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노인의복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7초

학생과 학부모의 의복태도가 여교사의 외모관리에 따른 역할수행능력평가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Evaluation for Female teachers' Role-Performance on Their Appearance - according to clothing attitude of students and their parents -)

  • 유경옥;정명선;위은하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33-147
    • /
    • 2007
  • 본 연구는 학생과 학부모의 의복태도를 중심으로 여교사의 외모관리가 역할수행(학습지도, 생활지도, 인간관계형성, 학급경영)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중 고등학생 및 학부모 398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여, 요인분석, 군집분석, ANOVA와 Duncan-test, t-test, 기술통계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여교사의 역할수행능력 평가는 4요인으로 설명할 수 있었으며 학습지도능력, 생활지도능력, 인간관계능력, 학급경영능력으로 명명하였다. 그리고 학생과 학부모의 의복태도는 개성추구, 유행관심, 의복 중요성, 정숙성 요인으로 명명하였고 이 요인들에 의해 의복태도 유형은, 의복중시 지향집단, 유행 개성 지향집단, 정숙성지향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둘째, 학생의 경우 유행 개성 지향 집단이 여교사의 학습지도능력, 인간관계능력에서 여교사의 외모가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고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여교사는 학생의 의복태도를 잘 파악하고 역할수행에 맞는 옷차림 및 외모관리로 효율적인 역할수행을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또한 학부모의 경우 의복태도에 따른 여교사가 역할수행능력 평가에 있어 관련성이 적거나 관련이 있더라도 학습 지도 역할을 할 때 보통 정도의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므로 여교사는 학습지도를 할 때 외모관리에 더욱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학생과 학부모의 여교사 옷차림에 대한 관심도는 여교사의 외모에 따른 역할수행능력평가에 영향을 미치므로 여교사 옷차림에 대한 관심도가 높은 학생집단의 지도시에 여교사는 학습지도활동 및 인간관계형성, 학급경영활동을 하는데 있어 여교사 본인의 외모에 신경을 쓸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학생과 학부모는 자신의 의복태도에 따라 여교사의 외모가 역할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평가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다. 학생들의 가치관이 다양화되고 있는 만큼 의생활에 흥미와 관심과 의욕을 가질 수 있도록 충실한 의생활교육이 요구되는 시대에 맞게, 내용은 물론 수업체제를 발전시키는 것이 큰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변화하는 사회, 생활에 학교교육이 발맞춰 나가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의 틀을 바꾸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므로, 교과서의 내용을 교육과정 개정주기보다 자주 정기적으로 개편하여 내용을 수정, 보완할 수 있도록 그 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1{\pm}10.8%$, 여자 $54.6{\pm}9.9%$로 조사되었다. 칼슘의 섭취량은 평균필요량에 비해 전체 $74.9{\pm}31.9%$로 나타났다. 에너지 섭취량에 있어서 남자 노인들은 모두가 필요추정량의 75% 미만을 섭취하고 있었고 여자 노인의 경우에도 97%가 필요추정량의 75% 미만을 섭취하여 에너지 섭취량이 매우 낮았다 반면에 단백질 섭취량에 있어서는 남자 노인의 경우 100%가 평균필요량의 125%를 초과하였고, 여자 노인의 경우에는 91%가 평균필요량의 125%를 초과하여 대조적이었다. 비타민 A와 E는 각각 평균필요량과 충분섭취량의 125%를 초과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난 반면에 비타민 $B_2$는 특히 남자 노인에서 평균필요량의 75%미만을 섭취한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엽산 섭취량에 있어서는 평균필요량의 75% 미만을 섭취한 비율이 전체 96%로 나타나 심각한 부족상태로 조사되었다 반면에 철의 섭취량은 남녀 모두 100%가 평균필요량의 125%를 초과하여 섭취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연의 섭취량은 남자 17%,여자 15%가 평균필요량의 75% 미만을 섭취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에너지와 엽산은 모든 노인들에서 평균필요량에 미달되게 섭취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단백질과 철분은 남녀 노인 모두에서 평균필요량 보다 적게 섭취한 대상자가 없는 것으로

  • PDF

미국 노년층의 의복의 자아 근접성, 나이 정체성, 자아실현 사이의 상호연관성 분석 (Exploratory Correlation Analysis among Age Identity, Proximity of Clothing to Self, and Self-Actualization for Older Persons in the United States)

  • 이영아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3권12호
    • /
    • pp.1897-1909
    • /
    • 2009
  • Lee(2007)의 연구에서 노년들의 의복에 대한 자아 근접성은 그들의 자아실현에 직접적인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가설하였으나 가설과는 반대의 부정적 영향을 미치며 나이 정체성이 자아실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결과를 얻었다. 이 세 변수들 사이의 연관성은 이전의 연구들에서 많이 다루어지지 않았기에 Lee(2007)의 연구결과의 타당성을 입증하기위한 부가 연구가 필요하여졌다. 이 논문은 Lee(2007)의 연구결과를 심도 있게 이해하기 위하여 노년층의 의복에 대한 자아 근접성, 나이 정체성, 자아실현 사이의 상호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세 변수와 노인들의 나이와 성별을 묻는 설문지를 미국 전역 50개 주의 1,700명의 노인들에게 배포하여 195명으로부터 응답을 받았다. 미국 인구 통계청의 연령 구분 체계에 따라 설문지에 응답한 노인들을 세 분류의 나이(65세와 74세 사이, 75세와 84세 사이, 85세와 그 이상)로 구분지어 연구결과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노인들의 나이 정체성은 나이 85세 이상의 노인들을 제외하고는 의복의 자아 근접성과 그다지 상호 연관성이 많지 않음을 입증 하였다. 이 결과는 자아실현을 달성하지 못한 노인들은 의복을 자아실현을 위한 하나의 도구로 사용 할 수 있다고도 해석되어 질 수 있다. 세변수들의 상호 연관성 분석은 75세와 84세 사이의 노인들은 나머지 두 연령층의 노인들(65세와 74세 사이, 85세와 그 이상)과 상당히 다름을 입증하였다. 이는 75세와 84세 사이의 노인들이 다른 나이층의 노년들 보다 더 많은 심리적 과도기를 거치고 있음일 수도 있다. 이 연구결과를 통하여 노년층이라 구분지어지는 연령대가 높아져 간다는 것이 입증되어 졌으며 과거 50세를 넘긴 이들이 자신들을 노년층이라 생각 하였었다면 이제는 노인들 자신들도 그들을 더 이상 노인으로 구분 짖는 기준선이 적어도 미국에서는 불명확해 지고 있음이 보인다. 자아실현 변수는 의류학 분야에서는 이제까지 상당히 추상적으로만 사용되어져 왔고 측정도구로는 많이 상용화 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 글에서 제시하는 자아실현의 세부 변수들을 토대로 의복과의 상호 관련 연구들이 앞으로 더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의복의 자아 근접성 척도 검증 - 노년층을 대상으로 - (Validation of the Proximity of Clothing to Self Scale for Older Persons)

  • 이영아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848-858
    • /
    • 2007
  • 의복의 자아 근접성 개념을 기반으로 한 여러 연령층의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2004년에 Sontag과 Lee가 객관적 측정도구, 의복의 자아 근접성 척도(PCS Scale)를 개발하였다. Sontag과 Lee는 24-항목을 포함한 4-요인으로 구성된 PCS 척도를 청소년층을 대상으로 타당화 하였다. 본 연구는 그들 연구의 연계로 초기 6-요인으로 구성되었던 PCS 척도를 노년층에 적용하여 19-항목을 포함한 3-요인으로 구성된 PCS 척도를 타당화 한다. 65세 이상의 노인층이 본 연구의 표본집단으로 설정되었고 임의 표집방법을 이용, 미국 전역 1,700명의 노년 표본이 표본조사회사로부터 구입되었다. 2004년 11월 설문조사가 시작되어 2005년 2월에 총 250개의 이용 가능한 설문자료가 수집되었다(15.6%의 응답 비율). PCS 척도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Sontag과 Lee의 연구에서 사용한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을 동일하게 3단계 절차로 노인층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AMOS 5.0 을 사용한 3단계 신뢰도 분석 결과 19-항목을 포함한 3-요인으로 구성된 PCS척도의 타당성이 노인층을 대상으로 검증되었다. 노인층의 PCS척도는 다음의 3-요인으로 구성된다: 1) 의복이 자아 구성 과정에 미치는 영향(PCS 요인 1-2-3의 병합), 2) 의복이 평가적이고 정서적인 자존 형성과정에 미치는 영향(PCS 요인 4-5의 병합), 그리고 3) 의복이 신체상과 신체에 쏟는 정신 집중정도에 미치는 영향(PCS 요인 6). Sontag과 Lee가 초기적으로 가설한 6-요인 PCS 척도는 청소년층과 노인층을 대상으로 한 어느 연구에서도 검증되지 않았다. 더 나아가, 이들이 검증한 청소년층의 4-요인 PCS 척도도 노인층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검증되지 않았다. 이는 노인들의 자아 구성 이젊은 층보다 더 통괄/복합적인 것에서 기인된다고 보인다. 이 글은 PCS 척도의 앞으로의 연구방향과 이용방향을 끝으로 마무리 지어 진다.

노인여성의 의복행동과 기성복 맞음새 (A Study on the Clothing Behaviors and Wearing Sensation of Women's Ready-to-wear)

  • 이영주;김점해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23-135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lothing behaviors and wearing sensation of ready-to-wear of the elderly woman who residing in the Pusan and Kimhae. The subjects were elderly woman who assessed the wearing sensation of slacks, jacket 1(1-2button), jacket 2(over 4button), and jumpe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the analysis of the clothing behaviors factors, the factor 1 was the concern about the appearance, the factor 2 was mental dependency about the clothes, the factor 3 was the satisfaction about the clothes and the factor 4 was the concern about the fashion. 2. As for the wearing sensation of the slacks, waist and thigh of the slacks was large and slacks length and crotch length was long. As for the wearing sensation of the jacket 1, over the age of 70 years was more satisfied than under the age of 70 for the wearing sensation of bust, waist, hip, and sleeve length. As for the wearing sensation of the jacket 2, under the age of 70 years was more satisfied than over the age of 70 for the wearing sensation of sleeve length and location of the armhole. As for the wearing sensation of the jumper, the area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waist. Jumper was larger than jacket.

거동 불편 노인을 위한 휠체어 안전복 개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Wheelchair Safety Clothing for the Disabled Elderly)

  • 윤미영;최혜선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642-652
    • /
    • 2010
  • This study examines the inconveniences and problems of established safety-equipment by investigating the actual conditions for elderly people who use welfare services such as wheel chairs provided by care institutions. Suggestions will be made on how to improve the function and convenience of use to suit the needs of the elderly and how to create beautiful wheel chair safety-wear. Medical treatment helpers for the elderly were surveyed about the wearing conditions of wheel chair safety equipment. The present wheel chair safety equipment was shown to be aesthetically unpleasant; in addition, feelings of restriction and unpleasantness were noted (concerning the wearing of the equipment). In addition, there was no feeling of fixed stability. The wheel chair safety-wear that has been designed reflects the inconveniences and problems of current wheel chair safety equipment in material, design, and patterns along with the results of those surveys. Both objective and subjective tests compared the manufactured safety-wear with current equipment.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new safety-wear is superior than existing ones.

노인여성의 신체이미지와 의복행동 (Elderly Women's Body Image and Clothing Behavior)

  • 최수경;정수진;추미선
    • 복식
    • /
    • 제62권3호
    • /
    • pp.17-28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lderly women's body image and clothing behavior. Data were collected from 305 elderly women living in Gyeongnam province from May and June of 2011. Statistical methods including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F-test, t-test, Duncan test, Cronbach's ${\alph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body image was composed of two factors, 'physical attractiveness and interest in appearance', and 'concern about weight'. The clothing behavior was composed of the following five factors: 'social importance', 'conformity' 'individuality' 'economic efficiency' and 'clothing fashion interest'. The body image and clothing behavior according to the elderly women' demographic showed many differences. Elderly women's body image influenced their clothing behavior. These study results are highly expected to be used as valuable sources in fashion marketing plans for industries that target elderly women.

생체 신호 측정기술에 기반한 건강관리용 스마트 의류 디자인 프로토타입 개발 (A Development of Design Prototype of Smart Clothing for Healthcare Based on Sensing Technology of Vital Signs)

  • 조현이;이주현;이충근;이명호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6년도 학술대회 2부
    • /
    • pp.227-232
    • /
    • 2006
  • 스마트 의류의 발달은 pc 를 분산, 부착한 웨어러블 컴퓨터의 연구로부터 진행되어 왔으며, 1990 년대 후반 이후 착용자 감성을 고려해 더욱 편안하며, 의복과 유사한 외관을 디자인 하려는 노력이 전개되고 있다. 스마트 의류는 엔터테인먼트, 비즈니스, 스포츠, 의료 분야에 적용 등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으로 연구, 개발되고 있으며, 최근 들어서는 생체신호 센서를 이용한 건강관리용 스마트 의류의 연구가 주목 받고 있다. 건강에 대한 관심과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 고령화 사회의 예상으로 인해 건강복지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는 최근 트렌드를 볼 때, 건강 관리용의 스마트 의류의 수요는 증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본적인 생체신호 뿐 아니라 심장 질환, 호흡기 질환을 측정할 수 있는 건강 개념의 스마트 의류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이 스마트 의류는 기존의 의복의 형태와 착용감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의복 착장 시 생체 신호를 전송,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개발된 의복은 심전도, 체온 센서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심전도, 호흡량, 맥박, 체온 등의 생체신호를 얻을 수 있다. 디자인 프로토타입의 기기 위치 선정은 선행 연구에서 제시한 '착용성 향상을 위한 웨어러블 컴퓨터 디자인 지침' 을 기반으로 설계하여 착장 시 기기로 인한 이물감이 느껴지지 않도록 하였으며 또한, 기기의 하중을 최소화 하였다. 의복의 디자인은 센서의 안정된 부착과 활동성, 센서의 정확한 측정을 고려하여 표피의 면적 변화를 고찰하여 디자인하였다. 이 스마트 의류는 노인, 건강 이상자, 통원 치료자에게 평상시의 건강을 체크 함으로써 보다 원활한 치료의 가능으로 의료 복지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되며, 디자인 프로토타입의 개발을 통하여 센서기반 스마트 의류의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이 연구의 의의가 있다.

  • PDF

Development of A Uniform And Casual Clothing Recognition System For Patient Care In Nursing Hospitals

  • Yun, Ye-Chan;Kwak, Young-Tae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12호
    • /
    • pp.45-53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요양병원에서 발생할 수 있는 노인안전사고 발생률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즉, 위험지역으로 접근하는 인물이 노인(환자복) 그룹인지 실무자(평상복) 그룹인지를 CCTV에 나타나는 의복을 기준으로 구별하는 것이다. Web Crawling기법과 요양병원으로부터 지원을 받아 기초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이후 Image Generator와 Labeling으로 모델 학습 데이터를 만들었다. CCTV의 제한된 성능 때문에 높은 정확도와 속도를 모두 갖춘 모델을 만드는 것은 어려웠다. 그러므로 정확성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ResNet 모델, 속도에서 상대적으로 우수한 YOLO3 모델을 각각 구현했다. 그리고 요양병원이 자신의 실정에 맞는 모델을 고를 수 있게 하고자 했다. 연구 결과 환자복과 평상복을 적절한 정확도로 구별할 수 있는 모델을 구현하였다. 따라서 실제 사용처에서 노인들이 위험구역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여 요양병원 안전사고 감소에 이바지 할 것으로 평가된다.

한국 노인여성들의 의복구매행동과 의복불만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and Clothing Dissatisfaction of the Aged Women in Korea)

  • 강윤자;김인숙
    • 복식문화연구
    • /
    • 제6권4호
    • /
    • pp.162-174
    • /
    • 1998
  • Though the growth rate of the population of aged people in Korea is rapidly rising, research about this age group is relatively scarce compared to those about younger groups. This paper aimed to survey the clothing purchasing behaviors and clothing dissatisfaction of the aged women in Korea. A questionnaire concerning demographic status, clothing purchasing behaviors and clothing dissatisfactions was administered to 430 aged women residing in Seoul. Results showed that the aged women are as much well-planning, logical, and consumer-right-conscious purchasers as they are aesthetically demanding. 9 factors including product quality, design, sales service qualities revealed to be important factors explaining their dissatisfaction. But the strongest clothing dissatisfactions of the aged women were found to be those factors related to high price, lack of exclusive merchandising practices for the aged, and difficulty in the handling of clothing items. Their age and income status had partial influence on their purchasing behaviors and clothing dissatisfaction.

  • PDF

노인의 성역할 정체감과 의복디자인 선호 및 의복구매동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lothing Design Style Preference and Clothing Purchase Motive Associated with Sex Role Identity of the Elderly)

  • 유경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15-24
    • /
    • 1997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clothing design preference, clothing attitude and sex role identity. Using the data collected through interview questions. 200 subjects who were 60years of age and older in Kunsan, Korea,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X^2$-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the followings. 1. The androgynous type liked two button single jacket and the masculine and indifferentiate type three button single jacket, while the femin type liked soutien collar jacket in their woman. 2. The androgynous type' purchase motive was 'enough money' 'finding like clothing' while the masculine type's 'to attend meeting'. The feminine type's motive was 'enough money' and the indifferentiate type 'to attend meeting'. Clothing selection motive was more influenced the androgynous type than the feminine and indifferentiate type by 'design'. 3. The androgynous type felt 'indifferent' for dare clothing of the aging, the masculine type 'hate', the feminine type 'I like to', and the indifferentiate type 'look so goo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