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노이즈 외란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7초

전정기관 자극용 회전자극기를 취한 PMSM의 정밀 속도제어 (Precision Speed Control of PMSM for Stimulation of the Vestibular System Using Rotatory Chair)

  • 고종선;이태호;박병림;전칠환
    • 전력전자학회논문지
    • /
    • 제5권5호
    • /
    • pp.459-466
    • /
    • 2000
  • 전정기관 자극용 회전자극기에 있어서 외란 관측기를 이용한 PMSM(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의 강인한 정밀 속도 제어 방법에 대해서 제안한다. 본 제어기는 더욱 정확한 전정기관 평가를 가능하게 한다. 현기증을 유발시키기 위해서 지면에 수직인 회전축을 갖는 2D 자극기가 사용되어져 왔다. 그러나 정확한 현기증의 원인 규명을 위해서 회전축을 기울인 3D 자극기가 필요하다. 3D 자극기와 같이 기울임을 갖는 회 전자극기의 경우, 회전축에 대한 무게중심의 이격은 불평형 부하를 유발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대하여 강인한 속도 제어를 위한 외란 관측기를 이용하는 보상방법을 연구하였다 정확한 전정기관 자극을 위해 정밀한 속도 제어가 필요하며, 이러한 정밀 속도 제어에 있어서 외란의 영향을 제거하기 위해 데드비트 관측기와 같은 높은 이득을 갖는 관측기가 필요하다. 외란 관측기의 위치 제어에 대한 응용이 연구되어 졌다. 그러나 속도와 같은 노이즈가 많은 신호를 이용한 속도 제어에 있어서 데드비트 관측기는 노이즈 증폭 효과를 가져와 적용이 어렵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MA(Moving Average)처리를 이용하여 노이즈 효과를 저감한다. 이상의 제안된 알고리즘의 효과를 실험으로 보였다.

  • PDF

외란관측기와 파라미터 보상기를 이용한 PMSM의 정밀위치 제어 (Precision Position Control of PMSM using Load Torque Observer and Parameter Compensator)

  • 고종선;이태훈
    • 전력전자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42-49
    • /
    • 2004
  • 본 논문은 데드비트 외란 관측기를 사용한 외부 부하 외란 보상과 파라미터 추정기에 의한 보상 이득의 조정을 나타내고 있다. 결론적으로 PMSM의 응답은 지표 시스템을 따른다. 부하 토크 보상 방법은 데드비트 관측기로 구성된다. 노이즈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해 MA 처리에 의해 구현된 후단 필터를 적용하였고, RLSM 파라미터 추정기를 가진 파라미터 보상기가 주어진 실제 시스템의 이득 계산시 사용된 파라미터로 가상 동작하여 이득이 오차가 없는 것처럼 동작하게 한다. 제안된 추정기는 문제를 풀기 위해 고성능 외란 관측기와 조합하여 사용한다. 제안된 제어 시스템은 부하토크와 파라미터 변화에 대해 강인하고 정밀한 시스템이 된다. 이상의 제안된 시스템의 안정성과 유용함이 컴퓨터 시뮬레이션과 실험을 통하여 확인되었다.

$H_{\infty}$ 필터를 이용한 초고속 비동기전송망의 체증 제어 (Congestion Control in ATM Networks using an $H_{\infty}$ Filter)

  • 이수구;김영중;김범수;임묘택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3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D
    • /
    • pp.2137-2139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초고속 비동기전송(ATM)망에서의 체증 문제를 풀기위해 $H_{\infty}$ 필터 사용을 제안한다. 많은 제어기들에 대한 초기 연구들은 가용 비트율이 망 체증이 제거될 수 있도록 버퍼에서의 원하는 셀들의 큐의 길이를 원하는 값 범위내에서 성공적으로 조절될 수 있음을 보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망의 노이즈를 가우시안 랜덤 열로 근사화하는 ATM망에 대하여 현대 제어 기법인 $H_{\infty}$ 필터를 적용한다. 따라서 제안한 $H_{\infty}$ 필터는 망의 외란으로 밭생하는 망의 출력의 영향을 미리 주어지는 $H_{\infty}$ 노옴값 이내로 유지시켜준다. 따라서 미리 주어지는 $H_{\infty}$ 노옴값이 작다면 제안한 $H_{\infty}$ 필터는 외란에 강인한 성능을 보여줄 수 있다. $H_{\infty}$ 필터 이득은 대수적인 리카티 방정식의 해로 구해진다.

  • PDF

GIS 예방진단 시스템용 원격관리시스템 개발 (The Development of Remote Management System for GIS Preventive Diagnosis System)

  • 민병운;명희철;최호웅;이병호;김정한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8년도 제39회 하계학술대회
    • /
    • pp.2065-2066
    • /
    • 2008
  • GIS 예방진단 시스템을 현장에 적용할 경우 예상치 못한 노이즈와 전기외란으로 예측 일치율에 저하가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각 현장에 설치된 온라인 GIS예방진단 시스템의 기록정보를 받아들여 새롭게 학습을 시킴으로써 현장 적응형 진단을 구축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또한 현장의 각종 노이즈 패턴도 학습시킴으로써 진단엔진의 성능향상을 도모한다.

  • PDF

광 간섭 계측

  • 한국광학기기협회
    • 광학세계
    • /
    • 통권104호
    • /
    • pp.70-74
    • /
    • 2006
  • 일반적으로 광 간섭 계측은 비접촉, 고감도, 면계측, 내전자(耐電磁) 노이즈 등 다른 계측방법에는 보이지 않는 우수한 장점을 가지고 있는 반면, 공기 흔들림이나 외부 진동 등의 외란에 약하여 광학 조정이 번거로우며 측정 범위가 좁다는 문제점도 있어, 아직까지는 산업적으로 충분히 보급되고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여기서는 옵토 메카트로닉스 기술로서의 광 간섭 계측 기술이 상기 문제점을 극복하면서, 앞으로 어떻게 발전해 나갈 것인 지를 예측하여 기술 로드맵의 작성을 시도하였다. 기술 로드맵은 반도체 산업에서는 본격적인 것으로 정평이 나있지만, 광 간섭 계측 기술에 대한 것은 거의 없다. 따라서, 여기서 채택한 기술과 그 미래에 대해서는 필자의 경험과 주관이 상당히 많이 개입되어 있음을 미리 말해 둔다.

  • PDF

외란을 고려한 냉동시스템의 최적 PI 제어기 설계 (Optimal PI Controller Design for Refrigeration System Considering Disturbance)

  • 정석권;홍기학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25권2호
    • /
    • pp.85-93
    • /
    • 2013
  • The proportional plus integral(PI) feedback control manner has been used in many general industrial fields such as refrigeration system because of its simple design process and favorable control performance. This paper deals with optimized PI controller design of the refrigeration system based on evaluation functions such as integrated absolute error(IAE). The suggested optimal PI gains can be easily calculated by a simple program and the optimal controllability satisfying the evaluation function can be assured. Furthermore, at the initial step of controller design, the suggested optimal gain is able to reflect some noise disturbances caused by an inverter which drives variable speed compressors. The validity of the suggested optimal gain is investigated by some simulations and experiments to verify its efficiency. From the results of comparing control performance between the optimal PI controller based on the evaluation function and the PI controller designed by the Matlab tuner which was known as the most popular gain tuner, the optimal PI controller showed more desirable control performance especially in transient responses.

적응형 퍼지-칼만 필터 기반의 초정밀 위치 결정 시스템 제어 (An Approach of Ultra-Precision Positioning System using Adaptive Fuzzy-Kalman Filter Observer)

  • 최인성;최승옥;유관호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7년도 심포지엄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221-222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초정밀 위치 결정 시스템에서 보다 정확한 제어를 위한 새로운 제어기를 설계한다. 외란을 고려한 시스템의 경우, 환경이 달라질 때마다 측정 노이즈를 정확하게 알아내기란 쉽지 않다. 따라서 측정 장치의 정확성을 나타낼 수 있도록 칼만 필터추정기와 퍼지 이론을 이용하여 정확한 측정 오차값을 구한다. 이때, 파라미터 불확실성과 의란에 강인한 제어를 위해 슬라이딩 모드 제어기와 LQ 최적 제어기가 적용된다. 최종적으로, 제안된 제어기와 시간 최적 제어기의 성능비교를 통하여 보다 강인하고 안정된 성능개선을 증명한다.

  • PDF

상태관측기를 이용한 3상 PFC 컨버터의 센서리스 제어 (Sensorless Control of Three-Phase PFC Converter Using State Observer)

  • 김영삼;김규태;박수종;정한진;권영안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전기기기 및 에너지변환시스템부문
    • /
    • pp.146-148
    • /
    • 2005
  • 3상 PWM 컨버터는 전원전압과 동일한 위상의 전류를 인가할 수 있도록 스위칭 소자를 사용하여 고효율, 고역률을 얻을 수 있으며, 계통전원의 안정화와 유도장애 해소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PWM 컨버터는 전원전압과 동상의 입력전류를 얻기 위해서는 전원전압센서와 전류센서를 필요로 하고 DC 링크단을 제어하기 위해서도 부가적인 하드웨어 구성이 필요하다. 이러한 센서들은 고가이며 신호의 검출시 각종 노이즈와 외란의 영향으로 신뢰성의 저하가 우려되므로 센서의 제거가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은 상태관측기를 이용하여 전원전압과 위상각을 추정하는 센서리스 제어를 제안하였으며 3상 PFC 컨버터를 구성하여 시뮬레이션과 실험을 수행한 결과 전원전압 추정과 단위역률이 잘 이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민감한 전기전자기기의 전압외란에 대한 영향 최소화 연구 (A Research to Minimizing the Effect of Voltage Disturbances on Sensitive Electrical and Electronic Equipment)

  • 윤갑구
    • 기술사
    • /
    • 제19권2호
    • /
    • pp.10-20
    • /
    • 1986
  • 전압외란(voltage disturbances)에 대하여 민감함 전기전자기기가 받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전력공급자측에서의 대책과 수용가기기에서의 대응책에 대하여 조사연구하였다. 전력공급자에서의 대책으로는 전압강하 시간의 단축에 대하여 검토하였는데, 효과와 경제성으로 보아 실현가능성이 적었다. 수용가기기에서의 대응책으로는 컴퓨터제어(computer control)와 자동화시스템(automated systems) 등에는 무정전 전원장치 또는 노이즈 서프레서(noise suppressor)나 파워콘디쇼너(power conditioners)를 설치하고, 전자개폐기는 지연석방형 전자개폐기를 채용하며, 가변속제어전동기에는 순간전압부하에 대한 대책이 고려된 제어회로를 채용하고, 고압방전등에는 순간재점등장치가 붙은 등기구를 채용하며, 부족전압계전기는 계전기의 정전시감을 연장하는 방안과 순간정전시에는 자동으로 재투입하는 sequence를 구성하는 방법등이 효과적인 대책으로 검토되었다.

  • PDF

발전소 회전기기 정밀진단을 위한 휴대용 진동분석기 개발 (Development of a Portable Vibration Analyzer for Precision Diagnosis of Plant's Rotating Equipment)

  • 노형호;유호선
    • 플랜트 저널
    • /
    • 제17권4호
    • /
    • pp.53-60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진동감시시스템 제작업체인 (주)나다와 발전소 회전기기 진동데이터 취득 및 분석에 효과적인 휴대용 진동분석기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개발된 휴대용 진동분석기의 하드웨어는 측정기기의 교정을 위한 측정 불확도를 통해 얻은 측정값을 시스템에서 보정함으로써 측정오차를 최소화하였고, 고속 데이터 처리로 높은 분해능을 가진 신호처리 장치로 구성되었다. 소프트웨어 구조는 다양한 진동 플롯을 구현하여 상세한 분석프로그램을 실행하며, 회전기기 운전 중 외란으로 발생하는 노이즈 측정 및 제거에 효과적인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개발품은 사용자의 이동 편의성 증대 및 고속 데이터 처리로 분해능을 높임으로써 성능향상은 물론, 국산화 개발에 따른 구입비용 절감에도 크게 기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