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노인음성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26초

발화행태 특징을 활용한 응급상황 신고자 연령분류 (Age classification of emergency callers based on behavioral speech utterance characteristics)

  • 손귀영;권순일;백성욱
    •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96-105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실제 응급상황센터에 접수된 신고전화의 음성분석을 통하여 발화자의 연령을 분류하고자 한다. 2가지 발화행태적 특징요소인 무성휴지(Silent Pause), 대화반응시간(Turn-taking latency)를 활용하여 성인과 노인을 분류할 수 있는 특징에 대한 분류기준을 선정하고, 이를 기계학습 분류기인 SVM(Support Vector Machine)을 활용하여 분류정확도를 확인하였다. 먼저, 응급상황센터의 실제 신고전화에 대하여 발화행태적 특징 요소를 기반으로 청취분석을 통하여 발생길이에 대하여 성인과 노인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p<0.05). 또한, 성인과 노인 각 100개, 총 200개의 음성데이터를 5차 교차검증방법을 사용하여 기계학습을 실행한 결과, 2가지의 발화행태를 모두 사용한 복합기준(무성휴지+대화반응시간)일 경우, 70%의 가장 높은 분류정확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음성에 기반한 연령을 분류하는 연구에 있어서, 기존의 음성정보와 더불어, 새로운 발화행태적 특징요소와의 결합을 통하여 연령구분을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방법으로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향후 음성기반 상황판단 시스템 기술 개발에 있어서 기초자료로 적용이 가능하며, 이를 통하여 신속한 연령분류를 판단을 통한 상황대처가 가능하도록 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DAISY 포맷 기반의 디지털음성도서 개발 및 서비스 방안 연구 (A Study on Revitalization and Development of Digital Talking Book Based on the DAISY Format)

  • 장보성;김규환;이현정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95-315
    • /
    • 2009
  • 본 연구는 국제 표준인 DAISY 포맷 기반의 독서장애인용 디지털음성도서 저작 도구 개발 및 서비스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현재 한국은 시각장애인들 뿐만 아니라 고령화에 따른 저시력자 및 노인인구의 증가로 인쇄매체를 읽는데 불편함이 있는 독서장애인들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이런 독서장애인들을 위한 디지털음성도서 서비스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디지털음성도서 서비스를 위해서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충족시킬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어야 할 뿐만 아니라 저작권 침해의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디지털음성도서의 제작 포맷으로 사용되는 국제표준인 DAISY 포맷을 소개하고 DAISY 포맷 기반의 디지털음성도서 개발을 위한 저작 툴 개발 방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DAISY 포맷 기반의 디지털음성도서 서비스 활성화를 위하여, 일본의 저작권법 개정사례와 우리나라의 독서장애인을 위한 제도적 지원체계를 포함한 정책적 방안을 제안하였다.

  • PDF

노인 음성장애 출현율 및 음성장애지수 특성 (Prevalence of Voice Disorder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Voice Handicap Index in the Elderly)

  • 송윤경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4권3호
    • /
    • pp.151-159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prevalence of voice disorders and the Korean voice handicap index in the elderly. For this study, 169 elderly performed two types of questionnaires and vowel /a/ prolongation. Self-reported voice symptoms and the Korean voice handicap index were analyzed and acoustic voice evaluation was performed by MDVP.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evalence of voice disorders in the elderly a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adults in self-reports. In acoustic evaluation, 32.2% of the male elderly and 40.9% of the female elderly exceeded the thresholds of Jitter (%), Shimmer (%) and NHR. In addition, Korean voice handicap index scores of the female elderly a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female adults. These findings indicate the high frequency of voice disorders in the elderly and the need to focus on this group. Additional studies on the voice related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are needed.

빅데이터를 이용한 독거노인 돌봄 AI 대화형 말동무 아가야(AGAYA) 로봇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teractive Talking Companion Doll Robot System Using Big Data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 송문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305-318
    • /
    • 2022
  • 본 연구는 4차 혁명기술의 핵심인 AI 기술을 활용한 대화형 AI 토이 로봇의 독거노인 돌봄에 대한 효과성에 주목하고, 보다 인간 중심적인 돌봄으로의 개인화, 맞춤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R&D를 통한 '아가야'라는 AI 토이 로봇을 개발하였다. R&D 작업은 활용 중인 AI 스피커와 AI 대화 인형의 기능을 고찰, 현재 AI 로봇을 사용 중인 총 6명의 독거노인과의 인터뷰, 독거노인의 AI 대화 로봇 사용 현황과 효과성, 한계성, 개선점 등을 파악한 후 진행되었다. 첫째, P-TTS 기술을 적용하여 듣고 싶은 사람의 음성을 자율적으로 선택하여 들음으로써 심리적 친밀감을 강화하고 둘째, 추억저장 및 소환기능으로 자신만의 심적 치유를 가능케 하며 셋째, 눈, 코, 입, 귀, 손의 5감의 다양한 역할을 추가하였고 넷째, 따뜻한 체온 유지, 아로마, 살균 및 미세먼지 제거부, 편리한 충전방식 등의 기술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기술들은 친밀감, 개인화 지향을 통한 독거노인의 대화형 로봇에 대한 사용을 확대하고, 돌봄의 수혜자라는 수동적인 프레임에서 벗어나 스스로 남은 노후를 생산적이고 독립적으로 기획할 수 있는 긍정적 이미지의 독거 노인상을 구축하는데 기여한다.

VR기반 노인 음역대 활용 방안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VR-based Soundband for the Elderly)

  • 이승준;박웅기;박철우;이영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75-477
    • /
    • 2022
  • 본 연구는 노년기에 음성 변화로 평상시에 의사소통의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고, 노인분들이 사회 활동을 꺼리거나 피하기까지 이어질 수 있어, 정신적인 상태 저하에 매우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어 VR기반으로 노인분들의 음역대를 활용해 소리를 듣고 즐길 수 있고자 한다.

  • PDF

복지정보통신

  • 정성기
    • 제품안전
    • /
    • 통권67호
    • /
    • pp.66-69
    • /
    • 1999
  • 최근 고령인구와 장애인구에 대한 사회적 배려나 관심이 지속적으로 증가로 인하여 이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주기위한 기술적 발전과 그에 따른 산업 변화가 일고 있다. 거리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거리의 음성신호를 장착한 신호등에서부터 공중전화, 자동차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그 중에서 특히 장애인이나 노인들에게 제공되는 정보통신에 대한 시책들은 아직은 미흡하다.

  • PDF

노인성 음성에 대한 최신 연구동향 (Current Researches on Vocal Fold Aging)

  • 임재열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24-26
    • /
    • 2014
  • Aging causes a variety of changes in the structure of the vocal fold (VF), resulting in aging-induced dysphonia (presbyphonia). Several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structure of the VF of elderly people from autopsy as well as animal studies. There is an increasing evidence on correlation of structural changes of VF with deteriorated voice in elderly. Although the cellular mechanisms of aging VF have only partially been elucidated, there are many recent advances in biological treatment on aging VF using bioactive molecules such as growth factors. In this study, I'd like to address aging-related structural, biological, and physiological changes in previous literature about human and rodent aging VFs, to provide further insight into the mechanisms responsible for presbyphonia and to translate the basic researches for future clinical trials.

  • PDF

치매노인을 위한 자동대화시스템 (Automatic Dialog System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 Kim, Sung-ill;Joo, Chang-bok;Shin, Wee-jae
    • 융합신호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호처리시스템학회 2003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37-140
    • /
    • 2003
  • 본 연구는 치매노인환자의 생활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대화시스템의 개발에 목표를 둔다. 제안된 시스템은 주로 세 가지 모듈, 즉, 음성인식, 시간테이블에 의해 구분된 대화 데이터베이스의 자동검색, 그리고 간호사의 녹음음성에 의한 응답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선 치매환자가 요양시설에서 자주 발화하는 대화의 내용을 조사하고, 그들의 발화 음성을 인식하고 적절히 응답하도록 구성하였다. 시스템의 평가를 위해서 시스템이 도입되었을 때와 도입되지 않았을 때를 비교, 조사하였다. 시스템이 도입되지 않았을 때는 간호사가 자유로이 케어서비스를 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비디오 촬영을 통해서 대상자의 행동 및 반응을 조사한 결과, 치매환자의 요구를 충족시키는데 있어서 대화 시스템이 간호사들보다 더 응답적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게다가, 제안된 시스템은 상호 대화에 있어서 환자가 더 많이 말하도록 유도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우리나라 공공도서관 노인서비스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urrent State and Improvements of the Public Library Services for Older Adult in Korea)

  • 배경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199-214
    • /
    • 2021
  •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서 국내 공공도서관 노인서비스 현황을 파악하여 개선점을 도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전국의 도시지역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수행한 결과 총 172개 도서관이 응답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 공공도서관은 대체로 노인이용자의 중요성에 대해서 인식하고 있으나, 적극적인 대응에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서관 장서 및 공간/시설에 대해 우선적으로 강화해야 할 영역은 큰활자·음성도서/정기간행물 장서 확충과 높은 서가의 책을 찾기 위해 직원에게 도움 요청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는 점으로 조사되었다. 도서관 서비스/프로그램의 경우 우선적으로 강화해야 할 영역은 사회참여 프로그램과 인문학 프로그램으로 분석되었다. 정보서비스 담당 사서들은 다른 노인서비스 기관과 차별화된 도서관만의 노인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노인세대의 계층을 세분화하고 보다 전문화된 서비스 및 프로그램을 기획하여야 한다는 의견을 개진하였다.

안전취약계층 대상 재난정보 전달 및 대피지원 체계 시범적용 연구 (A Study on the Pilot Application of Disaster Information Delivery and Evacuation Support System for the Vulnerable Groups)

  • 정태호;이한준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22년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 /
    • pp.139-140
    • /
    • 2022
  • 본 연구는 재난발생 시 현장 상황 판단 및 대응 능력이 현저히 떨어지는 안전취약계층 중 장애인과 노인이 재난정보를 받고 안전하게 대피·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스템의 시범적용에 대한 것이다. 재난정보 전달 및 대피지원 시스템은 재난에 취약한 장애인과 노인이 재난상황에서 각각의 취약 특성을 고려하여 재난 위기상황에 대응하도록 설계 하였으며, 실내 위치측정에 관한 공간정보 표준 및 데이터 구축과 개발한 시스템을 설치하고 구현할 수 있는 실내 공간을 선정하여 시범적으로 적용하였다. 재난정보 및 대피지원 시스템의 시범적용을 위해 선정된 시설의 실내 공간정보 구축 및 현행화를 통해 실내 대피경로를 구축하고, 실제 시범적용을 통해 보완하는 과정을 수행하였다. 장애인·노인 대상 재난정보 전달 및 대피지원 서비스 구축을 위해 실내에서 재난발생 시 재난정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스마트폰과 연계할 수 있는 연계 모듈을 개발하였다. 또한 재난정보를 스마트폰에 알릴 수 있는 알람 푸시 모듈, 재난정보 및 대피 안내 모듈과 시각 장애인의 실내 공간 인지를 위한 음성안내 모듈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IoT 기반의 통합관제 기술을 활용하는 서비스 제공을 통해서 정보전달의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장애인·노인의 효율적 재난 대응을 위해 맞춤형 재난정보 전달 및 대피지원 서비스를 구축하고 시범적용의 과정을 통해 문제점을 보완하여 최종적으로 재난으로부터 안전취약계층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