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냉열에너지

Search Result 69,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n analysis of the Factors of Moving in and Activation Strategies for Incheon Cold-Chain Cluster using LNG cold energy (LNG 냉열을 활용한 인천항 냉동·냉장 클러스터 입주요인 분석 및 활성화 방안 연구)

  • Ahn, kil-Seob;Oh, Jae-Gyun;Yang, Tae-Hyeon;Yeo, Gi-Tae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7 no.2
    • /
    • pp.101-111
    • /
    • 2019
  • The construction of a "cold-chain cluster," which is a complex of cold-storage warehouses is emerging as an issue in the logistics industry. The Incheon Port Authority, in partnership with Korea Gas Corporation, is carrying out a project to build a cold-storage cluster using cold energy generated in the Songdo LNG receiving terminal. This study proposes a method of activating the cold-storage cluster using the CFPR methodology. An analysis of major factors showed that the most important factor was stability and profitability, which scored 0.281. For sub-factors, sustainable trade volume was the highest in importance, followed by rent level, the sustainability of LNG cold energy utilization technology, competition with general cold-storage warehouses, and exclusion of duplicate investments in facilities. For the future study, the evaluation of complex of cold-storage warehouses using major factors drawn out from this study is needed.

Thermodynamic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Organic Rankine Cycle (ORC) using LNG Cold Energy (LNG 냉열을 이용하는 유기랭킨사이클(ORC)의 열역학적 성능 특성)

  • Kim, Kyoung Hoon;Ha, Jong Man;Kim, Kyung Chu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 /
    • v.18 no.2
    • /
    • pp.41-47
    • /
    • 2014
  • In this work a thermodynamic performance analysis is carried out for a combined cycle consisted of an organic Rankine cycle (ORC) and a LNG cycle. The combined system uses a low grade waste heat in the form of sensible energy and the LNG cold energy is used for power generation as well as for heat sink. The effects of the key parameters of th system such as turbine inlet pressure, condensation temperature and source temperature on the characteristics of system are throughly investigated.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thermodynamic performance of the combined system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the normal ORC which is not using the LNG cold energy.

Preliminary Feasibility Study of Separated Aquifer Thermal Energy Storage System using Numerical Method (수치 모델링 기법을 이용한 개별 대수층 축열 시스템 활용성 예비 평가)

  • Kim, Jong-Chan;Kim, Hyoung-Soo;Lee, Young-Mi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11a
    • /
    • pp.556-560
    • /
    • 2009
  • 개별 대수층에 냉수와 온수를 저장하여 수자원과 냉난방 열원으로 활용하는 방안에 대한 평가를 지열-지하수 부정류 모델링을 통해 수행하였다. 저장 및 회수 가동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서 각각의 대수층 내에 온열과 냉열이 축열되는 현상이 확인되었으며, 지하수 유동에 의해 축열된 수체가 지하수 흐름방향으로 이동하는 현상을 확인 하여 지하수 유동이 축열 정도를 결정하는 요인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설정된 모델에 대하여, 두 개의 개별 대수층 사이의 열 간섭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입과 양수의 가동 횟수가 증가되면, 대수층 축열 효과는 증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지하수 모델링을 통한 온도 예측은 실제 냉난방의 효율성을 결정짓는 수온을 정량적으로 계산할 수 있는 유용한 기술로 평가됨과 더불어, 수자원의 지하 저장을 통해 효율적으로 물을 확보하고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Performance Analysis of a Combined Power Cycle Utilizing Low-Temperature Heat Source and LNG Cold Energy (저온 열원 및 LNG 냉열을 이용하는 복합 발전 사이클의 성능 해석)

  • Kim, Kyoung-Hoon;Oh, Jae-Hyeong;Ko, Hyung-Jong
    • Transactions of the Korean hydrogen and new energy society
    • /
    • v.23 no.4
    • /
    • pp.382-389
    • /
    • 2012
  • Power generation cycle using ammonia-water mixture as working fluid has attracted much attention because of its ability to efficiently convert low-temperature heat source into useful work. If an ammonia-water power cycle is combined with a power cycle using liquefied natural gas (LNG), the conversion efficiency could be further improved owing to the cold energy of LNG at $-162^{\circ}C$. In this work parametric study is carried out on the thermodynamic performance of a power cycle consisted of an ammonia-water Rankine cycle as an upper cycle and a LNG cycle as a bottom cycle. As a driving energy the combined cycle utilizes a low-temperature heat source in the form of sensible heat. The effects on the system performance of the system parameters such as ammonia concentration ($x_b$), turbine 1 inlet pressure ($P_{H_1}$) and temperature ($T_{H_1}$), and condenser outlet temperature ($T_{L_1}$) are extensively investigated. Calculation results show that thermal efficiency increases with the increase of $P_{H_1}$, $T_{H_1}$ and the decrease of $T_{L_1}$, while its dependence on $x_b$ has a downward convex shape. The changes of net work generation with respect to $P_{H_1}$, $T_{H_1}$, $T_{L_1}$, and $x_b$ are roughly linear.

Operating Performance of Metal Hydride Heat Pump for Cooling (금속수소화물을 이용한 냉열발생형 열펌프의 성능)

  • Park, C.K.;Komazaki, Y.;Suda, S.
    • Transactions of the Korean hydrogen and new energy society
    • /
    • v.4 no.1
    • /
    • pp.21-30
    • /
    • 1993
  • The operational characteristics of a metal hydride heat pump system are strongly dependent on the amound of hydrogen gas transferred by hydriding and dehydriding reactions between the reactors under dynamic conditions. A new metal hydride heat pump combined with hydrogen compressor was constructed and the dependency of its operating conditions on such as cycle time, amount of hydrogen to be transferred between two reacting metal hydride reactors, operating temperature, and heat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of the reactors was investigated to find the optimum operating efficiency. These conditions were also evaluated in connection with the cooling output and hydrogen compressor connected to the system in order to enhance the total efficiency.

  • PDF

실시간 부하예측 기술을 이용한 빙축열 냉방시스템의 최적제어

  • 한도영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29 no.2
    • /
    • pp.25-31
    • /
    • 2000
  • 최근 경제성장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냉방기기의 설치가 보편화되면서 하절기 냉방부하 증가에 따른 전력 에너지 공급상의 위기를 맞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전력공사에서는 심야 전력 공급 시간에 냉동기를 가동하여, 얼음의 형태로 냉열을 저장하였다가 주간 냉방에 활용하는 빙축열 냉방 시스템을 보급 하여 주간전력 사용을 우회시키는 방법으로 전력수급의 안정화에 기여하고 예비율을 높이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이러한 빙축열 냉방 시스템을 좀더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빙축열 냉방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특히 빙축열 부하예측 기술과 시스템 최적제어 기술의 개발은 최대순간 요구부하의 개선은 물론 시스템의 성능향상과 에너지 소비감소에도 효과적으로 쓰일 수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야간에 빙축조에 저장시킨 축열만으로 주간의 냉방부하를 감당하게 하는 전부하 축열 방식을 선택하여 시스템 각 구성요소의 동적현상을 고려한 효과적인 수학적 모텔을 제시하고 이를 사용하여 빙축열 냉방시스탱의 최적제어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그 효율성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PDF

Heat Storage and Utilization System Using Metal Hydride (수소저항합금을 사용한 열저장 및 이용시스템 연구)

  • Sim, K.S.;Han, S.D.;Kim, J.W.;Myung, K.S.
    • Solar Energy
    • /
    • v.18 no.3
    • /
    • pp.169-175
    • /
    • 1998
  • Metal hydrides can be used for the purpose of heat storage and transportation from the industrial complex which own recoverable waste heats to the neighboring cities by the medium of hydrogen. The properties of metal hydrides, some problems of heat transportation using metal hydrides, and the example of heat transportation system were discussed.

  • PDF

The R&D of hot water production by the combination of solar thermal and a large sized flower cooling system(I) (꽃 저장용 냉장시스템과 태양열 복합형 급탕기 개발연구(I))

  • Jung, Hyun-Chai;Kim, Ki-Sun;Sun, Kyung-Ho
    • Solar Energy
    • /
    • v.12 no.3
    • /
    • pp.84-93
    • /
    • 1992
  • Solar assisted heat pump with freon circulating system has been developed. Revising the cool chamber(flower storage) with the solar thermal hot water producing system, the more amount of hot water can be produced, which can be even used for room panel heating. The compressor was cooled by water jaket instead of air cooled so that the system energy efficiency was improved quite well.

  • PDF

Exergy Analysis of Waste Energy Recovery System in Regasification Process of LNG FSRU (LNG FSRU의 재기화 공정에서 폐에너지회수시스템의 엑서지 분석)

  • Han, Seoung Hyun;Jo, Jae Ho;Kwon, Jeong-Tae;Park, Kyoungwoo;Choi, Byung Chul
    • New & Renewable Energy
    • /
    • v.18 no.2
    • /
    • pp.82-89
    • /
    • 2022
  • In this study, the exergy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mass flow rate of the propane working fluid and the pressure change in the turbine inlet, for the efficient recovery of cold energy and exhaust heat by the waste energy recovery system applied to the LNG FSRU regasification process. When the turbine inlet pressure and mass flow rate of the Primary Rankine Cycle were kept constant, the exergy efficiency and the net power increased. This occurred as the turbine inlet pressure and the mass flow rate of the working fluid increased in the Secondary Rankine Cycle, respectively, and the maximum values were confirmed. In this regard, the fluctuations in the exergy rate flowing into and out of the system and the exergy rate destroyed by pumps, evaporators, turbines, and LNG heat exchangers (condensers) were examined in detail.

The $CO_2$ Recovering Recipe used Oxy Combustion with the Submerged Natural Gas Burner (천연가스 수중연소기(SMV)에서 순산소연소를 활용한 $CO_2$ 회수방안)

  • Sohn, Whaseung;Kim, Hoyeon;Ha, Jongmann;Kim, Joonseok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6a
    • /
    • pp.157-157
    • /
    • 2010
  • 우리나라는 기후변화협약에 대응하기 위한 교토의정서를 비준한 국가로서, 아직 온실가스의 의무감축 대상 국가는 아니다. 그러나 2012년부터 시작될 교토의정서 2차 공약기간 중에 브라질, 중국 및 인도와 같이 2차 의무감축대상이 가장 유력시 되는 국가로 지목되고 있으므로, 이러한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기술적, 사회적, 정책적 방안이 신속히 마련될 필요가 있다. CCS(carbon capture & storage)란 화석연료로 부터 연소시 대기 중으로 배출되는 온실가스($CO_2$)를 포집하여 재생 또는 지중, 해양에 저장하는 기술로서 국가녹색성장 핵심기술중의 하나로 분류되며, 대료적인 $CO_2$ 발생대상인 석탄화력발전소로 부터 $CO_2$ 회수방안, 회수, 처리관련 연구를 포함하여 국내외 적으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 지고 있다. 순산소 연소기술을 통한 $CO_2$ 회수, 처리기술은 연료(천연가스, 석탄, 석유)의 산화제를 공기대신 순도 95% 이상의 고농도 산소를 이용하여 순산소연소를 하며, 이때 발생하는 배가스의 대부분은 $CO_2$와 수증기로 구성되어 있다. 발생된 배가스의 약 70~80%를 다시 연소실로 재순환시켜 연소기의 열적 특성에 적절한 연소가 가능하도록 최적화함과 동시에 배가스의 $CO_2$ 농도를 80% 이상으로 농축시켜 회수를 용이하게 하며, 특히 공해물질은 NOx 발생량을 10ppM 이하로 줄일 수 있다. 천연가스가 생산되는 LNG기지에서 LNG를 기화시키기 위하여 해수식 기화기(ORV : Open Rack Vaporizer와 수중연소식 기화기(SMV ; Submerged Combustion Vaporizer)를 사용하고 있으며, 특히 SMV는 버너를 이용하여 $-162^{\circ}C$ LNG를 $10^{\circ}C$의 LN로 기화시키는 설비로서 이때 연소시 $CO_2$를 상당량 발생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SMV에서 순산소 연소방식을 적용하여 연료인 천연가스를 연소시키고, 이때 발생되는 $CO_2$와 수분이 주 성분인 배가스를 연소기에 재순환시켜, 연소실내 고온문제를 해결하며, 최종적으로 배가스중 $CO_2$$-162^{\circ}C$의 LNG 냉열을 이용하여 고순도의 액체 $CO_2$로 액화시키므로서 $CO_2$의 회수, 처리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을 소개하고자 한다. 이러한 방식은 천연가스에서 발생되는 $CO_2$ 회수를 LNG 냉열을 활용하므로서 폐열을 활용하는 에너지 효율적인 문제와 사용가능한 고순도 $CO_2$로 회수하므로서 환경적인 문제를 처리하는 기술이라 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