pyol (Oral Health Service Team, Korea Health Promotion Foundation) ;
  • Hwang, Yoon-Sook (Dept. of Dental Hygiene, Hanyang Women's University) ;
  • Kang, Boo-Wol (Dept. of Dental Hygiene, Dongnam Health University)
  • 이선미 (동남보건대학 치위생과) ;
  • 조은별 (한국건강증진재단 구강보건사업팀) ;
  • 황윤숙 (한양여자대학 치위생과) ;
  • 강부월 (동남보건대학 치위생과)
  • Received : 2011.09.21
  • Accepted : 2011.12.08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a program geared toward improving elderly people's oral function. After a program was provided to the selected elderly people free of charge for three months, they were asked to rate their own oral function to see whether they underwent any changes after their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and their oral function was tested to obtain objective data.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statistical package SPSS WIN 18.0.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As for changes in their self-rated indicators of oral function, they faced less troubles in most of the oral function items after they participated in the program, a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me of the items. As a result of making an objective evaluation of their oral function, they underwent a little change in salivary flow rate from 1.19 to 1.30, though the chang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erms of opening, they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ise of scores from 4.22 to 4.53, and they also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ise of scores in pronunciation from 30.52 to 38.88. Regarding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they gave 4.48 to the program, which implied that they were greatly satisfied with the program. The abovementioned findings suggest that oral health experts and program providers should try to encourage elderly people to keep on taking oral health programs with interest. Currently, oral exercise programs are conducted in some public health centers and in the field of clinical dentistry, and it's required to offer more oral exercise programs as community exercise programs for the elderly.

본 연구는 노인을 대상으로 구강기능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을 3개월간 실시하고, 프로그램 전 후의 변화를 확인하고자 구강기능향상의 주관적 지표와 측정평가를 통한 객관적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SPSSWIN 18.0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주관적 전신건강인지에 있어서 좋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시행전에 19.1%였으나 시행후에는 21.4%로 높아졌고, 구강건강인지에 있어서도 건강하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시행전에 19.1%였으나 시행후에는 26.1%로 높아졌다. 2. 구강기능관련 주관적 지표 변화는 대부분의 문항에서 시행전보다 시행후에 구강기능에 대한 문제점들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타액량이 적다는 느낌, 취침 중 입마름으로 인한 잠깨기, 평소 입마름 증상, 입마름으로 인한 일상생활의 불편에 관한 문항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측정평가에 의한 구강기능의 변화는 타액량에 있어서는 1.19에서 1.30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약간의 변화가 있었고, 개구량에 있어서는 시행전 4.22에서 시행후 4.53로, 발음상태는 시행전 30.52개에서 시행후 38.88개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전체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는 4.48점으로 매우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구강보건전문가는 물론 프로그램 운영자는 대상자들이 흥미롭게 꾸준히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노력과 더불어 실제 소수의 보건소나 치과임상에서 시행되고 있는 입체조 프로그램을 활성화시켜 지역사회 노인 운동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정착될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허익강 등: 일부 노인의 치과보철물 상태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대한치과보철학회지 48(2): 101-110, 2010.
  2. 왕미숙: 노인의 정신능력 수준과 건강상태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서울, 1992.
  3. 김종배 등: 공중구강보건학. 고문사, pp. 278-286, 2010.
  4. Petersen PE, Yamamoto T: Improving the oral health of older people-the approach of the WHO Global Oral Health Programe.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33: 81-92, 2005. https://doi.org/10.1111/j.1600-0528.2004.00219.x
  5. 김백일 등: 구강관리용품론. 참윤퍼블리싱, pp. 120, 2010.
  6. 남용옥: 고령자의 구강건강 상태와 IADL, QOL과의 관계. 대한구강보건학회지 34(3): 362-371, 2010.
  7. 장경애, 황인철: 노인의 구강기능 향상에 미치는 구강운동의 효과. 한국치위생과학회지 11(3):257-263, 2011.
  8. 조은별: 구강기능향상운동이 노인의 구강기능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대학원, 충남, 2009.
  9. 이지혜 등: 장기요양노인환자들에 대한 구강체조가 구강기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 대한구강보건학회지 34(3): 422-429, 2010.
  10. Shtereva N: Aging and oral health related to quality of life in geriatric patients. Rejuvenation Res 9: 355-357, 2006. https://doi.org/10.1089/rej.2006.9.355
  11. 황윤숙, 조은별: 입체조 프로그램에 참가한 노인의 만족도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치위생교육학회지 9(4): 795-807, 2009.
  12. 박영애 등: 포항시 일부지역 노인의 전신건강 및 식생활 습관과 구강건강과의 관련성. 대한구강보건학회지 30(2): 183-192, 2006.
  13. 보건복지부: 2006년도 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 pp. 279, 2006.
  14. 장문성 등: 한국노인의 자가보고 치주건강상태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의 연관성. 대한치주과학회지 36(3): 591-600, 2006.
  15. 김남희 등: 서울지역 노인복지회관 이용 노인의 주관적 구강증상과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와의 관련성. 대한구강보건학회지 30(2): 141-150, 2006.
  16. 장종화 등: 의치장착 노인의 구강건조증이 주관적 구강건강인 지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구강보건학회지 30(4): 438-446, 2006.
  17. Fox PC: Management of dry mouth. Dent Clinic North Am 41(4): 863-875, 1997.
  18. 구강보건사업지원단: 지역 구강보건사업 성과평가 모니터링 보고서. 구강보건사업지원단 pp. 51, 2010.
  19. 김남희 등: 노인의 저작장애 측정용 설문에 대한 타당도 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32(1): 75-85,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