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노력성취

검색결과 235건 처리시간 0.025초

학습노력, 태도 및 성취목표가 수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영향에 대한 종단연구: 초·중학생을 대상으로 (A Longitudinal Study on the Influence of Learning Effort, Attitude, and Achievement Goal on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 김용석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4권1호
    • /
    • pp.1-20
    • /
    • 2021
  • 수학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끊임없이 변화하면서 수학 학업성취도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에 그 성장을 예측하고 분석할 수 있는 종단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서울교육종단연구의 2011년도(초등학교 5학년)부터 2014년(중학교 2학년)까지 학생들에 대한 종단자료를 활용하여 수학 학업성취도의 종단적인 변화양상이 유사한 그룹으로 분류하여 그룹별 학습노력과 학습태도, 성취목표의 직·간접적인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1그룹(2277명, 67.7%)의 수학 학업성취도에는 학습노력과 학습태도가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3그룹(958명, 28.5%)의 수학 학업성취도에는 학습태도가 직접적인 영향, 학습노력은 학습태도를 매개로 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그룹(127명, 3.8%)의 수학 학업성취도에는 학습태도와 학습노력, 성취목표 모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차별경험이 2차 베이비붐 세대의 자원봉사참여에 미치는 영향: 기회평등과 노력성취에 대한 인지적 평가를 중심으로 (Experienced Discrimination and Volunteering among the Second Baby Boom Generation - The Mediating Roles of Perceived Equal Opportunity and Achievement by Personal Merit)

  • 윤예인;이현민;김욱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205-222
    • /
    • 2019
  • 이 연구에서는 차별경험과 2차 베이비붐 세대의 자발적 시민참여활동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2차 베이비붐 세대가 겪는 차별경험이 기회평등과 노력성취에 대한 부정적 평가를 매개로 자원봉사참여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점검하였다. 분석자료는 동그라미 재단의 "2016년 한국사회 기회불평등에 대한 조사"에서 확보하였다. 분석대상은 설문조사 당시 만 42세부터 만 48세였던 2차 베이비부머 474명으로 제한하였다. 모형검증 결과, 차별경험은 기회평등과 노력성취에 대한 인지적 평가를 매개로 2차 베이비붐 세대의 자원봉사참여수준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2차 베이비붐 세대의 자원봉사활동을 진흥할 수 있는 정책방안들을 제시하였다.

무용전공대학생의 무용사회화 주관자와 무용개입 및 무용성취노력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Dance Accomplishment Effort and Intervention, Dance Socialization Agent Dance Major College Student)

  • 백순기;김현태
    • 산업융합연구
    • /
    • 제19권3호
    • /
    • pp.107-116
    • /
    • 2021
  • 본 연구는 무용전공대학생의 무용사회화 주관자, 무용개입, 무용노력 변수간의 관계를 분석·규명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도 소재 무용전공 대학생으로 하였으며 유의표집방법을 이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사회화 주관자는 무용개입에 영향을 미친다. 둘째, 무용사회화 주관자는 무용성취노력에 영향을 미친다. 셋째, 무용개입은 무용성취노력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무용인들의 적극적인 노력을 통해 세월이 흘러 후손들에게 전해줄 수 있는 문화유산을 위해서 국가적 차원의 지원을 비롯해 산·학을 연계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마련이 뒤따라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액션러닝 학습자의 학습목표 특성에 따른 설계 및 운영상의 시사점 (Implication of Action Learning Design and Management by Learning Goal Orientation)

  • 고은현;양성수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1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33-234
    • /
    • 2011
  • 액션러닝은 팀기반으로 실제의 문제를 해결하는 교수-학습방법이다. 최근 대학에서 액션러닝을 도입하여 대학의 현장적합성을 반영하고, 이론과 실제를 겸비한 교육으로의 변화를 추구하는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다. 그러나 학습자들이 강의식 수업 또는 다른 팀기반 학습에 비하여 많은 학습노력에 대한 부담감을 느끼고 있으며 교수자들이 이에 대한 수업의 불성실한 참여 및 불만족을 우려하고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학습자들의 성취목표지향성이 학습과정의 개인 노력과 팀노력 그리고 결과만족을 설명할 수 있을 것이라 보고 이들의 관계를 탐색하였다. 분석 결과 숙달접근의 학습자들은 학습노력을 많이 기울이며 결과에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피접근보다는 수행접근의 학습자들이 학습 노력을 많이 기울이며 학습결과도 만족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따라서 액션러닝을 설계하고 운영할 때, 수업방법의 의미와 학습노력 및 결과에 대한 의미부여와 공감을 충분히 하여 숙달접근이 아닌 다른 성취 목표지향성을 보이는 학습자들을 독려할 수 있어야 하겠다.

  • PDF

시·도교육청에 의한 일반계고 학업성취도의 동태적 변화 예측에 관한 탐색적 연구: 시스템 다이내믹스의 적용 (A Exploratory Study on the Impact of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on Dynamic Change of Academic Achievement in General High School: Applying System Dynamics)

  • 하정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387-396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단위학교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시·도교육청의 변인을 확인하고, 시·도교육청 지원에 따라 학업성취도가 동태적으로 어떻게 변화하는지 예측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6개 시·도교육청 총 606개 일반계고의 국가 수준학업성취도(국어·영어·수학 교과의 보통학력 이상 도달 비율) 결과를 다층모형과 시스템 다이내믹스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시·도교육청 수준의 지방교육재정 효율화 노력과 교원행정업무 경감 노력, 교원연수 활성화 노력이 단위학교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시·도교육청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정책 실험을 통해 단위학교 학업성취도의 동태적 변화를 예측한 결과, 교원연수 활성화 노력이 단위학교 학업성취도의 가장 큰 영향 요인으로 확인되었고, 지방교육재정 효율화 노력, 교원 행정업무 경감 노력 순이었다. 단위학교 학업성취도의 향상을 위해 시·도교육청의 기능은 교육 책무성에 기반을 두어야 하며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보다 강화된 정책을 수립·운영할 필요가 있다.

방한외국인의 항공사 선택속성 중요도-성취도 분석 (Research on Airline Selection Attributes by IPA among Foreign Tourists Visiting Korea)

  • 오선미;고선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466-477
    • /
    • 2014
  • 본 연구는 방한 관광객을 대상으로 항공사 선택속성에 대한 중요도 및 성취도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에 방한 일본인과 중국인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였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는 속성과 각 선택 속성들 간의 순위를 살펴보았다. 또한 요인분석을 통하여 운송 서비스, 부대 서비스, 기내 서비스, 기본 서비스의 4가지 요인을 도출하였으며,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기법을 이용하여 집중 영역, 유지 영역, 저순위 영역, 과잉노력 지양 영역의 항목들을 도출하였다. 항공사 선택속성에 대한 IP분석 결과 가장 노력하고 집중해야 할 I사분면, 집중영역은 의사소통의 편리함, 기내 승무원 친절도, 선호좌석 배정 등으로 나타났다. II사분면 유지영역은 중요도와 성취도가 모두 높은 영역으로 항공편 스케줄, 정확한 수하물 처리, 상용고객 우대제도, 탑승 라운지, 제휴서비스, 항공사 이미지, 기내방송 등으로 나타났다. III사분면 저순위 영역은 중요도와 성취도 모두 낮은 영역으로 노선 다양성, 승무원 유니폼, 항공 요금, 기내식 맛과 질 등으로 나타났다. IV사분면 과잉노력 지양 영역으로 중요도는 낮으나 성취도가 높은 영역으로 이에 해당하는 속성은 신속한 탑승수속, 좌석의 편안함, 항공기 기종과 연식으로 나타났다.

자주국방과 통일의지

  • 박갑수
    • 국방과기술
    • /
    • 2호통권180호
    • /
    • pp.10-15
    • /
    • 1994
  • 우리들은 독일이나 예멘의 통일보다 더욱 모범적으로 통일을 성취할수 있도록 조용하게 통일의지를 다지면서 안보의 질을 내실있게 높여나가 북한 스스로가 분쟁과 갈등의 평화적 해결을 위해 앞장서 노력하도록 국력과 통일역량을 신장시키는데 가일층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 PDF

기회 불평등에 대한 국민 인식태도의 인과 분석 (Causual Analysis of Public Perception on Opportunity Inequality)

  • 이병훈
    • 한국사회정책
    • /
    • 제24권2호
    • /
    • pp.157-179
    • /
    • 2017
  • 우리 사회에서는 언론이나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금수저-흙수저"로 구분되는 수저계급론이 크게 부각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계층적 신분구조가 고착화되고 있다는 대중적 담론이 널리 확산되고 있다. 2000년대 말 이후 객관적인 소득분배구조의 일정한 개선이 이뤄짐에도 불구하고 국민들의 주관적 인식에 있어 오히려 계층이동/세습이나 사회공정성에 대해 부정적인 여론이 날로 확대되고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 "기회불평등의 인식조사" 자료를 활용한 실증분석을 통해 사회경제적 기회불공평, 기회불평등의 심각성 그리고 노력성취에 대한 주관적 인식에 있어서 전반적으로 부정적 평가가 내려지고 있으며, 특히 주관적인 계층지위에 따라 그 부정적 평가의 정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사회경제적 성취기회 불공평, 기회불평등 심각성 그리고 노력성취의 주관적 인식에 대한 회귀분석을 통해서는 부모세대와 본인세대의 계층지위(-), 차별 불이익 경험(+), 연령(-), 대학 대학원의 고학력(+)이 일관되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부연하면, 15세 성장기(부모세대)와 조사시점의 주관적 계층지위가 낮을수록, 차별 불이익의 경험을 가질수록, 젊은 연령층일수록, 그리고 대학 이상의 고학력자일수록 우리 사회의 기회불평등에 대해 부정적이거나 비관적인 인식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아울러, 사회경제적 성취기회의 불공평과 기회불평등의 심각성에 대해서는 실업자 및 비정규직 또는 비경제활동이 높은 부정적 인식태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으며, 기회불평등의 심각성과 노력성취에 대해 중위소득 가구 및 상위소득 가구가 부정적인 인식태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생의 학업성취만족도와 학업열의 사이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Grit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satisfac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Academic Engagement)

  • 권은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2호
    • /
    • pp.225-230
    • /
    • 2021
  • 본 연구는 중학생의 학업성취만족도와 학업열의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한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 창원시 소재의 중학생 575명을 대상으로 학업성취만족도, 학업열의, 그릿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분석은 주요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그릿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Baron&Kenny의 분석절차에 따라 회귀분석을 실시하고, 매개효과의 유의성은 Sobel test로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상관분석 결과 학업성취만족도와 그릿 및 학업열의는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둘째, 회귀분석 결과 학업성취만족도와 학업열의사이에서 흥미유지와 노력지속은 모두 부분매개하였다. 이는 학업성취만족도가 중학생의 학업열의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릿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이 있음을 의미한다. 끝으로 중학생의 학업열의를 높이기 위해 학업과 관련된 흥미를 향상시키는 교육 및 상담방안과 다양한 학습동기향상프로그램 개발 등 학습상담의 방안을 논의하였다.

중학생의 학업성취만족도와 학업무기력의 관계에서 Grit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satisfaction and Academic Helpless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 권은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0호
    • /
    • pp.247-252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학업성취만족도와 학업무기력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 창원시 소재의 중학생 575명을 대상으로 학업성취만족도, 학업무기력, 그릿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분석은 주요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그릿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고 Sobel test로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상관분석 결과 학업성취만족도와 그릿 및 학업무기력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둘째, 회귀분석 결과 학업성취만족도와 학업무기력사이에서 흥미유지와 노력지속은 모두 부분매개하였다. 이는 학업성취만족도가 중학생의 학업무기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릿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이 있음을 의미한다. 끝으로 중학생의 학업무기력을 줄이기 위한 자기분석프로그램과 환경조절프로그램 등의 학습상담의 방안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