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노동

Search Result 5,136,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Union Effects on Nonunion Wages: A Regional Panel Data Analysis for Korea (노동조합이 비조합원 임금에 미치는 영향: 지역 수준 분석)

  • Hwang, Sun-Oong
    • Korean Journal of Labor Studies
    • /
    • v.23 no.2
    • /
    • pp.79-108
    • /
    • 2017
  • Using data sets from the Korean Labour and Income Panel Study (KLIPS) for the period 2003-2015, this study shows that wages of nonunion workers are positively related to the percentage of unionized workers in the same geographic region. A 10 percentage point increase in a region's union density is associated with a 4.9 percent increase in the region's average wage of nonunion workers. It is also shown that this positive spillover effect is observed for various subgroups of nonunion workers, including women, youth, low-educated workers, small firm employees, and those employed under nonstandard work arrangements. In contrast, the average wage of union workers is found to respond insignificantly to changes in a region's union density.

Wage and Productivity (임금과 생산성)

  • Park, Ki Seong;Ahn, Joyup
    • Journal of Labour Economics
    • /
    • v.27 no.1
    • /
    • pp.165-179
    • /
    • 2004
  • While they compare the growth rate of wage with that of average labor productivity, we compare it with the growth rate of marginal labor productivity. After estimating the elasticity of substitution and technology level, we estimate the marginal labor productivity. Wages and marginal labor productivities are similar over 1963-2000. However, while wages come short of marginal labor productivities over 1963-1986, they exceed marginal labor productivities over 1987-2000. Although the growth rate of wage is not so different from that of marginal labor productivity, it can be disparate from that of average labor productivity. Therefore the former exceeding the latter does not mean the excessive wage growth off the labor demand curve.

  • PDF

Labor Demand in Korea: A Survey (한국의 노동수요 : 문헌 연구)

  • NAM, SUNG IL
    • Journal of Labour Economics
    • /
    • v.36 no.1
    • /
    • pp.1-44
    • /
    • 2013
  • This paper surveys the existing literatures on labor demand of Korea. It has been found that labor and capital are substitutes in Korea and the result holds even if labor is decomposed into white collar and blue collar workers. The elasticity of substitution lies between 0 and 1. It is yet unclear if employment and work hours are substitutes. The reduction of legal work week did not increase employment although decreased work hours. The labor demand elasticity is below 0.5 in the short run. Since mid 1990s, the technological change has shown skill bias and therefore increased demand for skilled labor.

  • PDF

비정규직 문제와 노동계급 계급균열: 비정규직 문제를 둘러싼 정규직·비정규직 의식 비교

  • Jo, Don-Mun
    • Korean Journal of Labor Studies
    • /
    • v.14 no.2
    • /
    • pp.169-200
    • /
    • 2008
  • 노동계급은 다양한 형태의 내적 이질성을 지니고 있으며, 신자유주의 경제정책과 구조조정 과정에서 고용형태에 따른 이질성은 계급균열로 발달하며 노동계급 내적 이질성 논의의 핵심을 구성하게 되었다. 국내의 선행 연구들도 정규직과 비정규직 사이의 물질적 존재조건의 양극화 추세와 사회적 관계의 위계적 배제적 성격을 확인해 주고 있다. 하지만 정규직과 비정규직 사이의 계급균열이 극복되고 노동계급의 내적 통합과 계급형성 과정을 이룰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로 발전하지는 못했다. 본 연구는 계급균열의 극복과 노동계급 통합의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계급균열의 핵심인 비정규직 노동자 문제를 둘러싼 정규직 비정규직의 의식 수준의 비교연구를 실시한다. 본 연구는 민주노총 공공운수연맹 노동조합원들에 대한 설문조사와 심층면접 연구를 통해 계급균열의 존재를 확인하고 그 원인과 의미를 분석하였다. 첫째, 정규직과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비정규직 문제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고 있지만 구체적 해결책에 대해서는 입장 차이를 보임으로써 고용형태에 따른 계급균열은 존재하며, 경제위기 이후에도 해소되지 않고 고착화되고 있음을 확인시켜 주었다. 둘째, 고용형태에 따른 계급내적 균열이 비정규직 문제 인식과 추상적 원칙 수준에서는 유의미한 의식 차이를 보이지 않지만 비정규직 문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 해결책에 대해 유의미한 입장 차이를 보이는 것은 정규직과 비정규직 사이의 물질적 이해관계의 차이 때문이다. 정규직 노동자들은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고용안정성과 노동조건의 개선을 허용하더라도 자신들의 이해관계가 위협받지 않는 수준에서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는 것이다. 셋째, 정규직 노동자들이 추상적 원칙 수준에서는 비정규직 노동자들과 동질성을 보이지만 구체적 대안에서 차별성을 보이는 것은 정규직 노동자들의 의식의 양면성을 표현하는 것이며, 물질적 이해관계에 기초한 개인적 수준의 합리성과 계급적 원칙에 기초한 계급적 수준의 합리성이 갈등하고 있는 것이다. 넷째, 정규직 노동자들의 주관성 속에서 개인적 합리성과 계급적 합리성이 갈등하는 정도는 노동조합 가입 여부 및 소속 노동조합의 정체성, 즉 이익집단 정체성 혹은 계급조직 정체성에 의해 결정된다. 여기에 계급조직 정체성을 지닌 민주노조들이 노동계급 계급균열을 극복하고 계급형성을 이루는데 기여할 수 있다는 실천적 함의가 있다.

Estimating Labor Supply Elasticity in Korea (노동공급 탄력성 추정)

  • Moon, Weh-Sol;Song, SungJu
    • Journal of Labour Economics
    • /
    • v.39 no.2
    • /
    • pp.35-51
    • /
    • 2016
  • Using the 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KLIPS) from 2000 to 2008, we estimate the Frisch elasticity of labor supply. Our point estimates of the intensive margin elasticity are around 0.23. The estimates are not sensitive to changes in household income and assets as well as changes in workweek regulation during the sample period that workers shall work for 5 days per week from Monday to Friday. We also estimate the extensive margin elasticity by considering labor market participation. We find that the point estimates at the extensive margin are greater than those at the intensive margin, but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 PDF

Labor Union and Labor Demand Elasticity: An Empirical Study on Unionized and Nonunionized Firms (노동조합과 노동수요탄력성: 노조기업과 비노조기업에 대한 실증분석)

  • Nam, Sung Il
    • Journal of Labour Economics
    • /
    • v.34 no.3
    • /
    • pp.1-28
    • /
    • 2011
  • This paper empirically tests the theory that labor demand elasticity of unionized firms would be smaller than that of nonunionized firms, using the Korean firms' panel data for 1990-2009. The major findings are the following: First, the estimates of labor demand elasticity of unionized firms are in the range of 0.34-0.49, less than a half of those of nonunionized firms, hence supporting the theory. Second, the unionized firms are more rigid in dynamic adjustment of employment than nonunionized firms. Finally,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unionized and nonunionized firms in the elasticity of substitution.

  • PDF

A Model on Enhancing Labor Market Flexibility (노동시장 유연성 제고 모형)

  • Park, Dong Un
    • Journal of Labour Economics
    • /
    • v.27 no.2
    • /
    • pp.117-138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how a model on enhancing labor market flexibility and to compare labor market flexibility, considering that the model on labor market flexibility, universally acceptable, are not found. The writer classified the scope of labor market flexibility into three parts such as indirect adjustment, direct adjustment and policy adjustment. The writer further classified the contents of labor market flexibility into eleven sub-parts. This kind of classification regarding labor market flexibility is unique and comprehensive. Based on this classification, the writer measured the degree of labor market flexibility of four countries such as USA, Japan, Germany, and Korea.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ranks of labor market flexibility are USA, Japan, Korea, Germany.

  • PDF

노동자 문화정치와 파업: 방법론적 검토

  • Sin, Byeong-Hyeon
    • Korean Journal of Labor Studies
    • /
    • v.14 no.2
    • /
    • pp.201-229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노동자문화정치의 관점에서 파업을 새롭게 정의하고, 파업을 비롯한 노동자 문화실천의 정치적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방법론적 요소들을 검토하였다. 여기서 파업은 참여주체들의 다양한 사고와 합리성들을 중심으로 형성되고 확장되는 내재적인 정치의 장인 동시에, 다양한 기표적 실천들이 전개되는 문화정치의 장으로 정의되었다. 파업의 발생과 전개의 각 과정과 국면에 대한 문화정치적 분석 요소로서 장소성, 공간, 시간, 정서, 기호자원, 담론이 고려되었고, 이 요소들에 초점을 두고 민주노조 파업에서 드러나는 문화정치적 제약들을 H사 노조 사례를 통해 검토하였다. 문화정치적 제약들은 노동자 문화의 생산과 수용에서의 제약으로 드러난다. 노동자문화 관련 텍스트들의 분석과 조사 자료를 통해서 볼 때, 그것들은 첫째로 노동자 문화 활동가들의 생산 실천 상의 제약과 관련있고, 둘째로, 노동자 대중의 노동자 문화 수용 혹은 소비에서의 도구성과 시 공간 상의 제약과 관련있는 것을 확인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제약들이 70년대 이후에서 90년대 전반에 이르는 시기와는 달리, 현 시기 노동운동의 문화적 자원들이 신기술과 사회문화적 변화에 걸맞게 변화 확장되지 못하고 오히려 축소된 데 기인한다고 추론하였다. 따라서 지속적인 운동의 조건과 기반을 능동적으로 조성하기 위해서는, 파업을 비롯한 노동자 문화의 생산과 수용 전반에 걸쳐서 작용하는 재현체계 상의 제약, 특히 기호자원의 한계라는 근본적인 제약을 넘어서기 위한 노동자 문화정치의 필요성이 제안되었으며, 문화실천에 몸담고 있는 문화활동가나 노조활동가들이 파업과 일상 활동 속에서 문화정치적 주제들을 찾아 이론화하고 정책에 반영하는 문화활동 방안이 제안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