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

Search Result 21, Processing Time 0.057 seconds

The Effect of Chinese Cultural Characteristics on the Navigation Design of Mobile Shopping Applications (중국인의 문화적 특성이 모바일 쇼핑 어플리케이션 네비게이션 디자인에 미치는 영향)

  • Feng, Jianan;Seo, Jonghwan
    • Smart Media Journal
    • /
    • v.9 no.2
    • /
    • pp.63-68
    • /
    • 2020
  • One of the most important parts of the user experience in mobile device interaction is navigation design. Navigation design plays a key role in enabling users to perform their desired functions and to access the information and content they need by mobile applications. In this process, differences in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backgrounds of users may affect the navigation design, and thus the user experience may represent a significant difference. This study compared the navigation design of popular mobile shopping applications in China and the United States to examine the differences and analyzed the reasons. Based on this comparison, we proposed that the Chinese preferred rich information, colorful images and various menu styles, while Americans preferred simple designs, layouts and limited types of menu. In addition, two types of mobile shopping application navigation design schemes reflecting cultural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Chinese and American users' preference, and the validity of our study was verified based on the results.

An implementation on Network-free Green Navigation on Android Platform (네트워크-프리 안드로이드 그린 네비게이션 구현)

  • Lee, Joo-Young;Park, You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4.04a
    • /
    • pp.284-286
    • /
    • 2014
  • 여행자들은 여행 중 지도나 네비게이션 (Navigation) 어플리케이션을 종종 사용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지도 지도나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은 비용을 지불하고 네트워크를 사용하여야 하며 실시간으로 많은 지도 이미지를 보여주게 되어 네트워크 비용이 가중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를 화면에 표시하기 위해 많은 배터리를 소모하는 문제를 가진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여행자들의 네트워크 비용 부담을 줄이고, 여행 중 충전이 어려운 스마트폰의 배터리 사용을 최소화 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네트워크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목적지를 안내해주는 안드로이드 기반 응용 프로그램으로, 본 논문에서는 이를 비네트워크 그린 네비게이션(Network-free Green Navi) 라고 명한다. 비네트워크 그린 네비게이션은 최소한의 발광 이미지를 사용하며 오직 GPS 센서만을 사용해 간단하게 목적지를 안내해준다. 이는 여행 중 문제가 되는 요소를 단순하지만 근본적으로 해결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가진다.

An Analysis and Design Model for Web-based Information System (Web 기반 시스템 분석/설계 모형 개발)

  • 김정희;박세권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b
    • /
    • pp.620-622
    • /
    • 1998
  • Web 기반 시스템 구축시 저렴한 구축비용, 표준화된 문서환경, 클라이언트를 통일하지 않고도 어플리케이션의 구현이 가능한 장점 때문에 인터넷 프로토콜인 TCP/IP와 HTTP를 기반으로 시스템을 구축하려는 기업과 조직이 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web 환경에서 시스템 구축시 적용할 수 잇는 web 기반 시스템 분석/설계 모형을 제안한다. 기존의 web 어플리케이션 개발 방법들이 데이터 분석에 기초를 둔 것과는 달리, 기업과 조직이 가지는 기능을 중심으로 web 어플리케이션을 분석하고, 파악된 기능에서 pageflow를 설계하여 사용자의 요구사항과 조직의 처리가 반영된 page와 네비게이션 경로(navigation path)를 설계할 수 있는 모형을 제시한다.

The Development of Bicycle App using Weather and Location Information (날씨와 위치정보를 이용한 자전거 앱 개발)

  • Jang, Eun-Gyeom;Choi, Dong-Jun;Seo, Eun-B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07a
    • /
    • pp.201-202
    • /
    • 2016
  • 본 프로젝트는 날씨와 GPS 위치정보를 이용해 사용자들에게 자전거 라이딩을 하기 전에 현재 및 예상날씨정보, 로드맵을 제공하는 자전거 애플리케이션이다. GPS 위치정보를 활용한 네비게이션 기능으로 사용자가 자전거 라이딩을 할 때 현재위치, 목적지 경로, 주행 시간, 주행 경로와 같은 유용한 정보들을 제공해주는 프로젝트이다. 일반 자전거 어플리케이션은 자전거 속력, 현재 날씨 등과 같이 간단한 정보들을 제공해 주는 것에 반해 본 프로젝트는 자전거 라이딩 사용자들에게 날씨뿐만 아니라 로드맵을 제공하여 본인의 위치, 경로, 등을 제공하며 길 찾기, 자전거 라이딩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들이 자전거를 좀 더 효율적으로 탈 수 있게끔 자전거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였다.

  • PDF

Android Application for Increased Travel Convenience <Korea Travel Review Application> (여행 편의성 증진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한국 여행 리뷰 어플리케이션>)

  • GeonHee Lee;JuHak Lee;MinGyu Yang;SuChan Seo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21 no.3
    • /
    • pp.23-31
    • /
    • 2023
  • As COVID-19 is nearing the end, the travel industry is gradually picking up steam as the attention of those who have not traveled in nearly a few years is drawn back to travel. Accordingly, we intend to develop a travel-related application to help with travel. According to the current trend of SNS, this application provides a review function as the main function. In addition, travel records can be stored through the gallery, and the route to the destination can be conveniently viewed through navigation. People usually use multiple applications at the same time depending on their purpose when traveling. This project aims to improve convenience by developing applications that combine various functions to eliminate such hassle. The development tool uses Android Studio.

Effects of computer and demonstration scenario simulation using smart fire evacuation guidance on evacuation induction and time (스마트 화재대피 유도 컴퓨터 및 실증 시나리오 시뮬레이션이 피난 유도와 시간에 미치는 영향)

  • Shin, Dong-Min;Cho, Byung-Jun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11 no.12
    • /
    • pp.244-253
    • /
    • 2021
  • This study examined how the fire evacuation induction service system using a smartphone navigation application in the event of a fire affects the fire evacuation time,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1. The evacuation time was reduced by 22 seconds when the navigation application was used in computer scenario simulation. Even in the demonstration simulation, the evacuation time was reduced by 40 seconds when the navigation application was used. This indicates that the navigation application is effective in shortening the evacuation time in case of fire. 2. As a result of the demonstration scenario simulation, the time until the end of evacuation was 39 seconds faster in the case of evacuation guidance than in the case where it was not conducted. 3. No bottlenecks occurred in the evacuation route during the demonstration scenario simulation. As a resul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time required to complete the evacuation between the computer scenario simulation and the demonstration scenario simulation.

A Study of Patient Centered Navigation Model for Care Convenience of Large Hospitals Based on Indoor Positioning Technology (실내 측위 기술 기반의 대형병원 진료 편의를 위한 환자 중심형 네비게이션 모델 연구)

  • Park, Chang Min;Yang, Yu Mi;Ryu, Ki Dong;Churn, Jin Hyuk;Cho, Sang Wook;Kim, Woo J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4.01a
    • /
    • pp.409-412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환자가 실내 측위 기술과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대형 병원의 내부에서 진료 동선을 스스로 찾아갈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을 주는 네비게이션 모델을 제안한다. 정보기술의 비약적인 발전과 함께 실내 측위 기술을 결합한 스마트폰의 위치기반 어플리케이션들이 각광 받게 되었다. 또한, 실내 측위와 관련된 응용 서비스도 새로이 창출되어 점차 이에 대한 관심과 그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기존의 실내측위 기법들 중 가장 보편적인 것은 Wi-Fi 신호를 이용 하는 삼각측량 기법으로 초기 구축비용이 저렴하며 서비스 제공 가능 범위가 넓어 본 논문에서 다루고자 하는 장소인 병원의 특성에 알맞다. 따라서 본 모델은 Wi-Fi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정확한 위치를 추정하고 진료 프로세스에 따라 경로를 안내를 해주는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통하여 환자에게는 진료를 위한 효율적인 동선을 제공함과 동시에 대형 병원에서는 인적, 물적 낭비를 줄이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 PDF

텔레매틱스 미들웨어의 기술 현황 및 발전 전망

  • 이현익;김병집;송준화
    •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Review
    • /
    • v.11 no.4
    • /
    • pp.37-44
    • /
    • 2004
  • 텔레매틱스는 모바일 컴퓨팅의 차세대 주자로 각광받고 있지만 텔레매틱스가 널리 사용되기 위해서는 여러가지 미들웨어의 지원을 필요로 한다. 예를 들어, 현재의 텔레매틱스 환경에서는 네비게이션 서비스 또는 교통정보 서비스와 같이 주로 단순한 형태의 서비스나 어플리케이션들이 사용되고 있다. (중략)

  • PDF

A study on the Applications Implementation using Smartphone in the e-Navigation (e-NAV 관련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구현에 관한 연구)

  • Han, Chang-Soo;Park, Hyeon-J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0.04a
    • /
    • pp.545-550
    • /
    • 2010
  • Due to the advancements in mobile communication recently, the smartphone is coming to wide use in variety of fields with powerful functions which are GPS, Wi-Fi, built-in camera, and so on. I'm going to discuss the application implementation using Smartphone in the e-Navigation.

  • PDF

Safe Route-Recommendation App. for Safe Women Leisure Activities based on the Space Syntax (Space Syntax기반 여성의 안전한 여가활동 경로 추천앱)

  • Lim, Won-Jun;Park, Su-A;Park, Min-Joo;Lee, Ka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3.07a
    • /
    • pp.75-76
    • /
    • 2013
  • 본본 논문에서는 Space Syntax 이론에 기반하여 여성의 안전한 여가활동 경로를 추천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안한다. 이 어플리케이션은 접근성, 지역 간 상호관계 등을 바탕으로 한 계산을 통해 추천경로를 만든다. 이는 일반적인 네비게이션이 가지는 최단시간, 최단거리 탐색과는 차별성을 가지며, 안전을 최우선으로 한 경로를 탐색한다. 오늘날 늘어난 여가시간에 따라 사람들의 레저 활동이 많아지며, 따라서 여성의 경우도 참여율에 높아진다. 이 때 여성의 경우 안전적 문제에 있어 레저 활동 장소까지의 경로를 추천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하는 레저활동과 여성안전에 관련한 어플리케이션은 다양한 위험요소를 염두에 두어 계산을 통해 안전한 경로를 제공하는 알고리듬으로 주관적 선택사항을 적용하여, 자기맞춤형 경로를 선택 가능하게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