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네트워크형

Search Result 3,547,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Survey on Disrupt-/Delay-Tolerant Networking in Vehicular Networks (차량네트워크에서 지연감내형 네트워킹 연구동향)

  • Jung, H.Y.;Jeong, J.H.;Choo, C.C.;Hong, Y.G.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32 no.4
    • /
    • pp.67-77
    • /
    • 2017
  •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자율주행차(Autonomous vehicle 또는 Self-driving car)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환경에서도 차량에 대한 끊김 없는 연결을 제공하는 커넥티드카(Connected car) 기술이 필수적이다. 현재 커넥티드카를 구현하기 위한 차량 네트워크(Vehicular network) 기술은 교통시스템 인프라 기반의 단일홉(Single-hop) 무선통신 기술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단일홉 통신은 커버리지가 교통시스템 인프라가 구축된 지역으로 제한된다. 따라서 차량 네트워크가 현재보다 더욱 넓은 지역을 커버하기 위해서는 차량 자체가 이동형 라우터 역할을 수행하여 차량 간의 전달을 통해 정보를 원거리로 전달할 수 있는 다중홉(Multi-hop) 통신 도입이 필요하다. 다중홉 차량 네트워크는 차량의 높은 동적 특성으로 인해 다수의 도전적인 기술적 이슈들을 가진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기술 이슈 중 차량 네트워크의 높은 이동성으로 발생할 수 있는 종단 노드 간 비연결성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인 지연감내형 차량 네트워킹(Delay-tolerant vehicular networking) 기술에 대한 주요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지연감내형 차량 네트워킹의 기술적 배경 및 주요 관련 기술들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향후 연구개발이 필요한 기술 이슈들을 정리한다.

A Study on Adaptive Multi-screen Service in Next Generation Smart TV System (차세대 스마트 TV 환경에서의 적응형 멀티스크린 서비스에 관한 연구)

  • Kim, Jae-Ho;Kim, Chang-Ki;Jeon, Ju-Il;Kim, Tae-Jung;Yoo, Jeong-J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3.06a
    • /
    • pp.36-39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차세대 스마트 TV 환경에서의 적응형 멀티스크린 서비스 시스템 구조를 제안하고, 이를 실제 스마트 TV 에 적용 가능하도록 프로토타입 시스템으로 구현한 결과를 보여준다. 제안 시스템은 적응형 콘텐츠 부호화 기술과 하이브리드 네트워크 전송 기술, 멀티스크린 서비스 발견 및 제어 기술을 포함하고 있다. 스마트 TV 를 중심으로 다양한 종류의 멀티스크린 장치가 연결되는 서비스 소비환경에 적응적인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서 H.264/SVC 기반의 다계층 비디오 부호화/복호화 기법을 적용하였다. 또한, 다계층 부호화된 콘텐츠를 방송망과 인터넷 등 이종 멀티네트워크를 이용해 동시에 전송함으로써, 전송 대역의 가용성을 확장하는 하이브리드 네트워크 기반의 미디어 전송 기술과 UPnP 기반의 사용자 중심 멀티스크린 서비스 발견 및 이동기술을 제안한다. 기존의 멀티스크린 서비스가 단말의 소비환경에 비 적응적이고, 홈 네트워크 환경 및 플랫폼 폐쇄적인 환경에서 제공되는 단방향 멀티스크린 서비스인 반면,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적응형 멀티스크린 서비스 시스템은 네트워크 및 단말의 소비환경에 적응적이고 효과적인 웹 기반의 양방향 멀티스크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 PDF

A Call Processi n g Method for the VoIP Wideband High Quality Speech Codec (VoIP 계층형 광대역 고품질 음성 코덱 협상 처리 기술 분석)

  • Kang, T.G.;Kim, D.Y.;Kim, Y.S.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19 no.5 s.89
    • /
    • pp.114-124
    • /
    • 2004
  • 유선 네트워크, 무선 이동통신 네트워크, 인터넷 등을 통합하는 유무선 통합 네트워크(BcN)에서는 VoIP기술을 사용하게 될 것이다. TTA 표준으로 2004년 7월에 제정된 VoIP 계층형 광대역 고품질 음성 코덱은 핵심계층에 G.711, G.723.1, G.729를 사용하므로 10종의 PT 를 설정하여 코덱을 협상한다. 이로 인하여 자기자신의 코덱 이외에도 G.711, G.723.1, G.729 등과 상호 호환이 되는 장점을 갖는다. 본 고는신규로 제정된 VoIP 계층형 광대역 고품질 음성 코덱을 네트워크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호 처리에 대한표준화를 추진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한 표준 기술을 설명하고, 코덱과 호처리 관계 및 표준화 기술을 근거로 한 코덱 협상 처리 기술을 설명한다. 코덱 협상 처리 기술로서 PSTN/MSC 연동 코덱 협상 방안과All IP 코덱 협상 방안으로 구분하였다. All IP 코덱 협상 방안에서는 발신, 착신, MGC, 착신서버에서 호환성을 위한 호 처리 기능을 제공한다. 본 고의 호 처리 기술을 적용하면, VoIP 계층형 광대역 고품질 음성코덱은 기존 네트워크 장치 기능을 수정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Trends of Encrypted Network Traffic Analysis Technologies for Network Anomaly Detection (네트워크 이상행위 탐지를 위한 암호트래픽 분석기술 동향)

  • Y.S. Choi;J.H. Yoo;K.J. Koo;D.S. Moon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38 no.5
    • /
    • pp.71-80
    • /
    • 2023
  • With the rapid advancement of the Internet, the use of encrypted traffic has surged in order to protect data during transmission. Simultaneously, network attacks have also begun to leverage encrypted traffic, leading to active research in the field of encrypted traffic analysi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raditional detection methods. In this paper, we provide an overview of the encrypted traffic analysis field, covering the analysis process, domains, models, evaluation methods, and research trends. Specifically, it focuses on the research trends in the field of anomaly detection in encrypted network traffic analysis. Furthermore, considerations for model development in encrypted traffic analysis are discussed, including traffic dataset composition, selection of traffic representation methods, creation of analysis models, and mitigation of AI model attacks. In the future, the volume of encrypted network traffic will continue to increase, particularly with a higher proportion of attack traffic utilizing encryption. Research on attack detection in such an environment must be consistently conducted to address these challenges.

Design Factors for the Ventilation System of a Networked Double-deck Tunnel (네트워크형 복층 터널 환기 시스템 설계 인자)

  • Park, Sang Hoon;Lee, Seung Jun;Park, Yo Han;Kim, Se Min;Roh, Jang Hoon;Yoo, Yong Ho;Kim, Jin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 /
    • v.26 no.1
    • /
    • pp.32-45
    • /
    • 2016
  • For effective utilization of downtown area, many studies about underground have been performed around the world, and double-deck tunnel have being operated in USA, Europe and China, etc. (A86 East Duplex in France, M30 tunnel project in Spain, SR-99 in seattle, USA, Yangtze river tunnel in China) In Korea, the research about network type double-deck tunnel in deep underground space is in progress to solve the traffic jam and secure the ground space. In this study, a number of factors required for double-deck tunnel in deep underground are analyzed through the existing ventilation design outline and unique ventilation design factors for network type double-deck tunnel are established by reviewing design cases of overseas double-deck tunnel.

Research Trends on Location Privacy Protection in VANET using Blockchain (블록체인을 적용한 VANET 의 위치 정보 보호에 대한 연구 동향)

  • Kang, Jeong-Hwan;Park, Seong-Hwan;Kwon, Dong-Hyun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21.05a
    • /
    • pp.117-120
    • /
    • 2021
  • 지능형 교통 시스템의 주요 인프라 중 하나인 VANET 은 차량과 인프라 간의 통신을 통해 교통을 예측함으로써 도로 상에서의 안전을 보장한다. VANET 은 모든 노드가 네트워크에 가입할 수 있는 개방형 네트워크이기 때문에 개인 정보 보호가 주된 관심사이다. 분산형 신뢰 관리 시스템은 차량 네트워크에서 수신된 메시지가 신뢰할 수 있는 지에 대한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악의적인 공격자로부터 차량을 지킬 수 있다. 분산형 k-익명성 체계와 블록체인을 결합한 신뢰 관리 시스템은 주변 차량들과 협력하여 익명의 은폐 영역을 구축한다. 본 논문에서는 블록체인을 적용한 분산형 신뢰 관리 시스템을 통해 차량의 위치 정보를 보호하는 최근 연구들을 살펴본 뒤에 향후 발전 방향에 대해 논하도록 하겠다.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Framework for Interworking between Heterogeneous Vehicle Networks for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지능형 교통시스템을 위한 이기종 차량 네트워크의 연동 프레임워크 설계 및 구현)

  • Yun, Sang-Du;Kim, Jin-Deo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4 no.4
    • /
    • pp.901-908
    • /
    • 2010
  • There are many kinds of networks in vehicle for their purposes. In-vehicle networks, however, are not unified to single network. The networks are composed of several local networks because of communication speed, cost and efficiency. Because the complexity of network design for communication increases, local networks need a framework for interworking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s. In this paper, a framework interworking between in-vehicle networks for ITS(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is proposed and implemented. The proposed framework consists of a compatible protocol, message conversion module, message transceiver module and message analysis module. The results obtained by implementation show that the framework efficiently supports the communication of information between heterogeneous in-vehicle networks.

무선 센서 네트워크

  • Lee, Su-Yong
    • ICROS
    • /
    • v.16 no.4
    • /
    • pp.22-27
    • /
    • 2010
  • 무선 센서 네트워크는 각종 센서에서 수집한 정보를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한 네트워크를 말한다. 통신 기술, 반도체 기술, 초소형 네트워크 디바이스 기술 등이 발전함에 따라 무선 센서 네트워크 기술이 매우 활성화 되고 있다. 이 기술은 홈 오토메이션, 생태 모니터링 등에 시험적으로 적용되고 있으며, 앞으로 사회기반시설 안전 감시, 산불 감시, 산업시설 감시 국방 등의 분야에서 널리 활용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