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내진성능실험

Search Result 563, Processing Time 0.045 seconds

Pseudo Dynamic Test for the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of Circular RC Bridge Piers Retrofitted with Fibers (섬유보강 원형 RC교각의 내진성능 평가를 위한 유사동적실험)

  • 정영수;박종협;박희상
    •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 /
    • v.5 no.2
    • /
    • pp.49-57
    • /
    • 2001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사동적실험에 의한 섬유보강 원형 RC교각의 내진성능평가를 위한 연구로서 수원시에 위치한 내진교량인 하길교를 대상모델로 하였으며, 도로교 표준시방서의 내진설계규정이 적용되지 않은 비내진교각시험체 2본 및 내진성능향상을 위한 섬유보강시험 4본, 즉 총 6본에 대하여 유사동적실험을 수행하였다. 보강공법으로는 유리 탄소섬유 보강공법을 사용하였으며, 실험변수로는 입력지진동, 섬유고방유무로 하였다. 그리고 내진성능평가 방법은 입력 및 소산에너지, 변위 연성도가 분석되었다. 본 실험의 결과 유리 섬유로 보강된 비내진시험체의 변위연성도 KHC인공지진파에 대하여 7.7~9.0정도의 값으로 충분한 내진성능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Pseudo Dynamic Test for the Seismic Performance Enhancement of Circular RC Bridge Piers Retrofitted with Fibers (섬유보강 원형 철근콘크리트 교각의 내진성능 향상에 관한 유사동적 실험)

  • 정영수;박종협;박희상;조창백
    •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14 no.2
    • /
    • pp.180-189
    • /
    • 2002
  • The objective of this experimental research is to assess the seismic performance of circular RC bridge pier specimens retrofitted with fibers which were designed as a prototype of Hagal bridge in the city of Suwon, Korea. Pseudo dynamic test has been done for four(4) test specimens which were nonseismically or seismically designed by the related provisions of the Korea roadway bridge design specification, and four nonseisemic test specimens retrofitted with fibers in the plastic hinge region. Glass and carbon fiber sheets were used for the seismic capacity enhancement of circular test specimens. Important test parameters were confinement steel ratio, load pattern, and retrofitting. The seismic behavior has been analyzed through the displacement ductility, energy analysis, and capacity spectrum. Approximate 7.7 ∼8.7 displacement ductility was observed for nonseismic test specimens retrofitted with fibers subjected to Korea Highway Cooperation artificial earthquake motions. It is concluded that these retrofitted test specimens could have sufficient seismic capacity in the region of moderate seismic zone.

Seismic performance of Piers in Seohae Grand Bridge (서해대교 PSM교 교각의 내진성능)

  • 이재훈;손혁수;배성용;박찬민
    •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 /
    • v.4 no.3
    • /
    • pp.67-81
    • /
    • 2000
  • 서해대교는 국내에 교량구조물에 관한 내진설계가 도입되기 전 설계된 교량으로서 현재 내진설계 규준에 적합하지 않은 종방향철근 및 횡방향 철근이 겹침이음된 중공육각형 단면의 철근콘크리트 기둥으로 이미 시공이 완료된 상태이다. 최근, 지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대두됨으로서 내진 설계 규준에 적합하지 않은 철근상세를 가지 서해대교 PSM교 교각의 내진성능이 의문시되었다. 따라서, 비내진 철근상세를 가진 서해대교 PSM교 교각의내진성능 평가를 위하여 교각의 축소모형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실험결과 종방향철근 겹침이음이 교각의 전체적인 내진거동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기대 이상의 연성을 발휘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는 축소모형 실험결과에 의한 시험체의 파괴양상, 유효강성, 연성, 응답수 정계수 및 등가점성감쇠비를 분석하였으며, 아울러 가속도변위 응답스펙트럼을 이용하여 서해대교 PSM교 교각의 내진성능을 평가하였다.

  • PDF

Anti-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of Circular Pier By Interval Reinforcement (보강간격에 따른 원형 기둥부재의 내진 성능 평가)

  • Jang, Il-Young;Kim, Seong-Kyum;Park, Jun-Young;Yang, Jae-Yeol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165-165
    • /
    • 2011
  • 내진 설계규정이 적용되기 이전에 시공되어 사용 중인 교량의 경우 지진 발생시 교각의 파괴 또는 구조적 피해는 교량 전체 시스템의 붕괴를 초래하므로 지진하중에 대하여 피해를 최소화해야 한다. 이를 위해 내진설계규정이 적용되기 이전의 교량 또는 지진취약지역으로 분류된 곳의 교량, 사회적 중요도가 높은 교량에 대해 교각의 내진성능보강을 실시하고 있다. 2007년 말 국토해양부가 관리하고 있는 11,940개 교량 중 지진 발생시 피해가 우려되는 1,342개(일반국도 682개, 고속국도 600개) 교량에 대해 2006년부터 내진보강이 착수되었고 2009년에는 확대 추진하여 일반국도 80개교, 고속국도 100개교에 대한 보강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이 확대 추진되고 있는 정책에 반해, 내진보강 기술 및 제품이 부족하고 새로운 내진보강재 개발이 불가피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소성영역에서의 횡방향 철근은 지진 시 종방향 철근의 좌굴과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저하를 방지하며, 전단보강철근으로도 중요한 역할을 하여 교각의 전단강도를 증가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횡방향 철근은 초기 설계에 의한 시공이 종료된 후 기존의 성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철근량을 증가하거나 단면의 변화를 주기에는 매우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내진성능을 위한 단면력 증가를 위하여 다양한 재료의 보강재와 형식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원형교각 모델의 구조해석을 이용해 내진성능평가를 선행한 후 실험체를 제작, Helical Bar를 보강하여 준정적 실험을 통해 내진보강성능을 평가하였다. 압축설계강도 $f_{ck}=240kgf/cm^2$를 기준으로 교량등급 2등교인 일반적인 도로교의 1/4축소모형을 설계, 기초부는 $1,200{\times}600{\times}600$ (mm)으로 철근과 콘크리트로 구성하였으며, 기둥부는 직경 400mm, 높이 1,250mm 크기의 철근콘크리트 원형 교각 실험체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실험체는 총 3개로, 분류는 무보강 일반 실험체, Helical Bar 직경에 따른 분류, 보강간격에 따른 분류로 나누어진다.

  • PDF

A Consideration of Earthquake Simulation Test for Telecommunication Equipment Rack (통신 장치랙 지진모사 실험에 대한 고찰)

  • Kang, Wang-Kyu;Han, Jin-Woo;Woo, Byung-Soo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8a
    • /
    • pp.296-301
    • /
    • 2007
  • 2007년 1월 20일 20시 56분경 오대산 부근에서 발생한 지진이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에서 감지되어 우리 생활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등 더 이상 우리나라도 지진에 안전한 나라가 아니라는 것이 입증되고 있으며, 정부에서도 자연재해대책법에 통신설비에 대한 내진설계 의무화 규정을 포함시켜 현재 시행을 눈앞에 두고 있는 시점에서 통신시설물에 대한 내진성능 평가와 내진대책 수립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지진 발생시에 가장 민감하게 반웅하며 피해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통신 장치랙에 대하여 전력설비의 내진성능 검증에 사용되는 인공 지진파와 미국에서 측정한 실측 지진파를 진동대에 입력, 지진모사 실험을 실시하여 지진시 발생할 수 있는 통신장비의 기능 이상 유무를 확인하고 동적 거동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장치랙이 보유한 내진성능을 도출하여 보았다. 이러한 지진모사 실험은 향후 통신 장치랙의 내진성능을 평가하는 기준을 수립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라 판단된다.

  • PDF

Shaking Table Test for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of Non-Seismic Designed Wall-Type Apartment (내진설계 되지 않은 공동주택의 진동대 실험에 의한 내진성능 평가)

  • Chung, Lan;Lee, Joung-Woo;Park, Tae-Won
    •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18 no.6 s.96
    • /
    • pp.721-728
    • /
    • 2006
  • Earthquakes are reported thai building structures have been colossal damaged, but before 1988 designed structures which were not applicate seismic design code have no seismic performance. Especially, for the apartment structures were indicated that it have no resist wall element of earthquake before 1988 designed structures. We have to evaluate for seismic performance this structures, therefore it will be retrofitted for seismic index sufficient structures. We performed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for model structures by MIDAS which is general structure analysis software. In this study, it was performed shaking table test to evaluate model structure which is reinforcement concrete and 5 floors for seismic performance index. We made specimens by similar's law and tested shaking table test. In the shaking table test it is not performed prototype model test because of space and equipment condition. So we had made scale-down model for 1/5 by similar's law. That's why it needs for the evaluation of performance. However, it is not possible to do an experiment of prototype owing to the shortage of space and the limit of an experimental instrument in the shaking table test. Then, modeling and reducing the part of prototype do the experiment. In this experiment a shaking table test is done and seismic performance of model structures is evaluated by using similitude laws for scale down specimen. As a result it is proved that non-seismic design structures need to retrofit since seismic performance shows life safe grade in 0.12g of an earthquake.

Quasi-Static Tests for Seismic Performance of Circular RC Bridge Piers (단일주 원형 철근콘크리트 교각의 내진거동에 관한 준정적 실험)

  • 정영수;이강균;한기훈;박종협
    •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 /
    • v.3 no.2
    • /
    • pp.55-66
    • /
    • 1999
  • Eight RC bridge plers have been made on a 1/3.4 scale model and have been tested in a quasi-static cyclic load so as to investigate their seismic performance. The ultimate objective of this experimental study is to investigate the hysteretic behavior of reinforced concrete plers, which have been widely used for urban transportation facilities in Korea. Improtant test parameters are hoop ratio, axial load, load pattern, and etc. And noninear behaviors of test columns have been evaluated through their yield and ultimate strength, energy dissipation, ductility and load-deflection characteristics under quasi-static cyclic loads. From the quasi-static tests on 8 bridge piers, it is concluded that energy dissipation, ultimate strength and curvature for a given displacement factor ${\mu}={\Delta}/{\Delta}_y$ are higher for the seismically designed columns than for the nonseismically designed columns.

  • PDF

Seismic Capacity Evaluation of Wood Structure Using Soil-Wall Test (흙벽 실험에 의한 목조 건축물의 내진성능 평가)

  • Kim, Hye-Won;Yang, Won-Jik;Oh, Sang-Hoon;Lee, Jung-Han;Park, Byung-Cheol;Yi, Waon-Ho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0.04a
    • /
    • pp.409-412
    • /
    • 2010
  • 본 연구는 목조 건축물 흙벽의 수평가력실험 결과를 이용한 내진성능 평가를 목적으로 한다. 흙벽 실험시험체는 기둥과 보 결합방식에 따라 민도리, 초익공, 장여방식으로 분류되고 벽체 형태에 따라 창문, 문, 전면 벽체, 인방 부재수 등으로 계획을 하였다. 12개 흙벽 시험체의 가력결과, 전면 벽체 시험체는 변위각 1/30에서 가장 큰 강성 저하율을 보이며 중인방과 수직재가 있는 벽체는 에너지 소산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연구로부터 목조 건축물 항복점 평가방법을 이용하여 등가탄소성 곡선으로 나타낸 전단내력은 민도리방식이 프레임과 전면 벽체일 경우 가장 크고, 전단응력은 벽체 개구율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실험결과로부터 적용 대상 건축물의 X, Y방향 구조성능을 산출하고 구조내진지표와 역량스펙트럼을 이용하여 내진성능 평가를 실시한 결과, 대상 목조 건축물은 내진성이 있음으로 평가되었다.

  • PDF

Assessment of the Seismic Capacity of Structure Using Pseudodynamic Test (유사동적 실험법을 이용한 구조물의 내진 성능 평가)

  • 김대곤;김대영;안재현;박칠림
    •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 /
    • v.1 no.2
    • /
    • pp.49-57
    • /
    • 1997
  • It is necessary to conduct researches about seismic design and analysis to protect various structures from earthquakes which are one of the most destructive natural disaster to human civilization. To assess the seismic capacity of structure, not only analytical but also experimental researches are important. Currently, pseudodynamic test known as computer-actuator on-line test is one of the available test methods to assess seismic capacity of structure without using shaking table. In this paper seismic capacity of simple one-degree of freedom structure was estimated by pseudodynamic test. Good agreement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analytical results was obtained. Better results would be obtained when more sophisticated measuring and controlling instruments are available.

  • PDF

Seismic Response Estimation of Water Extinguishing Facilities using Shaking Table Tests (진동대 실험을 통한 수계 소화설비의 지진응답평가에 관한 연구)

  • Nam, Min-Jun;Park, Seung-Hee;Kim, Dong-Joon;Choi, Jun-Sung
    •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 /
    • v.16 no.4
    • /
    • pp.9-18
    • /
    • 2012
  • In this study, a shaking table test was performed for the evaluation of water extinguishing facilities. Water extinguishing facilities, such as a general pipe, a seismic pipe (Loof type) and a pump, were used in the experiment. This captured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water extinguishing systems by earthquake records at El-Centro with a 50%, 70%, 100%, 120% level. As a result, seismic type facilities have excellent seismic performance compared to general facilities. By using the acceleration response spectrum, not only is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water extinguishing facilities able to be determined, but also the deformation of facilities in low earthquake levels can be known. This proposed approach can determine the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of water extinguishing facilities and verify seismic performance criter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