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네트워크형

검색결과 3,547건 처리시간 0.034초

멱함수 네트워크 특성을 이용한 랜덤확산형 웜의 동적 제어 (Dynamic Control of Random Constant Spreading Worm Using the Power-Law Network Characteristic)

  • 박두순;노병규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333-341
    • /
    • 2006
  • 최근의 웜은 CPU자원, 네트워크 대역폭등 주어진 자원을 최대한 소모하여 네트워크 전체 가용성을 심각히 저해하는 랜덤확산형(Random Constant Spreading) 웜이 점차 늘어나고 추세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웜의 화산을 동적으로 억제하기 위하여 선호적 성장 특성을 가지는 멱함수 네트워크를 분석한다. 그리고 이러한 네트워크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전달노드의 깊이분포 특성을 이용하여 랜덤확산형 웜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모델을 제안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각 노드의 부하가 최소화되면서 월 확산이 효과적으로 제어됨을 검증한다.

  • PDF

SNMP와 이동에이전트의 해석적 모델 및 성능 평가 (Analytical Models and Performance Evaluations of SNMP and Mobile Agent)

  • 이정우;윤완오;신광식;최상방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8권8B호
    • /
    • pp.716-729
    • /
    • 2003
  • 최근 인터넷, 인트라넷 등과 같은 네트워크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많은 네트워크 구성요소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네트워크 규모의 급속한 성장은 기존의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CMIP(Common Management Information Protocol) 등을 기반으로 한 클라이언트-서버(client-server) 관리 패러다임으로는 한계를 가진다. 따라서 네트워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 최근 분산형(distributed) 패러다임인 이동에이전트(Mobile Agent)를 네트워크 관리에 이용하려는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중앙 집중형의 SNMP, 분산형의 이동에이전트, 그리고 이들 두 접근 방법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이동에이전트의 한 형태인 혼합모드의 해석적 모델을 제안하고 그 성능을 비교 분석한다. 제안한 해석적 모델을 네트워크 응답 시간에 중점을 두어 성능 평가한 결과 LAN에서는 대체적으로 SNMP가 유리한 반면 WAN에서는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이동에이전트 또는 혼합모드가 더 좋은 응답 시간을 보임을 알 수 있다. 또한 해석적 방법의 결과를 바탕으로 네트워크 환경, 지연(delay), 태스크(task), 관리 노드 수를 고려한 적응형 네트워크 관리 알고리즘을 제안한 후 실험하였다. 그 결과 적응형 네트워크 관리 알고리즘을 사용하였을 때, 이동에이전트 또는 혼합모드 네트워크 관리 패러다임을 사용하는 것과 비교할 때 약 10%의 성능향상이 있음을 알 수 있다.

Pseudo MOST 프로토콜 기반 자동차용 네트워크 통합 게이트웨이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utomotive Gateway System Using Pseudo MOST Network as Backbone)

  • 안성수;김우현
    • 전자공학회논문지SC
    • /
    • 제48권6호
    • /
    • pp.24-33
    • /
    • 2011
  • 본 논문은 다른 종류의 프로토콜을 가지는 자동차 네트워크를 통합하기 위해 MOST 네트워크를 백본으로 하는 게이트웨이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서로 다른 프로토콜들의 상위 계층의 메시지와 데이터 구조에 상관없이 서로간의 통신을 위해 MOST와 비슷한 구조를 가지는 Pseudo MOST 프로토콜을 설계하여 이를 데이터 수송을 위한 매개체로 이용하였다. 자동차 네트워크에 적용하기위해 일체형 게이트웨이와 소형 독립형 게이트웨이 두 가지 타입이 개발되었다. 일체형 게이트웨이는 이더넷포트, 영상 및 음성 포트를 가지고 있는 반면 소형 독립형 게이트웨이는 영상, 음성, 블루투스 그리고 Flexray용으로 각각 개발 되었다. 소형 독립형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시스템 실험을 통해 개발된 게이트웨이가 서로 다른 프로토콜간의 데이터 송수신이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고 자동차 네트워크 통합용으로도 활용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프로그래머블 네트워크 기술 분석 (Analysis of Programmable Networks Technology)

  • 정영식;주성순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15권4호통권64호
    • /
    • pp.1-11
    • /
    • 2000
  • 프로그래머블 네트워크 기술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빠르게 새로운 서비스를 생성, 전개하고자 하는 필요에 따라 발전하였다. 프로그래머블 네트워크 기술은 새로운 구조와 서비스 및 프로토콜들을 네트워크에 적용하기 위해 네트워크의 programmability를 제어하고 안전하게 실행하는 방법이다. 네트워크 programmability 증진을 위하여 전송 하드웨어와 제어 소프트웨어의 분리, 개방형 프로그래머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제공, 네트워킹 기반구조의 가상화 촉진 같은 하드웨어상에 상이한 네트워크 구조의 공존 및 자원분할 기술 등이 연구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프로그래머블 네트워크 기술 분야의 연구 프로젝트를 살펴보고 프로그래머블 통신 추상화, programmability 수준, 프로그래밍 방법론 등의 특징을 비교 분석하였다.

상호 인증이 가능한 IC 카드형 전자화폐 관한 연구 (A Study on IC Card Electronic Cash with Mutual Authentication)

  • 하남수;천인국;홍인식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95-98
    • /
    • 2000
  • 인터넷상에서 전자상거래의 활성화로 인한 구매수단의 변화로 지불수단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지불수단의 근본적인 개념의 변화가 필요하다. 이에 대해 유력한 수단으로서 전자화폐 시스템은 크게 네트워크형과 IC카드형으로 나누어질 수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현물화폐의 대안으로 여겨지는 기존의 오프라인 IC카드형의 전자화폐 시스템에 대하여 연구하였고 이에 대하여 상호 인증방식을 첨가한 새로운 프로토콜을 제안하였다.

  • PDF

유비쿼터스 가정환경을 위한 계층적 베이지안 네트워크 기반 상호주도형 대화 에이전트 (A mixed-initiative conversational agent using hierarchical Bayesian networks for ubiquitous home environments)

  • 송인지;홍진혁;조성배
    • 한국지능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퍼지및지능시스템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학술발표 논문집 제15권 제2호
    • /
    • pp.157-160
    • /
    • 2005
  •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지능형 에이전트는 먼저 사용자의 의도를 정확히 파악해야 한다. 명령어 기반의 기존 사용자 인터페이스와는 달리, 대화는 인간과 에이전트 사이의 유연하고 풍부한 의사소통에 유용하지만, 사용자의 배경지식이나 대화의 문맥에 따라 그 표현이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상호주도형' 의사소통을 위한 계층적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사용자와 에이전트 사이에 발생하는 대화의 모호성을 해결한다. 서비스 추론 시 정보가 부족할 경우에는 계층적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추가로 필요한 정보를 분석하고 사용자로부터 수집한다. 제안하는 방법을 유비쿼터스 가정환경에 적용하고 시뮬레이션 환경을 구축하여 그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 PDF

실시간 지능형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A Real-time Intelligent Home Network Control System)

  • 김용수;정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3193-3199
    • /
    • 2009
  • 본 실시간 지능형 홈 네트워크 제어시스템은 여러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통신이 가능한 곳이면 언제 어디서든지 실시간으로 시스템 제어와 모니터링이 가능한 시스템이다. 본 논문은 실시간 지능형 홈 네트워크 제어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하여 무선 홈 네트워크 기술 중 ZigBee 기술을 이용하여 각종 USN 센서를 제어하는 서버 모듈 구현과 모바일 기기에 탑재되어 사용자에 의해 구동되는 클라이언트 모듈을 GUI환경으로 구성하여 설계 및 구현하였다.

모듈로봇 구현을 위한 네트워크기반 모터제어드라이버 개발 (The development network based on motor driver for modular robot implementation)

  • 문용선;이광석;서동진;이성호;배영철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887-892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지능형 서비스 로봇의 네트워크에서 제어의 실시간이 보장되면서 많은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개방형 표준 이더넷 호환성을 확보한 산업용 이더넷 프로토콜인 EtherCAT을 기반으로 하여 네트워크의 물리 계층을 100BaseFx인 광케이블 인터페이스 모듈을 설계하고 구현하여 센서 및 모터제어 시스템에 적용하고, 테스트를 통해 지능형 서비스 로봇 내부 네트워크로서의 적합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순환결합형 신경회로망의 동적 상태천이 해석과 카오스 신호의 영향 (Analysis of Dynamical State Transition and Effects of Chaotic Signal in Cyclic Neural Network)

  • 김용수;박철영
    • 한국지능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퍼지및지능시스템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 /
    • pp.199-202
    • /
    • 2002
  • 신경회로망을 동적 정보처리에 응용하기 위해서는 비대칭 결합 신경회로망에서 생성되는 동적 상태천이에 관한 직관적 이해가 필요하다. 자기결합을 갖고 결합하중치가 비대칭인 순환결합형 신경회로망은 복수 개의 리미트사이클이 기억 가능하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현재까지 이산시간 모델의 네트워크에 대한 상태천이 해석은 상세하게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연속시간 모델에 대한 해석은 네트워크 규모의 증가에 따른 급격한 계산량의 증가 때문에 연구가 그다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각 뉴런이 최근접 뉴런에만 이진화된 결합하중 +1 및 -1로 연결된 연속시간모델 순환결합형 신경회로망의 동적인 상태천이 특성을 해석하여 이산시간 모델에서 기억 가능한 리미트사이클과의 차이점을 분석한다. 또한 연속시간 네트워크 모델에 카오스 신호를 인가하여 리미트사이클간의 천이를 제어할 수 있는 가능성을 분석하여 동적정보처리에 네트워크를 응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검토한다.

네트워크의 비선형적 반응을 고찰하기 위한 분포형 순간반응함수 모형 개발 (Model development for distributed instantaneous response function to investigate the network nonlinearity)

  • 이지수;백경록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3년도 학술발표회
    • /
    • pp.214-214
    • /
    • 2023
  • 네트워크로 구성된 시스템은 물질, 에너지, 신호 등의 입력(input)이 주어졌을 때, 경로 추적, 즉 라우팅(routing)을 통해 출력(output)으로 연결되고, 이를 반응함수로 나타낼 수 있다. 같은 입력값이라도 네트워크에 따른 연결 구조와 라우팅 과정에서 소요되는 시간차에 따라 출력값이 달라질 수 있다. 좋은 예로 강우에 따른 유출반응함수를 나타내는 자연 하천망을 들 수 있다. 이론적으로 순간의 입력이 주어졌을 때 (입력의 지속시간이 0), 출력은 순간반응함수로 표현된다. 자연 하천망에 대한 선행연구에서는 강우강도에 따라 순간반응함수가 변화한다는 비선형성이 알려졌다. 하지만, 비선형성을 가져오는 물리적 과정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이 연구는 격자 형태로 주어진 임의의 네트워크에서 각 격자에 대해 순간반응함수를 구하는 분포형 모형을 제시한다. 입력자료와 라우팅 방법에 따른 연결 구조 및 순간반응함수의 변화를 격자 별로 확인하고, 이를 통해 시스템의 비선형성을 고려할 수 있는지 고찰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