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노르딕워킹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1초

비만 지적장애 성인여성의 노르딕워킹이 신체조성 및 체력요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Nordic Walking on Body Composition and Physical Fitness in Obese Wom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 김석진;강유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9호
    • /
    • pp.427-435
    • /
    • 2018
  • 본 연구는 체지방률이 30% 이상인 비만 지적장애 성인여성들을 대상으로 노르딕워킹의 신체조성과 체력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1명의 대상자들을 실험군(12명)과 통제군(9명)으로 무작위 할당하여 구분한 후 12주 동안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군은 주 2회의 노르딕워킹 프로그램에 참여하였으며, 통제군은 비교적 비활동적인 일상생활을 하게 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었다. 신체조성에서 근육량과 체지방률이 실험집단에서 프로그램 참여 후에 유의한 개선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체력요인의 변화에서 있어서는 근력과 평형성, 협응력이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볼 때, 노르딕워킹 프로그램은 비만 지적장애 성인여성의 신체조성 변화와 체력 증진에 대체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일부 요인에 대해서는 대상자의 특성이나 프로그램의 목표를 고려하여 운동 빈도와 운동 강도, 운동 내용 등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워킹 훈련방법에 따른 복부 중심근육 활성도와 근 두께 변화 비교 (Comparison of Core Muscle Activity and Thickness According to Walking Training Method)

  • 이현주;김영태;이성주;김민석;김신회;태기식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301-308
    • /
    • 2015
  • 본 연구는 정상 성인 20명을 대상으로 복부 안정화에 영향을 미치는 노르딕 워킹과 파워 워킹을 2주간 집중 시행한 후, 복부중심 근육(배속빗근, 배바깥빗근, 배가로근)의 활성도 및 두께, 그리고 복부 피하지방의 두께 변화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근전도를 이용한 배속빗근과 배바깥빗근의 근활성값은 노르딕 워킹과 파워 워킹군 모두에서 훈련 후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노르딕 워킹 훈련군의 경우 파워 워킹 훈련군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근활성도의 변화를 보였다. 초음파를 이용한 배가로근과 배속빗근, 배바깥빗근의 두께는 노르딕 워킹 훈련군과 파워 워킹 훈련군 모두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으나 군간 변화 차이는 없었다. 노르딕 워킹은 스틱을 이용하여 균형 안정감을 제공하며 상지와 하지의 큰 움직임을 통해 복부 안정화를 유도하는 효과적인 훈련방법으로써 다양한 재활운동의 형태로 적용하기에 유용할 것으로 여겨진다.

  • PDF

노르딕 워킹이 퇴행성 무릎 관절염 노인여성의 근력과 유연성, 균형 및 통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ordic Walking Exercise on muscular strength, Flexibility, Balance and Pain in Older Woman with Knee Osteoarthritis)

  • 오유성;김지선;장우성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1312-1326
    • /
    • 2019
  • 본 연구는 퇴행성 무릎 관절염을 가진 노인여성을 대상으로 12주간의 노르딕 워킹을 통해 신체 기능과 관절염 통증 정도의 개선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퇴행성관절염으로 진단받은 노인여성 16명(나이: 73.00±3.70year, 신장: 154.30±4.07cm)을 대상으로 무선배정 된 노르딕 워킹 운동그룹(n=9)과 통제그룹(n=7)으로 나누었다. 운동 그룹은 노르딕 스틱을 이용하여 12주간 주 3회, 1회 30분 노르딕 워킹 운동을 실시하였고, 운동 강도는 HRR의 40-60%로 설정하였다. 통제그룹은 동일한 기간 동안 일상생활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종속변인으로 신체조성(체중, 체지방률, 근골격량)과 근력 과 유연성(상·하지 근력, 상·하지 유연성), 균형능력(정적균형, 동적균형) 및 통증정도를 측정하였다. 이러한 지표들의 측정은 운동프로그램을 진행하기 전과 후로 나누어 2번 측정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PC version 25.0을 이용하여 실험집단과 통계집단간의 생리학적 특성 비교를 위해 독립표본 t-test를 사용하였으며, 노르딕 워킹 운동그룹과 통제그룹의 그룹 간, 시기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2×2 반복측정 이원배치분산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12주간의 노르딕 워킹을 통해 신체조성 기능에서 체지방률은 운동 처치 후에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났으며(p=.004), 집단 간과 시기 간의 상호작용에서도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났다(p=.003). 골격근량은 운동처치 후에 증가하는 결과가 나타났으며(p=.018), 집단 간과 시기 간의 상호작용에서도 증가하는 결과가 나타났다(p=.005). 둘째, 근력과 유연성은 상지근력과 하지유연성에서 집단 간과 시기 간 상호작용에서 증가하는 결과가 나타났으며(p=.009)(p=036), 하지근력에서는 운동집단과 통제집단 간 개선효과가 나타났다(p=.006). 또한, 상지유연성은 운동처치 후에 증가하는 결과가 나타났다(p=.020). 셋째, 균형능력 요인은 정적균형에서 운동처치 후 개선 효과가 나타났으며(p=.016), 동적균형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넷째, 통증정도는 운동처치 후 개선 효과가 나타났으며(p=.022), 운동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개선 효과도 나타났다(p=.013). 결론적으로 12주간의 노르딕 워킹은 퇴행성 무릎 관절염을 가진 노인여성의 신체조성과 근력과 유연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노르딕 워킹은 퇴행성 무릎 관절염을 가진 노인여성에게 신체조성과 안정성, 균형성을 높여 주였으며, 무릎 관절의 통증을 낮춰주어 재활 운동 기능 개선에 효과적인 운동방법이라고 사료된다.

노르딕 워킹이 앞정강근 피로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ORDIC WALKING ON TIBIALIS ANTERIOR MUSCLE FATIGUE)

  • 강양훈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26권2호
    • /
    • pp.62-67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ibialis anterior muscle fatigue through a Nordic walking when using pole. Methods: This study subject was 38 people who were twenties and randomly assigned to a control group with standard walking and Nordic walking group with Nordic walking. All subjects examined muscle fatigue with surface EMG and visual analogue scale for fatigue.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window 18.0 program using ANCOVA. Results: The results were of a significant changes to the both tibialis anterior fatigue(p<0.01). The visual fatigue scales weren't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Dool-re-gil (Mt. Ji-Ri) was effective for muscle fatigue during walking, and it appears that it could be used clinically. So it is anticipated that improvement in clinical utilization for the people who's through a Nordic walking when using pole.

노르딕 워킹 운동 프로그램이 중년 농촌주민의 신체지표와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Nordic Walking Exercise on Physical Indicators and Subjective Happiness of the Middle-aged in Rural Area)

  • 이찬미;박영숙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65-75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regular Nordic walking exercise on the physical indicators and subjective happiness of middle-aged rural residents. Methods: A pretest and posttest design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was conducted. The participants of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were each 21 subjects from 40 to 64 years old. The Nordic walking exercise program consisted of 24 sessions which were focused on group exercise, and was conducted three times a week for eight weeks.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decreases in body mass index (p=.042), body fat (p<.001), and abdominal fat (p=.026).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ncreases in muscle mass of right lower limb (p=.009) and left lower limb (p=.016) bu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right, left upper limbs and body.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group showed significant decreases in muscle mass of right upper limb (p=.034), left upper limb (p=.038), and body (p=.034).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ystolic blood pressure, diastolic blood pressure, and subjective happines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Nordic walking exercise should be actively encouraged to improve health of the middle-aged in rural area.

노르딕 워킹과 일반 보행의 효율성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Nordic Walking and Normal Gait Based on Efficiency)

  • 김로빈;조준행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65-372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changes in kinematic and kinetic parameters and to find biomechanical benefits of Nordic Walking and normal gait performed under the same velocity. Nine participants(age: $26.73{\pm}3.28$ year, height: $182.45{\pm}4.62\;cm$, weight: $76.59{\pm}6.84\;kg$) was chosen. The velocity of gait was set by 5.75 km/h which was made by a Nordic Walking professional. The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VICON with 8 cameras to analyze kinematic variables with 200 Hz and force platform to analyze kinetic variables with 2000 Hz.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hen compared with Normal gait, Nordic Walking group showed decreased Plantarflexion angle and ROM. Second, Nordic Walking group showed decreased knee flexion angle and ROM. Third, Nordic Walking group showed increased hip joint movement. Fourth, Nordic Walking group showed higher active GRF but decreased loading rate from delayed Peak Vertical GRF time and increased impulse. Fifth, Nordic Walking group showed longer ground contact time. Through this study, we found that Nordic Walking showed higher stability and efficiency during gait than normal gait and that Nordic Walking may help people who have walking difficulties.

노르딕워킹의 속도에 따른 하지 관절의 운동역학적인 분석 (Biomechanical Analysis of Lower Limbs on Speed of Nordic Walking)

  • 양대중;이용선;박승규;강정일;이준희;강양훈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83-390
    • /
    • 2011
  • In this study, 26 normal subjects were studied to compare the biomechanical Analysis of Lower Limbs on Speed of Nordic Walking. The biomechanical variables were determined by performing three-dimensional gait analysis, and the measurements items were spatial and temporal parameters; vertical ground reaction force; and moments of the hip, knee, and ankle joi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based on the speed of Nordic Walking to the vertical ground reaction force and joint moments of each were analyzed. Nordic Walking with poles while being whether this weight is reduced to load, not the improvement of muscle activity by identify Nordic walking is to allow efficien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follows. The spatial parameters of step length, stride length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increase in velocity(p<0.001). The temporal parameters of step time, stride time, the duration of double support use, and the duration of single support use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increase in velocity(p<0.001), but cadence significantly increased(p<0.01). Analysis of the changes in ground reaction force revealed that vertical ground reaction force significantly increased at the initial contact and the terminal stance and decreased at the mid stance with increase in velocity(p<0.001). Moments of the hip and knee joints significantly in creased with increase in velocity whereas that of the ankle joint did not. Gait analysis revealed that weight-bearing decreased and moments of the hip and knee joints increased with increase in velocity(p<0.01).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help people perform Nordic walking efficiently and Nordic walking can be used in the gait training of people with an abnormal g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