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내화 성능

검색결과 577건 처리시간 0.027초

국내 피복 철골기둥의 내화 성능 분석 및 평가 (An Analysis and Evaluation of Fire Resistance Performance for the Protected Steel Columns in Korea)

  • 신태송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1권1호
    • /
    • pp.27-35
    • /
    • 2009
  • 주요 철골구조체는 일정한 시간동안 내화성능을 발휘하기 위한 내화조치를 필요로 한다. 본 연구는 철골기둥의 내화피복 국내인정 제품의 내화성능을 분석 평가함을 목적으로 한다. 대상제품은 보드피복과 뿜칠피복 두 종류의 제품을 대상으로 하여 샘플연구를 하였다. 국내기준과 유럽기준에 기초하여 제품의 내화성능을 분석하였다. 또한 국내기준을 유럽기준의 성능설계관점에서 분석 고찰하였다. 온도적 측면에서 국내기준의 내화성능은 일반적으로 안전하다고 사료되지만, 재료의 물성치 자료확충, 강재온도 산정방법, 프로필계수, 화재시 내력검증 등의 특성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콘크리트 압축강도 및 하중비에 따른 CFT기둥의 내화성능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Fire Resistance Performance of the CFT (Concrete filled Tube) Column According to the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and Load Ratio)

  • 조경숙;김흥열;김형준;권인규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4권2호
    • /
    • pp.44-51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성능적 내화설계를 기반으로 한 CFT 구조의 내화성능 설계기술 개발을 최종목표로 CFT 구조의 실증적 실험을 통한 내화성능을 도출하고 내부 콘크리트 압축강도와 하중비를 변수로 하여 수축량과 시험체 내부 온도를 측정하여 내화성능을 도출하여 성능설계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는데 있다. KS F 2257-1과 7의 기준에 따라 CFT 각형 기둥에 24MPa, 40MPa, 하중비 0.9, 0.6, 0.2를 재하하여 내화성능기준에 따른 결과 하중비 변화는 24MPa의 경우 하중비가 0.3 감소시 약 73분의 내화성능 향상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0MPa은 하중비 0.6, 0.2의 경우 내화성능시간은 31분, 180분으로 나타났다. 시험체 내부 콘크리트 강도 변화에 따른 내화성능평가 결과 강도가 증가할수록 내화성능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ECC 영구 거푸집을 활용한 고강도콘크리트 기둥부재의 내화특성 (Fire Resistance Properties of High Strength Concrete Column using ECC Permanent Form)

  • 김용로;송영찬;김욱종;이도범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제20권2호
    • /
    • pp.957-960
    • /
    • 2008
  • 최근 초고층 건축물 등에 적용되는 고강도콘크리트의 내화성능에 대한 문제점이 제기됨에 따라 국토해양부에서는 고강도콘크리트 내화성능 관리 기준을 고시한 바 있으며, 건설업계에서도 이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강도콘크리트의 취약점으로 제기되고 있는 화재시의 폭렬문제에 대한 대응방안으로서 기존 연구를 통해 내화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 ECC 를 영구거푸집으로 활용한 고강도콘크리트의 내화성능을 검토하였다.ECC 영구거푸집을 활용한 고강도콘크리트 기둥부재의 내화성능 검토 결과, 영구거푸집과 고강도콘크리트 계면으로의 열 침투를 제어할 수 있도록 부재 생산 및 구축 방안을 검토하고, ECC의 적정 배합 및 두께를 확보한다면 고강도콘크리트의 내화성능 확보기술로서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내화성 영구거푸집으로서의 단순 활용 방안 이외에 ECC의 우수한 물리적 성능을 활용하여구조성능을 분담할 수 있는 방안으로의 지속적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TSC 합성보의 내화성능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Fire Resistance Performance of the TSC Beam)

  • 김성배;최승관;이창남;김상섭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113-122
    • /
    • 2006
  • 복합 구조 시스템은 강재와 콘크리트의 합성으로 내화성능이 우수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복합구조의 내화성능에 대한 연구는 아직 초기 단계로 기둥과 보 등의 부재에 대한 내화실험 결과가 일부 발표 되었으나 합성보에 대한 자료는 거의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TSC 합성보의 내화성능 평가를 위해 내화실험과 수학적 및 수치 해석적인 방법을 통해 평가하였다. 내화실험은 형상의 종류와 가력 하중, 내화피복재 보강방법 등을 변수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수치 해석 중 강재와 콘크리트의 재료특성은 Eurocode에 준하였으며 온도의 변화는 열전도 FE 해석과 수학적인 방법을 사용하였다.

일정 축력을 받는 콘크리트충전 각형 강관기둥의 내화성능 평가 (An Evaluation for the Fire Resistance of Concrete-Filled Steel Square Tube Columns under Constant Axial Loads)

  • 박수희;류재용;정경수;최성모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9권6호
    • /
    • pp.703-714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수치해석에 의해 일정 축력을 받는 콘크리트충전 각형강관(각형 CFT) 기둥의 내화성능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 앞서 각형 CFT 기둥의 실대 내화성능평가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이로써 무내화피복 상태에서 CFT 기둥 자체만의 내화성능을 평가하였다. 강관은 SPSR 400 강재를 사용하였으며 강관 내에는 27.5MPa와 37.8MPa 강도의 콘크리트를 사용하였다. 콘크리트 강도, 작용 하중비와 기둥단면 직경을 변수로 설정하였다. 수치해석에 의해 예측된 내화성능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결과값과 비교 평가해 본 결과, 해석값과 실험값이 서로 잘 일치하거나 해석값이 약간 저평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수치해석에 의한 CFT기둥 내화성능 예측은 타당하다고 판단된다. 내화성능 영향인자의 분석 결과, 축력비($N/N_c$)가 동일한 경우 콘크리트 강도가 적을수록 내화성능이 우수하며 단면직경이 클수록 내화성능은 향상되었다.

표준화재 재하조건에서 법정슬래브의 내화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Fire Resistance Performance of Legal Slab under Standard Fire with Loading condition)

  • 조범연;여인환;김흥열;민병렬;김형준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115-11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현재 법정내화구조로 규정되어 있는 철근콘크리트(RC: Reinforced concrete)조 및 철골철망모르타르(SWM: Steel & Wire Mortar)조 슬래브에 대하여 재하조건에서 구조별 내화성능을 검토하고, 철골철망모르타르조 슬래브에 대해서는 피복두께별 내화성능을 검토하고자 표준화재조건에서 내화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동일피복 두께일 경우 철근콘크리트조 슬래브가 내화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철골철망 모르타르조 슬래브의 경우 피복두께가 10mm 증가 시 7%의 내화성능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열 이면온도는 슬래브의 두께가 늘어날수록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무내화피복 CFT 공법의 내화성능 확보를 위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nsuring the Fire Resistance Performance of Non-Refractory Coating CFT)

  • 이지환;한민철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73-280
    • /
    • 2015
  • 본 연구는 3시간 내화성능을 만족할 수 있는 고성능 무내화피복 CFT 기둥 개발을 위한 연구로서, 고로슬래그 미분말 치환율에 따른 성능평가를 실시한 결과 고로슬래그 미분말 치환율이 증가함에 따라 내화성능이 개선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내화성능을 고려한 CFT 기둥용 100MPa 충전콘크리트의 고로슬래그 미분말 적정 사용량은 40%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고로슬래그 미분말 40% 혼입 100MPa 충전콘크리트를 적용한 CFT 실물 시험체를 대상으로 재하하중별 내화시험을 실시한 결과 재하하중이 증가함에 따라 내화성능 발현시간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하하중 2,000kN에서는 240분 이상의 내화성능을 나타내었고, 3,000kN에서는 184분, 4,000kN에서는 120분의 내화성능을 나타내었다.

공동주택 경량벽체 내화성능기준 설정

  • 안재홍;여인환;조경숙;최동호;민병렬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214-215
    • /
    • 2013
  • 공동주택을 기둥식 구조에서 공간을 구획하는 비내력 벽체로 사용되는 경략벽체에 요구되어지는 다양한 성능조건 중 내화성능 기준을 등급으로 구분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공동주택 경량벽체를 세대간 벽과 세대내 벽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내화성능 요구수준에 맞는 성능등급을 설정하였으며, 이를 내화실험을 통하여 성능을 확인하였다.

  • PDF

내화유리를 적용한 강재 유리벽의 내화성능 평가 (The Evaluation of Fire-Resistant Performance of the Non-bearing Steel Wall Using Fire Resistant Glass)

  • 이재승;임현창;양승조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2권5호
    • /
    • pp.72-81
    • /
    • 2018
  • 방화구획 내 벽체에는 콘크리트, 조립식 패널, 건식벽체 등을 사용한 내화구조가 주로 적용되고 있으나 근래에 들어 시야 확보 및 미적 관점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여 유리로 구성된 벽체의 수요가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차열 유리를 적용한 스틸 내화벽체에 관한 것으로써 내부 방화구획에 적용 가능한 60분 내화벽체와 외부 벽체 및 커튼월에 적용 가능한 90분 내화벽체에 대하여 내화시험 및 성능분석을 수행하였다. 시험 결과, 각 시험체의 요구 내화성능을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추가적으로 유한요소해석을 통한 유리벽체의 내화성능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 1차적으로 시험체의 내화성능을 예측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일정 축력을 받는 콘크리트충전 원형 강관기둥의 내화성능 평가 (Fire Resistance of Concrete-Filled Circular Steel Tube Columns under Central Axial Loads)

  • 박수희;송경철;류재용;정경수;최성모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0권5호
    • /
    • pp.655-663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충전 원형강관(원형 CFT)기둥의 내화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강관은 SPSR 400 강재를 사용하였으며 강관 내에는 27.5MPa와 37.8MPa 강도의 콘크리트를 사용하였다. 콘크리트 강도, 작용 축력, 단면 직경을 변수로 설정하였다. 수치해석의 정확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기존의 각국 내화성능설계식들에 의한 계산 결과값과 비교 평가 하였다. 또한, 기존의 실대 원형 CFT기둥의 내화성능 평가 실험 결과와 함께 비교 분석하여 수치해석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원형 CFT기둥의 내화실험 및 수치해석적 연구를 통해 도출된 내화저항시간과 축력비, 단면직경, 콘크리트 강도의 영향을 각형 CFT기둥의 내화성능과 비교 분석하여 각 영향인자들의 영향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수치해석적 연구는 실험결과와 비슷한 거동 및 내화성능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수치해석에 의한 CFT기둥의 내화 성능 예측은 타당하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