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내트래킹성

Search Result 31,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Characteristics of Silicone Rubber Polymer Insulator According to Variation of Materials (소재의 변화에 따른 실리콘 고무 폴리머 애자의 특성 연구)

  • Park, Hoy-Yul;Kang, Dong-Pil;Ahn, Myeong-Sang;Myung, In-H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3.05e
    • /
    • pp.27-30
    • /
    • 2003
  • 옥외 절연물은 환경에 의한 오염과 수분에 의한 젖음 현상이 항상 발생하므로 폴리머 애자의 하우징 재료의 전기방전에 대한 열화내성과 우수한 발수성의 장기간 유지특성은 제품의 장기성능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물성이다. 실리콘 고무는 내열성, 내후성, 산화안정성, 발수성 및 내오염성 동 절연소재로서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지만 하우징 표변에서의 방전이 발생될 때 옥외절연물에서의 성능은 실리콘 고무의 배합처방에 따라서 많은 차이가 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내트래킹 agent인 ATH의 첨가량의 변화에 따른 재료의 특성을 조사하고, 그 특성이 실리콘 고무 폴리머 애자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ATH의 첨가량에 따라서 내아크성, 내트래킹성 및 표면 발수성을 조사하였고, 폴리머 애자를 내트래킹 휠 시험 및 선행오손 후 섬락전압을 측정하였다.

  • PDF

Assessment of Tracking Retardant Aluminium Stranded Conductor Aluminium Cald Steel Reinforced Outdoor Cable (ACSR/AW-TR/OC) (트래킹억제형 알루미늄피복강심 알루미늄 절연전선 평가기술)

  • Soh, Jin-Joong;Shim, Dae-Sub;Kim, Kyu-Sub;Yoon, Ki-Tea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5.07a
    • /
    • pp.227-228
    • /
    • 2005
  • 사용중인 OC의 사고가 외물접촉, 자연현상, 일반인 과실 등으로 인하여 전체 배전선로 일시고장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으로, 피복의 트래킹 성능을 개선하여 수목 및 조류와의 접촉으로 인한 접촉부 전개 집중 시 또는 지지금구의 바인더부에 고전계 인가 시 트래킹에 의한 절연물의 탄화, 침식 등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는 절연파괴 등의 사고 위험을 줄이기 위하여 개발된 제품으로 산악지역 등에서 내트래킹, 내부식성, 수밀성 및 전기적인 특성이 우수하다. 본 평가기술에서는 알루미늄 묘|복강선, 연선 및 절연체의 일반적인 특성과 트래킹성, 도체수밀, 내후성, 밀착도, 교류파괴전압 등의 주요한 평가시험에 대한 방법을 검토하여 평가시험에 적용하여 평가시험시 문제점을 도출하고 평가시험방법을 정립하고자 한다.

  • PDF

The Design of Content using IR-Tracking System in the Spatial Virtual Reality Metaverse (공간 가상현실 메타버스내에서 IR-트래킹 시스템을 이용한 컨텐츠 설계)

  • Tae-Won Kim;Sang-Yoon Lee;Hyun-Woong Kim;Dae-Sol Lee;Dae-Sik Lee
    • The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 /
    • v.16 no.5
    • /
    • pp.247-255
    • /
    • 2023
  • In order to create a virtual reality space in the metaverse, accurate tracking sensors and implementation are required. Most government agencies and corporations performs tracking to use their own tracking sensors and a base stations, such as VIVE. The VIVE method may have tracking problems due to spatial constraints and obstacles or nearby structures, and it is also that the number of people that can be accommodated within the space is also limited. In this paper, we designed and implemented metaverse using an IR sensor tracking system to freely track the spatial virtual reality metaverse, and we experimented contents in metaverse by placing IR sensors additionally on the floor and ceiling if needed in order to flexibly configure the metaverse space.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tracking stability of the IR-tracking system was approximately 12% higher than the VIVE method. Additionally, adding more tracking sensors on the floor increases tracking stability and allows for a stable representation of virtual space.

Surface and Electrical Properties on EPDM/Silicone Composite Insulator (EPDM/Silicone 복합 절연체의 표면특성과 전기적 특성)

  • Shim, Dae-Sup;Park, Sung-Gyun;Kim, Bum-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1.05c
    • /
    • pp.92-95
    • /
    • 2001
  • 고분자 복합체 절연재료는 porcelain 이나 glass 같은 세라믹 소재의 재료와 비교하여 옥외사용 시간의 관점에서 더 뛰어난 특정을 발휘한다. 그러나 노화되었을 때, 이들 옥외용 절연재료의 성질은 발수성이나 흡수성등과 같은 절연재료의 표면특성에 의해 변화한다. 이러한 표면특성의 변화는 누설전류에 의한 트래킹 (tracking), 침식 (erosion) 및 섬락현상(flashover) 등의 유전체 파괴에 이르게 한다. 본 연구에서는 고분자 복합체 절연재료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EPDM의 발수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존에 이용되던 무기물 첨가제인 alumina hydrate(ATH)이외에 발수성이 뛰어난 실리콘 고무를 상용화제를 이용하여 블렌드하고, 각종 유기 첨가제 및 무기물 보강제를 이용하여 EPDM/Silicone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EPDM/Silicone 복합체의 인장강도 및 유전강도는 실리콘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졌으며, 촉진 노화시험을 실시한 결과 $120^{\circ}C$까지 인장강도 및 신율을 유지하였다. 유전강도의 측정결과 복합체의 접촉각과 표면에너지 측정결과 Silicone 고무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접촉각은 증가하고, 표면에너지는 낮아졌다. 경사평판법에의한 내트래킹성 측정결과 실리콘 함량이 증가할수록 내트래킹성은 우수하였으며, 실리콘 함량이 30%인 복합체에서는 트래킹 및 침식이 진행되지 않았다.

  • PDF

Possibility of Are Tracking at the Circuit Breaker After Starting Fire (화재발생 이후 분전반 차단기에서의 트래킹현상 진행 가능성)

  • Park, Y.G.;Oh, D.H.;Lee, S.H.;Park, J.T.;Kim, J.P.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Investigation
    • /
    • v.10 no.1
    • /
    • pp.37-45
    • /
    • 2007
  • In this paper, the possibility of arc tracking, caused by combustion at the circuit breaker, was discussed. The arc tracking, occurred at the source terminals of all the circuit breakers, when we burned electric leakage circuit breakers with 220V applied. We had a same results of the experiment to simulate fire scene, in the circumstance of fire, all of the circuit breakers had arc tracking caused by combustion. Therefore we confirmed that the arc tracking at the source terminal of circuit breaker could be occurred by just combustion in the fire scene, and it was impossible to decide the cause of fire for reason of discriminating arc tracking at the terminals of circuit breaker.

  • PDF

The Surface Characteristics of Silicone Rubber by Discharge Aging (방전열화에 의한 실리콘 고무의 표면특성 연구)

  • Kang, Dong-Pil;Park, Hoy-Yul;Ahn, Myeong-Sang;Lee, Hee-Woong;Kim, Dae-Whan;Ha, Min-Ja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2.07c
    • /
    • pp.1437-1439
    • /
    • 2002
  • 실리콘 고무는 내열성, 내후성, 발수성, 내오염성, 내트래킹성 등이 우수하여 옥외절연물용의 외피 재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폴리머 애자에서 전기방전 (코로나, 트래킹 등)에 의한 외피표면의 발수성 저하가 절연물의 장기성능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인자들 중에 하나이다. 실리콘 고무에는 ATH가 다량 첨가되는데 ATH의 첨가량, 표면처리상태, 입도 등에 의해 실리콘 고무의 발수성과 발수성회복 특성은 다르게 나타난다. 본 논문에서는 입도가 다른 2종의 ATH를 선택하여 실리콘 폴리머 대비 ATH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실리콘 고무의 발수성에 관련한 특성을 조사하였다. ATH의 입도 및 코로나 처리시간에 따라서 접촉각의 변화를 관찰하였으며, 코로나 처리 후 경과시간에 따른 발수성의 회복특성을 접촉각의 측정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 PDF

Tracking Propagation Mechanism on the Surface of Polyvinyl-Chloride-Sheathed Flat Cord based on Electric Field Analysis and Gas Discharge Physics (전계해석과 기체방전 이론을 기반으로 한 Polyvinyl-Chloride-Sheathed Flat Cord 표면의 트래킹 진전 메커니즘)

  • Lim, Dong-Young;Park, Herie;Jee, Seung-Wook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33 no.2
    • /
    • pp.30-38
    • /
    • 2019
  • Tracking, which is one of the main causes of electrical fires, is perceived as a physical phenomenon of electrical discharge. Hence tracking should be explained based on electric field analysis, conduction path by electron generation, and gas discharge physics. However, few papers have considered these details. This paper proposes a tracking mechanism including their effects on tracking progress. In order to prove this mechanism, a tracking experiment, an electric field analysis for the carbonization evolution model, and an explanation of the tracking process by gas discharge physics were conducted. From the tracking experiment, the current waveforms were measured at each stage of the tracking progress from corona discharge to tracking breakdown. The electric field analysis was carried out in order to determine the electric field on the surface of a dry-band and the high electric field region for electron generation during the generation and progress of carbonization. In this paper, the proposed tracking mechanism consisted of six stages including electron avalanche by corona discharge, accumulation of positive ions, expansion of electron avalanche, secondary electron emission avalanche, streamer, and tracking by conductive path. The pulse current waveforms measured in the tracking experiment can be explained by the proposed tracking mechanism.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the technical data to detect tracking phenomenon, which is the cause of electric fire, and to improve the proof tracking index.

Study on the Insulation Properties of Silicone Rubber (ATH 고충진 실리콘 고무의 절연특성 연구)

  • Kang, Dong-Pil;Park, Hoy-Yul;Ahn, Myeong-Sang;Kim, Dae-Whan;Myung, In-Hae;Lee, Hoo-Bum;Oh, Se-H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3.07c
    • /
    • pp.1442-1444
    • /
    • 2003
  • 폴리머 애자용 shed 재료의 전기방전에 대한 열화내성과 표면이 오염된 조건하에서도 우수한 발수성 유지는 제품의 장기성능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인자들이다. 내트래킹성 확보를 위한 보강재로는 ATH가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ATH의 첨가량이 많을 수록 내트래킹성은 대체로 향상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애자 제조시 무결점 성형성의 만족이 대단히 중요하기 때문에 ATH를 고충진하는 경우 사용하는 process oil들의 종류 및 첨가량을 고려한 ATH 첨가량의 최적화는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ATH를 170 part로 다량으로 첨가하면서 화학적 구조와 점도가 다른 몇 가지 실리콘 fliud들을 사용하여 무결점 성형에 적합한 가소도를 갖는 컴파운드를 제조하여 기본물성과 초고압 옥외절연물의 shed 재료로서 장기성능에 영향을 주는 방전열화내성과 표면발수성의 회복특성을 평가하였다. 컴파운드의 성형작업성과 관련이 큰 가소도는 fluid 점도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보이므로 실리콘 fluid 종류의 선택과 첨가량의 최적화에는 성형작업성, 발수성 회복특성, 열화내성 등의 고려가 필요하다. 무결점 애자성형을 위한 진공 사출에서 고무 컴파운드의 가소도가 중요한데 동일한 ATH첨가조건에서 일정한 가소도를 갖게 하는데 필요한 양은 fluid들의 종류에 따라서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코로나 처리후 발수성 회복특성은 fluid들의 분자크기와 반응기의 종류에 따라 상당히 영향을 받았으며 분자가 클수록 초기회복속도는 다소 느렸지만 평상시에 늘 유지되는 상시발수성은 다소 높게 유지되었다. 아크와 트래킹 방전에 의한 무게 감소는 ATH가 과량으로 첨가되어 상당히 적었으며 fluid의 분자가 크면서 페닐기를 가진 fluid들이 첨가된 고무가 우수한 특성을 보였다.

  • PDF

A Study on The Tracking Resistance and Mechanical strength of Epoxy Composites due to Boiling Absorption (비등에 따른 에폭시 복합체의 내트래킹성과 기계적강도에 관한 연구)

  • 김경민;김탁용;이덕진;강태오;홍진웅;김재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0.07a
    • /
    • pp.165-168
    • /
    • 2000
  • This paper presents the tracking resistance and mechanical strength due to boiling absorption of epoxy resin. The single network structure specimen(E series) formed of epoxy alone and interpenetrating polymer network(IPN) structure specimen(EM series) which epoxy resin was taken as first network and methacrylic acid resin as second network were manufactured. As adding $SiO^2$ filler classified by o[phr], 50[phr] and 100[phr] to those specimens, six kinds of specimens were manufactured and boiled in water during 2, 4, 8, 16, 32 and 64[hour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tracking breakdown time of E series showed a abrupt decrease with boiling time increasing, but that of EM series was decreasing smoothly. Also, it was verified that the degrading rates of mechanical strength was lowerd according to improvement of adhension strength in case of EM series.

  • PDF

Effects of Hydroxy Silicone Oil on Insulation Properties of Silicone Rubber (Hydroxy Silicone Oil이 실리콘 고무의 절연특성에 마치는 영향)

  • Kang, Dong-Pil;Park, Hoy-Yul;Ahn, Myeong-Sang;Kim, Dae-Whan;Lee, Hoo-Bum;Oh, Se-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2.11a
    • /
    • pp.51-54
    • /
    • 2002
  • 폴리머 애자용 Shed 재료의 전기방전에 대한 열화내성과 표면발수성은 제품의 장기성능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물성들이다. 그러나 무기보강재의 첨가량이 많아 무결점 성형성을 만족하도록 하기 위해서 Process Oil의 사용이 불가피한데 사용하는 오일의 종류와 양에 따라 옥외절연물의 장기성능에 영향을 주는 표면발수성이나 방전내성은 크게 차이가 나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화학적 구조와 점도가 다른 몇 종의 hydroxy silicone oil(HS 오일)을 혼련 (kneading) 하는 과정에 첨가하여 이들 오일의 종류와 양이 고무의 기본적인 물성, 발수성, 방전열화내성, 내트래킹성 등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가를 조사하였다. 코로나 처리시간에 따라서 접촉각의 저하정도와 코로나 처리 후 경과시간에 따른 발수성의 회복특성을 조사하였다. HS 오일의 접도에 따라 초기발수성, 발수성 회복특성의 차이가 많았다. 점도가 낮을수록 초기 발수성 저하는 크며 회복속도는 빠른 반면 점도가 높을수록 초기 발수성 저하는 작은 반변은 발수성 회복속도는 다소 느리게 나타났다 내트래킹성 결과는 점도가 높을수록 우수한 특성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폴리머 애자용 실리콘고무의 컴파운딩에서 실리콘오일의 선택은 성형작업성, 발수성회복특성, 열화내성 외에 가격 등을 고려하여 최적화가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