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냉각 능력

Search Result 149,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The characteristics of capacity control using a variable speed compressor in an industrial cooler (산업용 냉각기의 압축기 회전수 변화에 따른 용량제어 특성)

  • Baek, S.M.;Moon, C.G.;Yoon, J.I.;Jeong, S.K.;Kim, E.
    • Journal of Power System Engineering
    • /
    • v.15 no.2
    • /
    • pp.37-41
    • /
    • 2011
  • This paper presents the capacity-control characteristics in an industrial cooler with a variable speed compressor. The inverter-type compressor is controlled by the rotational speed of the operational frequency. This type of the compressor performs the wide range of load compared to the on-off type. When the load of the system reduces, the rotational speed will be reduced. Thus, the system leads to the less power consumption and extends the longer durability of the compressor. With the variable rotational speed of the compressor the cooling capacity of the cooler is about 1.6-3.6 kW and the capacity control is about 40-100%. The system showed the highest efficiency when the rotational speed is about 45-70 Hz. The results can be used as the basic design data to control an industrial cooler.

크라이오 펌프 종합특성평가 시스템 기술개발

  • In, Sang-Ryeol;Jeong, Seung-Ho;Hwang, Pil-Seo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1.08a
    • /
    • pp.93-93
    • /
    • 2011
  • 고진공 펌프 국산화의 일환으로 터보분자 펌프와 크라이오 펌프 개발이 진행 중이다. 크라이오 펌프 개발은 기계연구원, 우성진공(주), 국민대학교가 연합해서 수행하고 있다. 올해 9월말에 끝나는 1단계 마지막 3차 년도에는 두 고진공 펌프 모두 시제품을 완성하고 성능을 입증해야 한다. 이를 위해 고진공 펌프 개발과 별도로 진공 펌프 종합특성평가 시스템 개발도 표준과학연구원 주도로 진행되고 있는데 크라이오 펌프 평가 시스템은 원자력연구원이 담당하고 있다. 완성된 크라이오 펌프 성능평가 장치는 상온 기준 5${\times}$10-11 mbar의 기저압력을 보이고 있어서 초고진공 영역에서 크라이오 펌프 운전성능을 평가할 수 있는 준비를 마쳤다. 현재 크라이오 펌프 냉동기는 전반적으로 목표 설계치에 근접한 냉각성능을 나타내고 있는데 예를 들면 2차 냉각단 냉각능력이 10 K, 10 W로 대형 크라이오 펌프를 제작하기에도 충분하다. 활성탄 어레이도 여러 모델들을 자작하여 배기성능을 시험해 보았으므로, 최종적으로 3,600 L/s 급에 적합한 어레이를 만들고 이를 개발된 냉동기에 얹고 열차폐와 몸통을 씌워 펌프로서의 운전성능을 평가하는 일이 남아있다. 시제품은 상용품과 달리 기기가 차지하는 공간이 크고 부대설비가 복잡해서 운전성능 평가 장치에 부착해서 실험하기 어려울 수도 있으므로 기계연구원 현장에서 진공 게이지와 기체도입구만 부착한 마구리 플랜지를 펌프 흡기구 위에 달고 간이로 배기속도를 측정하는 것도 고려하고 있다. 이 경우는 표준용기를 사용할 때보다 배기속도가 과대평가되므로 이를 보정해 주는 방안을 마련해 놓아야 한다.

  • PDF

Low Pressure Firing Tests of 75-tonf-Class Channel Cooling Thrust Chamber (75톤급 채널냉각 연소기 저압연소시험)

  • Lim, Byoung-Jik;Han, Yeoung-Min;Kim, Jong-Gyu;Seo, Seong-Hyeon;Ahn, Kyu-Bok;Kim, Mun-Ki;Lee, Kwang-Jin;Choi, Hwa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10.05a
    • /
    • pp.71-74
    • /
    • 2010
  • Using the technology demonstration model of 75-tonf-class combustor which is expected to be used to the rocket engine of a korean space launch vehicle, 2 times of firing tests were carried out. Firing tests were done at 50% of the nominal flow rate because of incapability of the test facility and limit of the test bed strength. Through the low pressure firing tests of 75-tonf-class channel cooling thrust chamber, reliability and stability at the ignition and combustion phases were confirmed. Additionally it was foreseen that the 75-tonf-class thrust chamber would satisfy the performance requirements.

  • PDF

Effect of Refrigerant Pipe Length on Sea Water Cooling System Performance (해수냉각시스템 성능에 미치는 냉매배관길이의 영향)

  • Yun, Jeong-In;Jo, Yeong-J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and Ocean Technology
    • /
    • v.34 no.3
    • /
    • pp.346-351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alyzing the performance of sea water cooling system under various refrigerant pipe length. In sea water cooling system, the increase of refrigerant pipe length cause increases of pressure drops. These pressure drops cause fresh gas in liquid pipe and increase specific volume in gas pipe outlet, so sea water cooling system capacity is decreased by decrease of refrigerant mass flow rate. Sea water cooling system capacity in refrigerant pipe length 70m is decreased more than 30% when compared with pipe length 10m and the decrease of the coefficient of performance is nearly 20%.

  • PDF

국산 맥동관형 크라이오 펌프 시제품 종합특성평가 및 성능개선안

  • In, Sang-Ryeol;Gang, Sang-Baek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3.02a
    • /
    • pp.248-248
    • /
    • 2013
  • 저소음, 저진동이 장점인 맥동관형 냉동기 및 이를 이용한 크라이오 펌프를 국산화하는 연구개발사업이 상당히 진전되어 첫 번째 시제품을 완성했다. 3개월 여에 걸쳐 냉동기 냉동능력, 진동 및 펌프 냉각시간을 포함해서 질소, 수소 또는 알고에 대한 펌프 배기속도, 배기용량, 최대유량, 교차값, 알곤회복시간 등 규격, 비규격을 통틀어 모든 평가항목을 망라하는 펌프 배기 성능시험을 완료했다. 성능평가결과에 나타난 시제품의 장단점을 분석하여 보완 및 개선점을 찾고 이를 완제품 제작에 반영하려고 한다. 내경 14인치인 크라이오 펌프 시제품의 질소 배기속도는 목표치를 30% 정도 상화하여 4,600 L/s가 나왔고 배기용량은 약 45만 $mbar{\cdot}L$에 달했으며 교차값은 2,200 $mbar{\cdot}L$로 측정되었다. $5{\times}10^{-8}$ mbar 기준 알곤 회복시간은 2분 정도로 5분 이내라는 기준을 만족했다. 한편 20 K까지 펌프 냉각시간이 135분이므로 15분 이상 단축이 필요한데 이는 열차폐 특히 배플의 열적설계를 개선함으로써해결하려고 한다. 그리고 수소에 대한 배기성능 개선을 위해 활성탄 어레이의 제작공정을 표준화할 필요가 있다.

  • PDF

빙축열이용 공조시스템

  • 대한전기협회
    • JOURNAL OF ELECTRICAL WORLD
    • /
    • s.266
    • /
    • pp.59-64
    • /
    • 1999
  • 에너지수요 구조개혁이란 관점에서 볼 때 전력부하 평준화의 한 수단으로서 빙축열이용 공조시스템의 채용과 그 신장이 현저하다. 빙축열이용 공주시스템은 다른 축열이용시스템(예를 들면 수축열)에 비하여 단위체적당의 축열량을 크게 할 수 있어 자 스페이스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취급이 간단하여 환경에의 영향부하가 적다는 점 등 시대를 대표하는 공조시스템이라 할 수 있다. 미쓰비시전기에서는 타사에 앞서 선진적인 빙축열이용 공조시스템을 개발$\cdot$판매하고 있으며 기종 갖추기, 성능 공히 업계 톱클래스를 유지하고 있다. 채용이 넓어지고 있는 중$\cdot$소규모 빙축열이용 공조시스템은 패키지 에어컨 방식과 Chiller방식으로 대별된다. 전자는 야간전력으로 만든 얼음으로 냉매를 냉각하여 냉방능력을 높여 에너지이용효율(COP)을 올림으로써 주간전력에너지를 삭감하는 것이다. 후자는 야간전력으로 만든 얼음으로 공조용 순환수를 냉각하여 주간에 냉방으로 이용하는 것이다. 어느 방식이나 야간의 전력으로 만들어진 얼음으로 주간에 필요한 전력에너지를 충당하고 있어, 주간전력의 야간전력으로의 시프트를 달성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 PDF

Slim Air-Conditioner with Parallel Flow Heat Exchangers for Cooling of Telecommunication Cabinet (평행류 열교환기가 적용된 무선통신 중계기 냉각용 슬림형 공조기)

  • Cho, J.P.;Kim, N.H.
    •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 /
    • v.21 no.2
    • /
    • pp.87-93
    • /
    • 2009
  • Slim telecommunication cabinet cooler, equipped with parallel flow heat exchangers and operating with R-22, is developed. The performance is compared with imported one, equipped with fin-tube heat exchangers and operating with R-134a. Test results show that the newly-developed cooler increases the cooling capacity by 6% and EER by 33%. The refrigerant charge for the developed cooler is 500g compared with 1250g for the imported one. The adoption of parallel flow heat exchanger appears to have reduced the refrigerant charge. In addition, it is shown that the reduced air flow rates through parallel heat exchangers as compared with those through fin-tube heat exchangers are beneficial to the reduction of the equipment noise.

Mechanisms, Experimental Results, Empirical Correlations and Analytic Models of Beat Transfer in Containment Building Following a LOCA (냉각재 상실 사고시 격납 용기내에 있어서의 열전달에 관한 기구, 실험결과, 선험 관계식 및 해석적 모형들에 관한 고찰)

  • Jong Ho Choi;Soon Heung Chang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15 no.2
    • /
    • pp.123-134
    • /
    • 1983
  • Estimates of the rate of heat removal from the containment atmosphere following a loss of colant accident (LOCA) are important to the prediction of containment peak pressure and temperature which are essential parameters in designing the containment building. An overall survey and discussion of mechanisms, experimental results, empirical correlations and analytical models that are relevant to the heat transfer inside the containment have been made. As a result of this review, the current state of the knowledge about tile containment heat transfer can be understood and it is known that more investigations are needed to avoid the misuse of various correlations.

  • PDF

Development of the Small Cryocooler (극저온용 냉동기 개발)

  • Kim Y. I.;Kang B.S.;Kim Y. C.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18 no.2
    • /
    • pp.108-115
    • /
    • 1989
  • 과학산업의 육성책으로서 정부에서는 1988년도부터 특정출연연구 개발과제로 극한기술 개발을 시작하였다. 본 연구개발 과제는 극한기술의 5개 분과중 하나인 극저온 기술 분야에서의 연구개발목표인 SQUID(Superconductive Quantum Interference Devices)의 냉각장치로 사용되는 극저온용 냉동기 개발이다. 1988년부터 3년간, 연구개발비 약 3억원을 투자하여 작동온도 4.2K에서 약 100mW의 냉각능력을 갖는 냉동기에 대한 시제품을 개발함이 목적이다. 본 기술논문에서는 지난 6개월간의 연구수행 내용을 개략적으로 기술하여 연구진행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A Study of the Cooling Effect of an Evaporation-Type Cool Roof Fan (기화방열식 Cool Roof Fan의 냉풍효과에 대한 연구)

  • Kim, Yeong Sik;Chung, Hanshik;Jeong, Hyomin;Choi, Soon-Ho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40 no.3
    • /
    • pp.191-200
    • /
    • 2016
  • The ventilation effect of a ventilation system, which is classified as the forced ventilation and natural ventilation, is predominantly dependent on the combination of air supply and discharge. Perhaps the simplest ventilation is merely supplying the air as it is. However, to improve the indoor working environment during the summer, an air supply that is cooled to some extent has been widely adopted. Recently, a cooling method utilizing the vaporization of water was introduced. In this study, the performance of an evaporation-type air supply unit that was produced by Japan K-company and was installed in a shoe-manufacturing plant in Busan was investigated. The purpose of the experiment was to measure how much the supplied air could be cooled. From this experimental study, we confirmed that the evaporation-type air supply system is efficient, capable of improving the working environment during the summer while minimizing the energy c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