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냉장온도

검색결과 406건 처리시간 0.023초

희석액과 보존온도에 따른 강도다리 (Platichthys stellatus) 정자의 냉장보존 효과 (Effect of Diluents and Temperature on Sperm Storage in Starry Flounder (Platichthys stellatus))

  • 임한규;안철민;손맹현;박민우;김응오;변순규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47-51
    • /
    • 2006
  • 다양한 희석액과 보존온도에 따른 강도다리 (Platichthys stellatus) 정자의 냉장보존 효과가 검토되었다. 강도다리 어미로부터 채정된 정액의 spermatocrit와 정자농도는 각각 $72{\pm}5$$6.00{\pm}0.98{\times}10^8/mL$였으며, 정장의 삼투질농도와 pH는 각자 $337{\pm}g\;mmol/kg$$7.7{\pm}0.1$이었다. 강도다리 정자의 냉장보존을 위해 희석액으로 인공정장(artificial seminal plasma, ASP), Stein's solution (SS), 해산어류용 생리식염수(marine fish Ringer's solution, MFRS)를 이용하여 각각 $0^{\circ}C,\;2^{\circ}C,\;4^{\circ}C$에서 30일간 보존하면서 정자의 활성을 검토하였다. 강도다리 정자의 냉장보존을 위해서 희석액으로는 SS가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보존온도는 $0^{\circ}C$에서 정자의 활성이 가장 좋아 30일 동안 높은 운동성을 유지하였다.

명태의 냉장유통 단계에서 시간-온도이력 지시계(TTI) 부착시점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Time to Activate Time-Temperature Integrator (TTI) in Cold Chain System of Alaska Pollack)

  • 최정화;박수연;강진원;황상민;김민정;김민중;이만희;이승주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97-102
    • /
    • 2014
  • TTI 상용제품인 Fresh-check을 명태의 냉장유통 중 품질예측에 사용할 때 그 성능이 항상 최적화되어 있을 수 없다는 가정하에서, TTI를 냉장유통의 어느 시점에서 부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지를 수학적으로 분석하였다. TTI 부착시점으로 크게 '어획 후 선상에서, '부산국제수산물도매시장에서', '마트에서'의 세 경우로 나누었다. 먼저, 등온 실험을 통하여 TTI의 색 변화와 명태의 Pseudomonas spp.에 관한 kinetic과 Arrhenius 온도의존성 모델 식을 완성하였다. 얻어진 모델 식을 사용하여 냉장유통에 해당하는 dynamic 온도조건에 대하여 수리적으로 TTI의 색 변화와 명태의 품질변화를 계산하였다. 그 결과, 마트에서 부착했을 때 TTI 색 변화가 종료 점에 도달한 시간이 명태의 부패시간과 가장 일치하였다. 따라서 상용 TTI 제품을 사용할 경우 부착시점의 선택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Mitochondrial Malate Dehydrogenase 활성을 이용한 냉장계육과 냉동계육의 판별법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Method of Differentiating between Fresh and Frozen Chicken Meat by Using Mitochondrial Malate Dehydrogenase Activity)

  • 이치호;서정희;이지영;류경희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51-155
    • /
    • 2004
  • 본 연구는 미토콘드리아 malate dehydrogenase활성을 이용하여 냉장계육과 냉동계육의 판별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단백질의 함량은 8.5mg/mL에서 12.7mg/mL 범위로 나타났으며, 동일 저장 기간 동안의 온도 별 차이점은 모든 부위에서 1일에서 15일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단백질함량이 늘어나는 경향을 보인다. 냉장육의 보수력은 저장 기간 1일 60.5%에서 15일 33.9%로 감소하였으며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p>0.05). 냉장계육과 냉동계육은 저장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육즙손실량이 증가하였으며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p>0.05). 냉장계육의 육즙손실량이 냉동계육의 육즙손실량보다 낮게 나타났다. 냉장계육과 냉동계육 간의 mitochondrial malate dehydrogenase의 활성은 냉동계육이 냉장계육보다 효소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로부터 mitochondrial malate dehydrogenase의 활성 여부로 계육의 냉장, 냉동 유무를 판별하는데 유효한 지표로 사용 가능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냉장 온도에서 생육, 습식숙성육, 건식숙성육의 저장 안전성 (Storage Stability of Raw Beef, Dry-Aging Beef, and Wet-Aging Beef at Refrigeration Temperature)

  • 안설빈;황선혜;조용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70-176
    • /
    • 2020
  • 생육, 습식 숙성육, 건식 숙성육을 종류별 3종을 구입하여 냉장 상태로 보관하면서 pH, 휘발성 염기질소(VBN), 미생물 정량, 우점균을 분석하였다. 초기 생육, 건식 숙성육의 중온균은 3.3-3.9 Log CFU/g, 습식 숙성육은 경우 5.4 Log CFU/g 이였으나, 냉장으로 18일 보관 후 생육과 건식 숙성육에 존재하는 중온균은 6.1-6.4 Log CFU/g로 증가하였다. 습식 숙성육의 경우 Lactic acid bacteria (LAB)는 냉장 보관시 4.5-6.0 Log CFU/g으로 나타났으나, 건식숙성육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저장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중온균, 저온균, LAB, 효모 및 곰팡이 수가 증가하였으나, 식품매개 병원성 미생물은 검출되지 않았다. 식육의 오염 및 부패 판단은 7 Log CFU/g 이상으로 규정하고 있어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12일 이상 냉장 보관하였을 경우 6-7 Log CFU/g으로 기준을 초과하였다. 이 때 VBN이 평균 15 mg%으로 부패의 초기 단계로 판단 할 수 있었다. 냉장 보관에 따른 우점 미생물은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냈다. 생육에서는 초기 우점균으로 S. saprophyticus가 분석되었으나, VBN이 증가함에 따라 Carnobacterium divergens가 우점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습식 숙성육에서 Carnobacterium divergens가 냉장보관 초기에 우점 미생물로 분석되었으나, 이후 Lactobacillus sakei가 우점균으로 분석되었다. 건식 숙성육의 경우 Dermacoccus nishinomiyaensis가 냉장보관 초기에 우점하였으나 이후 Pseudomonas fragi가 우점균으로 변화하였다. 부패의 초기 단계에서 특정 박테리아의 역할 외에도 부패, 향기 분석 및 숙성 육류의 성분 변화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여 숙성 육류의 안전한 유통 및 보관에 활용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얼음디스펜서와 홈바가 있는 빌트인 양문형 냉장고의 구조해석 및 도어 단차와 개스킷 간극의 평가 (Structural Analysis of Built-in Side-by-Side Refrigerator with Ice Dispenser and Home Bar and Evaluation of Door Differences and Gasket Gap)

  • 류시웅;이부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465-473
    • /
    • 2018
  • 냉동실 도어에 얼음디스펜서와 냉장실 도어에 홈바가 장착된 빌트인 양문형 냉장고 모델에 대하여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인 ANSYS를 사용하여 캐비닛과 도어를 통합한 유한요소모델을 구성하고 변형해석을 수행하였다. 하중으로는 냉장고가 조립된 조건, 그리고 캐비닛 선반과 도어 배스킷에 적재되는 식품 부하물 하중과 냉장고 정상 작동 시의 온도분포에 의한 열하중조건을 고려하였다. 캐비닛과 도어의 변형량 해석결과에 기반하여 냉동실 도어와 냉장실 도어 사이의 상하단차와 앞뒤단차를 평가하고, 냉기 밀봉에 영향을 미치는 캐비닛 전면과 도어 내면 사이에 위치한 도어 개스킷의 간극의 증가량을 평가하였다. 부하물이 없고 냉장고가 작동하지 않는 조건의 해석결과 계산된 상하단차와 앞뒤단차는 제품 출하 시의 허용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하물이 투입되고 냉장고가 정상 작동하는 열하중조건의 해석결과 계산된 상하단차와 앞뒤단차는 조립조건에 비해 증가하며 특히 앞뒤단차가 크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하중조건의 해석결과 계산된 캐비닛 전면과 도어 내면의 변위로부터 도어의 사각 테두리에 부착되는 개스킷 간극의 증가량을 평가하였다. 최대 간극 증가량은 냉동실 도어의 좌측 테두리에서 발생하며 제조업체에서 정한 허용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냉장고용 소형 압축기의 실린더 내의 상태변화

  • 김성태;민태식
    • 기계저널
    • /
    • 제25권2호
    • /
    • pp.106-110
    • /
    • 1985
  • 압축기의 체적효율, 압축효율에 관련된 부분에 대해서만 검토를 하였으며, 이는 주로 실린더 내 외의 냉해의 압력, 온도 등의 변화과정과 관련이 있다. 압축기의 모델로는 그림 1과 같은 스카 치-요크(Scotch-Yoke)형의 소형 완전 밀폐형 왕복식 압축기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냉매는 R-1 2를 사용하였다.

  • PDF

냉동수산식품 HACCP 관리 기준

  • 식품의약품안전청
    • 좋은식품
    • /
    • 통권219호
    • /
    • pp.24-60
    • /
    • 2011
  • ${\bigcirc}$ 본 업소는 수산물가공품(냉동어류, 냉동연체류, 조미가공품)을 생산하는 식품제조 가공업소로서 총 5명의 인원이 수산물가공품 8개 제품을 생산하여 매출액은(약 00원)이며 주로 집단급식소에 판매하고 있다. ${\bigcirc}$ 본 업소의 수산물가공품은 냉동생선 해동(또는 냉장생선 이용), 전처리(냉장제거 등) 이후 세척 후 급냉하여 포장하거나(냉동어류 및 냉동연체류) 가열 후 포장하여 급냉하는(조미가공품) 공정을 거쳐 생산된 제품으로 원료 취급과정에서의 오염이나 불충분한 가열, 교차오염 등으로 식중독균(병원성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 등)과 원료 및 제조과정에서 이물(금속 등)이 혼입할수 있으며, ${\bigcirc}$ 이로 안한 주요클레임 발생사례는 최근 3년간 관계당국으로부터 대장균군 검출 3건, 소비자클레임 2건이 있었다. - 연도별 주요 클레임내용은 '08년도에는 대장균군 검출 3건, '09년도 냉동어류에서 날벌레 이물 검출 1건, '10년도에는 냉동연체류에서 철수세미 1건 이었다. ${\bigcirc}$ 이러한 위해발생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중점관리해야 하는 공정은 세척공정(냉동어류 및 냉동연제류) 및 가열공정(조미가공품)으로 판단되며, 금속 등의 이물 혼입 또한 중점적으로 관리할 필요성이 있다. ${\bigcirc}$ 본 업소에서 생산하는 냉동어류 및 냉동연체류는 세척공정에서 세척시간과 세척수량, 원물량을 각각 설정하여 CCP 1로 관리하고 2시간마다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bigcirc}$ 조미가공품은 가열온도와 시간을 각각 설정하여 CCP 2로 관리하고 있으며, 품온이 $85^{\circ}C$이상 유지할수 있도록 2시간마다 모니터링하고 한계기준 이별여부를 기록하도록 하고 있다. ${\bigcirc}$ 또한 금속검출공정을 CCP 2로 관리하여 2mm${\varphi}$ 이상의 금속이물 혼입여부를 상시 확인하고 있으며, 금속검출기가 정상 작동여부를 4시간마다 모니터링하고 기록하도록 하고 있다. ${\bigcirc}$ 종합적인 공정 및 일반위생관리를 위해 개인위생 상태 냉동 냉장고 온도 확인 등 총 29개 항목에 대하여 정기적 점검(매일 17 주간 4 월간 4 분기 1, 연간 3)을 실시하고 있으며, ${\bigcirc}$ 따라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미흡사항의 원인으로 파악하고 문제점 제거를 위해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 PDF

마늘의 유통 형태에 따른 저장 중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Pre-processed Garlic during Storage according to Storage Temperature)

  • 박영희;박수진;한귀정;최정숙;이진영;강민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7호
    • /
    • pp.994-1001
    • /
    • 2012
  •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전처리 가공된 마늘의 저장 중 품질 특성 변화를 알아보고자 깐 마늘과 다진 마늘을 구입하여 냉장($2^{\circ}C$), 냉동($-18^{\circ}C$) 온도에서 30일간 저장하면서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다진 마늘은 상온($20^{\circ}C$)에서 3일간 품질 특성 조사를 실시하였다. 깐 마늘과 다진 마늘의 색도는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L값은 감소하고 a, b값은 증가하여 갈변화가 진전됨을 나타내었다. 깐 마늘의 중량감모율은 저장기간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냉동저장구의 증가율이 냉장저장구에 비해 높았다. 부패율과 맹아율은 냉동저장구에서는 거의 발생하지 않았으며 냉장저장구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깐 마늘의 경도는 냉동에 의해 급속히 감소하였으나, 냉장 및 냉동온도에서 저장기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냉동저장 한 깐 마늘과 다진 마늘의 드립로스 또한 저장기간 경과에 따른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냉장저장 한 깐 마늘과 다진 마늘의 총 세균수는 저장기간에 따른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며, 냉동저장의 경우에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상온저장 한 다진 마늘의 총 세균수는 서서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마늘의 풍미 성분 지표인 pyruvic acid는 다진 마늘의 저장 전 함량이 깐 마늘보다 높았다. 저장기간 동안 깐 마늘의 pyruvic acid는 증가하였으며 다진 마늘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냉장저장이 냉동저장보다 변화폭이 더욱 크게 나타났다. 위의 실험결과 전처리 가공 형태 및 저장온도가 저장기간 동안 마늘의 품질 특성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마늘의 품질유지를 위해 적절한 저장온도 설정 및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