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네트워크 지연시간

Search Result 1,213, Processing Time 0.054 seconds

An Analysis of Time Difference from Network Delay over UDP Network (UDP 환경에서 송수신 지연에 의한 시각오차 측정 및 분석)

  • 민충식;유동희;김영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10c
    • /
    • pp.511-513
    • /
    • 2000
  • 종단간 전송 지연은 시각 동기, 네트워크 성능 측정 등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나 IP에 기반하고 있는 Internet은 여러 통신망 상의 지연 요소를 정확히 전달할 수 있는 구조가 없기 때문에 종단간 전송에 있어 전송 지연을 정확하게 알 수 없다. 특히 UDP 네트워크의 경우 전송할 때와 수신할 때 경로가 같지 않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일주 지연 시간을 이용하지만 각 편도 전송 지연 시간 차이는 시스템의 다른 요소에 대해서 오류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일주 지연 시간을 전송시 지연 시간과 수신시 지연 시간으로 따로 측정 분석하였다. 측정 결과 편도 전송 지연 시간 차이 값은 수십 밀리초 범위를 가지며 이는 NTP 등에서 시각을 동기화 할 때 통상적인 정확도, 수 밀리초를 훨씬 넘어선다. 이것은 편도 지연 시간 차이값이 시각 동기, 네트워크 성능 평가 등에서 중요한 오류값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분석 결과를 실험 데이터에 적용할 경우 실제 편도 지연 시간에 근사한 값을 구할 수 있고 좀더 정확한 시각 동기, 네트워크 성능 평가가 가능하게 된다.

  • PDF

A Method to reduce transaction endorsement time based on network latency in Hyperledger Fabric (하이퍼레저 패브릭에서 네트워크 지연 시간 기반 트랜잭션 보증 시간 감소 방법)

  • Kim, Ji-Yong;Kwon, Jae-Hwan;Jang, Sung-Il;Kim, Young-Kook;Son, Min-Ji;Kim, Myu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7a
    • /
    • pp.41-44
    • /
    • 2020
  • 최근 허가형 블록체인 기반 프로젝트가 늘어남에 따라, 블록체인 솔루션과 여러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플랫폼인 하이퍼레저 패브릭을 도입하는 회사들이 많아지고 있다. 그러나 하이퍼레저 패브릭 네트워크 구성 시, 각 구성요소의 네트워크 지연 시간을 고려하지 않고 네트워크를 구성하면 트랜잭션 보증 시간이 늘어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하이퍼레저 패브릭 네트워크에서 각 구성요소 간 네트워크 지연 시간 차이를 고려하여 트랜잭션 보증 시간을 줄이는 방법을 제안한다. 라우팅 테이블을 수정하여 네트워크 지연 시간 차이를 발생시켰고, 지연 시간과 트랜잭션 보증 시 걸리는 시간을 합산하여 트랜잭션 보증 시간을 측정하였다. 실험을 통해, 기존 방법의 트랜잭션 보증 시간보다 제안한 방법의 트랜잭션 보증 시간이 약 1/3 정도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An Analysis of Network Latency on Datacenters (데이터센터 네트워크의 지연시간 분석)

  • Oh, Sanghoon;Shim, Jaekyun;Lee, Sukhan;Ahn, Jung 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04a
    • /
    • pp.6-9
    • /
    • 2015
  • 유무선 네트워크 기술의 급격한 발전 및 개인용 휴대 장치의 보급 증가와 그에 맞물린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등의 활성화로 인해 데이터의 전송량이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향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데이터센터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확장 및 유지보수가 쉬우면서도 높은 성능을 갖는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센터 네트워크의 구성요소를 분석하고 각각의 지연시간을 알아보았으며, 그 중 확장 및 유지보수가 쉬우나 상대적으로 지연시간이 높은 이더넷을 데이터센터에 적용하였을 때 지연시간 개선을 위한 방법으로 Intel DPDK를 적용할 경우, 미적용시와 비교하여 약 86%의 지연시간 감소를 확인하였고, 추가 향상 방안을 조망하였다.

A Broadcast Tree Construction Algorithm for Minimizing Latency in Multi-Rate Wireless Mesh Networks (다중 전송률을 지원하는 무선 메쉬 네트워크에서 지연시간 최소화를 위한 브로드캐스트 트리 생성 알고리즘)

  • Kim, Nam-Hee;Park, Sook-Young;Lee, Sang-Kyu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7.11a
    • /
    • pp.928-931
    • /
    • 2007
  • 다중 전송률을 지원하는 무선 메쉬 네트워크에서 노드는 전송률 조절을 함으로써 링크의 전송범위를 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다중 전송률 무선 메쉬 네트워크에서의 브로드캐스트 알고리즘인 WCDS 에서는 브로드캐스트 트리 생성시 고려하는 노드가 같은 비교 값을 가졌을 때 임의로 노드를 선택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보완하여 소스노드로부터의 지연시간을 고려하여 전체 지연시간 최소화를 위한 브로드캐스트 알고리즘인 MinLink_WCDS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802.11 파라미터를 기본으로 한 다중 전송률 무선 메쉬 네트워크에서 MinLink_WCDS 알고리즘과 기존에 제안된 알고리즘들과의 지연시간 결과를 비교하여 브로드캐스트 지연시간이 향상된 것을 보여준다.

  • PDF

Energy-aware Selective Compression Scheme for Solar-powered Wireless Sensor Networks (태양 에너지 기반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위한 에너지 적응형 선택적 압축 기법)

  • Kang, Min Jae;Jeong, Semi;Noh, Dong Kun
    • Journal of KIISE
    • /
    • v.42 no.12
    • /
    • pp.1495-1502
    • /
    • 2015
  • Data compression involves a trade-off between delay time and data size. Greater delay times require smaller data sizes and vice versa.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performed in the field of wireless sensor networks on increasing network life cycle durations by reducing data size to minimize energy consumption; however, reductions in data size result in increases of delay time due to the added processing time required for data compression. Meanwhile, as energy generation occurs periodically in solar energy-based wireless sensor networks, redundant energy is often generated in amounts sufficient to run a node. In this study, this excess energy is used to reduce the delay time between nodes in a sensor network consisting of solar energy-based nodes. The energy threshold value is determined by a formula based on the residual energy and charging speed. Nodes with residual energy below the threshold transfer data compressed to reduce energy consumption, and nodes with residual energy above the threshold transfer data without compression to reduce the delay time between nodes. Simulation based performance verifications show that the technique proposed in this study exhibits optimal performance in terms of both energy and delay time compared with traditional methods.

Network-adaptive Control of Object Stiffness for Networked Haptic Collaboration System (네트워크 기반 햅틱 협업 시스템의 네트워크 적응적 물체 강도 조절 기법)

  • Son, Seok-Ho;Lee, Seok-Hee;Kim, Jong-Wo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a
    • /
    • pp.76-82
    • /
    • 2007
  • 햅틱 협업을 위한 네트워크는 기본적으로 지연, 지터, 손실의 제약을 가진다. 햅틱은 정보의 속도에 민감하므로 네트워크 환경에서 협업을 이루어내기에 많은 제약이 있다. 특히 협업의 품질을 감소시키는 네트워크 지연을 보상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물체의 좌표 전송을 기반으로 한 햅틱 협업이 높은 수준의 지연시간을 지닌 네트워크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정의하고 그 원인을 파악하여 안정적인 협업을 유지하기 위하여 네트워크 지연 문제를 보상할 수 있는 기법을 제시한다. 네트워크 지연에 의해서 물체를 밀 때 더 많은 힘을 사용되는 현상과 클라이언트들이 물체를 들어올릴 때 물체가 진동하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물체의 강도를 변경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지연 시간의 수준이 증가하여도 지연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함과 동시에 최대한 원래 물체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클라이언트가 물체에 발생시키고자 하는 힘과 서버에서 물체에 발생시키는 힘을 같도록 만드는 수식을 유도한다. 이 수식을 이용하여 지연의 크기에 관계없이 클라이언트가 물체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지연 보상 기법을 통해 햅틱 미디어의 품질을 유지하면서 지연에 의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을 제시하며, 실제 실험을 통하여 결과를 확인한다.

  • PDF

Fuzzy Controller for Intelligent Networked Control System with Neutral Type of Time-delay (뉴트럴 타입 시간 지연을 갖는 지능형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의 퍼지 제어기 설계)

  • Joo, Young-Hoo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19 no.2
    • /
    • pp.174-179
    • /
    • 2009
  • We consider the stabilization problem for a class of networked control systems with neutral type of time delays. The neutral type of time-delays occur in controller-to-actuator and sensor-to-controller. The Takagi-Sugeno (T-S) fuzzy model is employed to represent a nonlinear system with neutral type of time-delays. The stabilization via state-feedback is first addressed, and delay-range-dependent stabilization conditions are proposed in terms of linear matrix inequalities (LMIs). Finally, an application example will be given to show the merits and design a procedure of the proposed approach.

Time Delay Prediction of Networked Control Systems using Cascade Structures of Fuzzy Neural Networks (종속형 퍼지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의 시간 지연 예측)

  • Lee, Cheol-Gyun;Han, Chang-Wook
    • Journal of IKEEE
    • /
    • v.23 no.3
    • /
    • pp.899-903
    • /
    • 2019
  • In networked control systems, time-varying delay of the transmitting signal is inevitable. If the transmission delay is longer than the fixed sampling time, the system will be unstable. To solve this problem, this paper proposes the method to predict the delay using logic-based fuzzy neural networks, and the predicted time delay will be used as a sampling time in the networked control system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 the delay data collected from the real system are used to train and test the logic-based fuzzy neural networks.

Network Congestion Control Through Adjustment of Data Transmission Time on Smart Grid Networks (스마트 그리드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송시간 조절을 통한 네트워크혼잡 개선 방법)

  • Park, Se-Young;Kim, Mi-Hu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2.01a
    • /
    • pp.217-218
    • /
    • 2012
  • 기기간(M2M, Machine-to-Machin) 통신의 한 응용으로서 스마트 그리드 네트워크는 다수의 기기 통신으로 인한 전송 데이터의 방대한 양을 대표적 특징으로 꼽을 수 있다. 이에 현재 사용가능한 통신 기술들을 그대로 사용할 경우, 병목현상 혹은 네트워크 혼잡 등 네트워크 장애 및 전송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스마트 그리드 네트워크의 상향 트래픽은 시간조절이 가능한 주기적 미터링 데이터와 지연민감한 이벤트 데이터로 나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각 트래픽 특성에 따라 트래픽양의 대다수를 이룰 미터링 데이터의 전송시간 조절을 이용한 혼잡제어 기법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지연민감한 이벤트 데이터의 지연시간 내 전송 보장 확률을 높이고, 트래픽을 분산시킴으로써 전송 효율을 높이고자 한다.

  • PDF

Multipath-based Routing Protocol with Load Balancing Function in Wireless Ad-hoc Network Environments (무선 ad-hoc 네트워크 환경에서 다중경로를 이용한 부하균형 라우팅 프로토콜)

  • 정수진;조현진;김문정;엄영익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c
    • /
    • pp.295-297
    • /
    • 2004
  • 무선 ad-hoc 네트워크란 기반 시설의 도움 없이 노드들 간의 수평적인 통신을 제공하는 임시적인 네트워크이다. 이러한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각 노드의 네트워크 창가 밀 이탈이 동적으로 가능하다. 현재 이러한 환경에서 높은 이동성을 지원하는 동시에 라우팅 오버헤드를 최소화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기존에 제안된 무선 ad-hoc 라우팅 프로토콜들은 부하균형 메커니즘을 지원하지 않으므로 특정 노드에 많은 부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종단 간 지연시간이 길어지며 네트워크의 신뢰성이 낮아질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각 노드가 자신의 부하를 측정하고, 경로 요청 시 노드의 부하 정보를 이용해서 부하가 적은 경로를 선택하도록 한다. 또한 데이터 전송 중에 해당 경로의 부하를 확인하여, 보조 경로를 이용하거나 새로운 경로를 검색하여 경로의 혼잡을 해결함으로써 종단 간 지연시간 및 네트워크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기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기법은 특정 노드에 라우팅 오버헤드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며 이로 인해 종단 간 지연시간을 줄이고 네트워크의 신뢰성 을 향상시킨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