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노이즈제거

Search Result 606,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Perimeter-linked noise reduction in Algorithms for Image Code Recognition (이미지코드 알고리즘에서 주변영역 노이즈제거 효율성 향상 방안 연구)

  • Yang, Min-Ho;Kim, D.C.;Jung, C.H.;Han, T.D.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10b
    • /
    • pp.494-498
    • /
    • 2006
  • 본 논문은 이미지코드의 전처리 단계에서 노이즈 제거시 방향성을 다르게 하였을 때 그 노이즈 제거율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미지코드에서 전처리단계는 코드를 인식을 결정하는 중요한 단계로서 원할한 서비스와 인식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그 성능을 높일 필요가 있다. 기존에 제시되었던 단방향성을 가지는 노이제 제거 방식에서는 주변영역과 연결된 부분을 노이즈로 인식한다는데 있어서는 동일하지만 방향성을 가진 특성상 노이즈를 제거할 수 없는 부분이 있다는데서 착안되었다. 제시된 나선형 및 양방형 성 마스킹 방식을 가지고 노이즈 제거시 단방향으로는 제거할 수 없었던 부분의 제거율을 상당히 높일 수 있었고, 전처리 단계에서의 인식률도 높일 수 있게 되었다. 실험을 통해 제거된 노이즈의 픽셀을 단방향성, 나선형, 양방향성, 방식을 각각 비교 평가하였다. 단방향성 노이즈 제거방식에서는 노이즈 마스크가 방향성을 가지기 때문에 노이즈를 제거할 수 없는 부분이 있지만, 제안된 양방향성, 나선형 노이즈 마스크를 사용하면 단방향성보다 향상된 노이즈 제거율을 볼 수 있었다.

  • PDF

Image Restoration by Gradual Noise Reduction (점증적 노이즈 제거를 통한 영상 복원)

  • Seo, Seok-Tae;Lee, In-Geun;Jeong, Hye-Cheon;Gwon, Sun-Ha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6.11a
    • /
    • pp.171-174
    • /
    • 2006
  •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노이즈 제거 필터인 평균값 필터, 중간값 필터 등의 필터를 이용하여 노이즈 포함 영상을 복원할 경우, 몽롱화 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몽롱화 현상은 마스크의 크기가 달라짐에 따라서 심해지는 경향을 보인다. 본 논문은 노이즈가 포함된 입력 영상의 픽셀 주변 환경에 기반하여 점증적으로 노이즈를 제거하여 입력영상을 변환 시켜, 몽롱화의 현상을 줄이고, 정보의 추출이 용이하도록 영상을 복원하는 점증적 노이즈 제거 필터를 제안한다. 또한 노이즈에 의해서 훼손된 입력 영상의 복원을 통하여 제안된 노이즈 제거 필터의 효용성을 보인다.

  • PDF

An Index-Building Method for Boundary Matching that Supports Arbitrary Partial Denoising (임의의 부분 노이즈제거를 지원하는 윤곽선 매칭의 색인 구축 방법)

  • Kim, Bum-Soo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3 no.11
    • /
    • pp.1343-1350
    • /
    • 2019
  • Converting boundary images to time-series makes it feasible to perform boundary matching even on a very large image database, which is very important for interactive and fast matching. In recent research, there has been an attempt to perform fast matching considering partial denoising by converting the boundary image into time series. In this paper, to improve performance, we propose an index-building method considering all possible arbitrary denoising parameters for removing arbitrary partial noises. This is a challenging problem since the partial denoising boundary matching must be considered for all possible denoising parameters. We propose an efficient single index-building algorithm by constructing a minimum bounding rectangle(MBR) according to all possible denoising parameters. The results of extensive experiments conducted show that our index-based matching method improves the search performance up to 46.6 ~ 4023.6 times.

Optimized Normalization for Unsupervised Learning-based Image Denoising (비지도 학습 기반 영상 노이즈 제거 기술을 위한 정규화 기법의 최적화)

  • Lee, Kanggeun;Jeong, Won-Ki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v.27 no.5
    • /
    • pp.45-54
    • /
    • 2021
  • Recently, deep learning-based denoising approaches have been actively studied. In particular, with the advances of blind denoising techniques, it become possible to train a deep learning-based denoising model only with noisy images in an image domain where it is impossible to obtain a clean image. We no longer require pairs of a clean image and a noisy image to obtain a restored clean image from the observation. However, it is difficult to recover the target using a deep learning-based denoising model trained by only noisy images if the distribution of the noisy image is far from the distribution of the clean image. To address this limitation, unpaired image denoising approaches have recently been studied that can learn the denoising model from unpaired data of the noisy image and the clean image. ISCL showed comparable performance close to that of supervised learning-based models based on pairs of clean and noisy images. In this study, we propose suitable normalization techniques for each purpose of architectures (e.g., generator, discriminator, and extractor) of ISCL. We demonstrate that the proposed method outperforms state-of-the-art unpaired image denoising approaches including ISCL.

An Adaptive Noise Detection and Modified Gaussian Noise Removal Using Local Statistics for Impulse Noise Image (국부 통계 특성을 이용한 임펄스 노이즈 영상의 적응적 노이즈 검출 및 변형된 형태의 Gaussian 노이즈 제거 기법)

  • Nguyen, Tuan-Anh;Song, Won-Seon;Hong, Min-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09.11a
    • /
    • pp.179-181
    • /
    • 2009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daptive noise detection and modified Gaussian removal algorithm using local statistics for impulse noise. In order to determine constraints for noise detection, the local mean, variance, and maximum values are used. In addition, a modified Gaussian filter that integrates the tuning parameter to remove the detected noise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our method is significantly better than a number of existing techniques in terms of image restoration and noise detection.

  • PDF

A Study on Denoising Method using Wavelet in Impulse Noise Environment (임펄스 노이즈 환경에서 웨이브렛을 이용한 노이즈 제거 방법에 관한 연구)

  • 배상범;김남호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6 no.4
    • /
    • pp.513-518
    • /
    • 2002
  • This paper presents the new method for removing impulse noise using wavelet. Time and frequency-localization capabilities in denoising can provide excellent specialties comparing with the existing methods, because of including detail information of signal. The method in this paper, using denoising by threshold and slope of signal by wavelet, has superior denoising effect and can recognize edge of original signal. For objective judgement, the test signals are used HeaviSine and DTMF and this paper simulated by test signals which have added to impulse noise of different site individually.

The Optimization for Partial Denoising Boundary Image Matching (부분 노이즈 제거 윤곽선 이미지 매칭의 성능 최적화)

  • Kim, Bum-Soo;Lee, Sanghun;Moon, Yang-Sa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4.11a
    • /
    • pp.729-732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부분 노이즈 제거를 지원하는 윤곽선 이미지 매칭의 성능 최적화 문제를 다룬다. 윤곽선 이미지 매칭에서 이미지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것은 직관적이고 정확한 매칭을 위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나, 윤곽선 이미지 매칭에서 부분 노이즈 제거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매우 많은 계산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부분 노이즈 제거 윤곽선 이미지 매칭 연구를 좀 더 구체화하여 성능 향상을 위해 유사 거리의 하한을 제안한다. 실험 결과, 부분 노이즈 제거 윤곽선 이미지 매칭 성능을 수 배에서 수십 배까지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Multiresolution Image Denoising by Piecewise Noise Analysis (구간적 노이즈 분석을 통한 다중해상도 영상 노이즈제거)

  • Lee, Jee-Hyun;Jeong, Je-Ch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4.06a
    • /
    • pp.226-229
    • /
    • 2014
  • 본 논문은 효과적인 열화영상의 복원을 위해 Multiresolution Bilateral Filter (MBF) 기반의 구간적 노이즈 분석을 제안한다. 기존의 MBF 알고리즘은 최적화되지 않은 노이즈 추정 값을 중첩적으로 사용하다보니 over smoothing 현상이 발생되는 결과가 도출되기도 하였다. 이에 따른 보완점으로 열화영상 내 전체 화소를 일정한 블록 단위의 영역으로 나누어, 영상특성을 최대한 보존하며 노이즈제거를 진행하기 위해 블록 단위의 영역 내에서 노이즈 추정을 위한 파라미터를 추가한다. 실험을 통해 제안된 알고리즘이 노이즈 추정을 수행하여 얻어진 노이즈의 분산 값을 보다 정확히 추정하였고, 이로 인하여 향상된 노이즈 제거 영상 획득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utomatic Noise Band Elemination of Hyperion Hyperspectral Image using Fractal Dimension (프랙탈 차원을 이용한 Hyperion 초분광 영상의 자동 노이즈 밴드 제거)

  • Chang, An-Jin;Kim, Yong-Il;Yu, Ki-Yun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8.03a
    • /
    • pp.219-223
    • /
    • 2008
  • 초분광 영상은 기존의 다중분광 영상보다 많은 파장대의 영상을 취득하기 때문에 다양한 분야의 연구에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밴드별로 취득하는 파장대가 짧고 밴드수가 많아, 밴드간의 높은 상관관계 및 노이즈 밴드가 존재한다. 이로 인해 기존에 알려진 분석기법의 적용결과가 제대로 도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초분광 영상을 이용할 경우, 노이즈가 많이 포함된 밴드를 제거한 후 영상분석을 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초분광 영상(Hyperspectral Image)의 전처리 과정 중 노이즈 밴드 제거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이를 위해 프랙탈 차원을 이용하였다. 프랙탈 차원 측정방법 중 삼각기둥 표면적 기법을 이용하였다. 프랙탈 차원을 측정하고, Continuum Removal 기법을 이용하여 경향을 살펴보았다. 경험적으로 구한 임계값을 통해 상대적으로 정보량이 적은 밴드를 노이즈 밴드로 판단하여 제거하였다. 실험 영상으로는 EO-1 위성에서 취득되는 Hyperion 초분광 영상을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프랙탈 분석을 통해 Hyperion 초분광 영상의 노이즈 밴드를 자동으로 추출하여 제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Event Detection System Based on Twitter Applied Geographical Name Denoising (지명 노이즈제거 기법을 적용한 트위터 기반 이벤트 탐지 시스템)

  • Woo, Seungmin;Hwang, Byung-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10a
    • /
    • pp.1095-1097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트위터 기반 이벤트 탐지에서의 기계학습을 통한 지명 노이즈제거 방식을 제안한다. 이벤트 탐지 시스템은 트위터 사용자 개개인을 이벤트 탐지의 센서로 이용하여 특정 지명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탐지하였다. 그러나 지명과 동형이의어 관계의 단어가 탐지되어 이벤트 탐지의 정확도를 낮추는 요인이 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먼저 노이즈 관련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이용하여 제거 필터링을 진행한 후에 기계학습을 이용해서 지명 유무를 결정하였다. 실험결과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예측기법은 89.6%의 신뢰도로 노이즈제거 기법의 필요성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