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내적표상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23초

물리 문제에 있어서 전문가-초보자 간의 내적표상과 해결방안의 차이 (Expert-novice differences of mental representation and problem solving strategy in mechanics problems)

  • 박윤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43-52
    • /
    • 1988
  • 과학교육에서의 문제해결력의 강조는 그 긴 역사를 가지고 있으나, 인지 심리학에서의 정보처리 모형을 사용한 문제해결과정의 분석이 사용되면서 그 교수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하나의 탐색연구로써 학습자들이 물리문제를 해결하려는 과정에서 그 문제를 자기나름으로 이해하여 만든 내적표상과 동원한 해결방안이 문제해결에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알아내보려고 한다. 물리전공 박사과정 학생 3명을 전문가로, 고등학생 2명과 대학 1년생 4명, 모두 6명을 초보자로 삼아 역학내용을 다룬 세 문제를 소리내어 푸는 과정을 개인별로 녹음하여 그 문제해결과정들을 분석하였으며, 학생들의 사고수준을 알기위해 사고 수준검사가 실시 되었다. 주로 질적 분석을 사용했으나 그 결론을 뒷받침하기위해 비모수통계방법이 사용되었다. (유의수준 . 10) 밝혀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내적표상은 피험자와 문제에 따라 각각 달랐다. 초보자들은 모두 한가지 표상을 세 문제에 걸쳐 계속 사용한데 반해, 2명의 전문가는 문제에 따라 다른 표상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표상의 형태에 따라 문제해결결과가 달랐다. 즉,일-에너지 표상형태를 사용한 피험자가 더 나은 결과를 얻는것으로 나타났다. 2) 문제해결방안에 있어서는 전문가들은 세문제에 걸쳐 계속하여 지식-개발 방안을 사용하였으나 초보자들은 문제에 따라 다른 방안들을 동원하였다. 지식-개발 방안을 사용한 경우가 다른 것들에 비해 더 나은 결과를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사고 수준검사(하위검사 또는 전체)의 접수와 문제해결과정 변인들-특히 내적표상의 형태, 문제해결방안의 종류, 목표확인 그리고 문제 해결력-간에는 유의미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그외 속도와 가속도 개념의 혼동, 마찰력 개념의 부정확 등이 공통적으로 범하는 실수였다. 본 연구가 과학교육 실제에 주는 함의로는 내적표상, 문제해결방안의 훈련을 통한 문제해결력의 향상을 들 수 있겠으며 이를 위한 세부연구가 실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유아 내적 표상 유형과 가정에서의 코티솔 패턴 변화 (Preschooler's Internal Representation Profile Types and Diurnal Cortisol Regulation Pattern at Home)

  • 민현숙;문영경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53-171
    • /
    • 2015
  • 본 연구는 유아의 내적표상 유형에 따라 가정에서의 코티솔 분비 패턴이 어떠한지를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40명의 유아를 대상으로 이야기 완성과제(MacArthur Story Stem Battery, Breth erton et al. 1990)를 실시하였고, 가정에서 유아의 타액을 채취하여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군집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유아의 내적표상 유형은 불안유형, 제한유형, 비조절된 공격유형, 회피유형, 친사회유형의 5개 유형으로 나타났으며, 유아의 가정에서의 코티솔 분비 패턴은 오전에 코티솔 분비가 많고 오후로 갈수록 떨어지는 패턴으로 나타났다. 또한 내적표상 유형에 따라 분비패턴이 다르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볼 때 유아의 내적 표상이 일상적 스트레스 상황과 부모와의 상호작용시에 유아의 반응과 스트레스 호르몬의 활성화 정도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음을 조심스레 예측할 수 있다.

반응성애착장애아의 어머니-아동 관계 (MOTHER-CHILD RELATIONSHIP OF CHILDREN WITH REACTIVE ATTACHMENT DISORDER)

  • 신의진;이경숙;박숙경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8권1호
    • /
    • pp.22-33
    • /
    • 1997
  • 본 연구는 반응성 애착 장애 아동(Reactive Attachment Disorder, 이하 ‘RAD’)의 혼란된 부모-아동 관계를 애착이론의 입장에서 체계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994년 8월에서 1995년8월 사이 소아정신과에 내원한 RAD 아동과 어머니 20쌍과 비교집단으로 정상 아동과 어머니 20쌍을 대상으로, 아동에 대한 내적 실행 모델 면접(Working Model of Child Interview, 1986)과 낯선 상황 절차(Strange Situation Procedure, 1978), 부모-아동 상호작용 척도(Dyadic Parent-child Interaction Coding Scales, 1983)을 실시하여 어머니의 아동에 대한 내적 표상과 어머니의 내적 표상 유형과 아동의 애착 유형과의 관계, 내적 표상 유형에 따른 어머니-아동 상호작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1) 대상 어머니들을 3가지 내적 표상 유형으로 분류해 본 결과, 비교 집단 어머니는 모두 균형된 표상으로 분류되었고 RAD 집단 어머니는 비개입된 표상(55%), 왜곡된 표상(45%)으로 분류되었다. 2) 어머니의 아동에 대한 내적 표상 유형은 아동의 애착 유형과 체계적으로 연관되었다. 균형된 표상의 어머니의 아동은 모두 안정 애착이었고 비개입된 표상 어머니의 82%는 그 아동이 불안/회피 애착으로 분류되었고 왜곡된 표상 어머니는 56%가 그 아동이 비조직/비일관 애착, 33%는 불안/저항 애착으로 분류되었다. 3) 어머니-아동 상호작용에서, 비개입된 표상의 어머니는 아동 중심 놀이에서 균형된 표상의 어머니에 비해 묘사적 진술, 반영적 진술, 묘사/반영적 질문을 적게 사용하였고 왜곡된 표상의 어머니는 균형된 표상의 어머니에 비해 직접 명령과 간접 명령을 많이 사용하였다. 장난감 정리하기 과제에서 비개입된 표상과 왜곡된 표상의 어머니는 균형된 표상의 어머니보다 직접명령, 간접명령을 더 많이 사용하였다. 위의 결과를 통해서 볼 때, 어머니의 아동에 대한 내적 실행 모델은 아동과의 애착 관계와 어머니-아동 상호작용에 중요한 요인으로서 혼란된 어머니-아동 관계를 이해하는데 효율적인 접근을 제공하며 아동에 대한 치료적 개입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위탁 아동과 일반 아동의 정신적 표상 비교 (The Comparative Study on Mental Representation between Foster-care and Typical Children)

  • 고민정;이경숙;김윤미;최인애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9권3호
    • /
    • pp.507-528
    • /
    • 2013
  • 본 연구는 맥아더 이야기 꾸미기 검사(MSSB)를 통하여 위탁 아동의 정신적 표상 및 역기능적 정서조절을 살펴보고, 일반 아동과 비교하여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한 가정위탁지원센터를 통해 가정위탁을 받고 있는 만 5-8세 위탁 아동 25명(남아 11명, 여아 14명)과 서울과 경기도에 거주하고 있는 만 5-8세 일반 아동 25명(남아 11명, 여아14명)으로 총 50명 이었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위탁 아동이 일반 아동보다 역기능적인 인지적 표상이 많았는데 위탁 아동은 일반 아동보다 공감적 관계 주제는 더 적게 보였고, 비조직화된 공격성 주제는 더 많이 보였다. 둘째, 위탁 아동과 일반 아동 간의 내적 표상 일관성을 비교한 결과 위탁 아동은 일반 아동에 비해 내적 표상 일관성이 더 낮았다. 셋째, 위탁 아동과 일반 아동의 내적 표상에서 역기능적 정서조절을 비교한 결과, 7세 미만의 위탁 아동은 일반 아동에 비해 정서조절을 실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인간 갈등, 도덕적 주제, 회피 전략, 분열 코드 주제와 역기능적 정서조절 중 과장표현에서는 위탁 아동과 일반 아동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위탁 아동이 직접 느끼고 경험하는 내적 표상의 주요한 주제와 역기능적 정서조절에 대한 개별 놀이평가형태의 질적 연구 분석을 실시하여 위탁 아동의 정신적 표상을 심도 있게 이해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PDF

소프트웨어 재사용시의 인지과정상에 나타난 내적표상의 구조적 불일관성 (STRUCTURAL INCONSISTENCY OF INTERNAL REPRESENTATIONS OF COGNITIVE PROCESSES OF SOFTWARE REUSE)

  • 김진우
    • 인지과학
    • /
    • 제4권2호
    • /
    • pp.201-262
    • /
    • 1994
  • 이글의 목적은 유추에 의한 사상(analogical mapping)과 규칙계발(rule development)이란 측면에서 소프트웨어의 재사용이 가진 인지과정상의 특성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소프트웨어 재사용시 나타나는 비일관적인 표상이 인지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원문제(source problems) 와 표적문제(targent problems)그리고 그들 문제의 해(solution)로서의 프로그램에 대한 내적표상을 조작한다. 본 연구를 의한 실험은 두자인 요인으로 구성된다-1)원문제와 표적문제사이의 구조적인 일관성의 정도(the degree of structural consistency), 2)원문제와 그해사이의 구조적인 일관성의 정도-프로토출으 분석결과는 위의 두용인이 원/표적사이의 사상(mapping)의 인지과정,규칙계발과정, 그리고 유추에 의한 사상과 규칙계발사이의 상호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있다. 마지막으로 소프트웨어 재사용에 대한 이상의 결과를 통해서 나타나는 시준점이 가진 의미를 알아본다.

학령전기 아동의 심적 표상 : 부모에 대한 심적 표상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MENTAL REPRESENTATION OF PRESCHOOL CHILDREN:ASSOCIATION WITH PARENTAL MENTAL REPRESENTATION)

  • 이경숙;이혜란;신의진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0권1호
    • /
    • pp.21-33
    • /
    • 1999
  • 자기보고 능력이 부족하다고 알려진 학령전기 아동의 임상 평가는 외부관찰자의 보고에 의존하는 점이 많고 아동 자신의 내적인 경험, 생각, 감정에 대한 직접적인 평가가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놀이 상황에서 학령전기 아동의 내적 마음의 표상을 알아보기 위해 개발된 MacArthur Story-Stem Battery(MSSB)를 사용하여 정상 아동의 내적 마음의 표상의 발달에 대한 연구를 시행하여 학령전기 아동의 임상 평가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만 3세부터 7세까지의 정상 아동 55명(남아 32명, 여아 23명)에서 MSSB, 언어평가(Peabody Picture Vocabulary Test-Revised), 지능평가를 시행하고 비디오로 녹화하여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정서적인 갈등 상황을 설정한 놀이에서 아동들은 비전형적 부정적 반응, 보상/죄의식, 처벌, 개인적 상해 등의 부정적인 정신적 표상이 흔히 표현되었다. 2) 부모에 대한 정신적 표상은 긍정적 표상, 훈육적 표상, 부정적 표상의 순으로 표현되었다. 3) MSSB 내용 주제요인 분석 결과, 비전형적 부정적 반응, 공격성, 개인적 상해, 배제로 묶이는 공격적 주제, 애정, 제휴, 죄의식/보상으로 묶이는 친사회적 주제, 처벌과 불복종으로 묶이는 반항적 주제 세 가지로 나타났다. 4) 부모에 대한 정신적 표상과 MSSB 내용 주제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부모에 대한 긍정적 표상은 친사회적 주제와(r=0.40), 부정적 표상은 공격적 주제와(r=0.52) 그리고 훈육적 표상은 반항적 주제와(r=0.75)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5) 부모에 대한 정신적 표상과 MSSB 정서 반응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부모에 대한 긍정적 정신적 표상과 불안 사이에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r=-0.43)를 보였다. 6) MSSB 내용 주제와 정서 반응사이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공격적 주제(r=0.28)와 반항적 주제(r=0.29)는 고통의 감정 반응과 유의미한 양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친사회적 주제는 근심(r=-0.29), 불안(r=-0.43)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정서적인 갈등을 야기하는 놀이 상황에서 학령전기 아동들은 부정적인 정신적 표상을 흔히 보였으며 부모들은 자신들을 도와주는 긍정적인 표상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또한 공격적 주제를 많이 보이는 아동들은 부정적인 정서 반응과 부모에 대해 부정적인 정신적 표상을 많이 나타냄을 알 수 있다.

  • PDF

가정위탁유아, 연장입양유아와 일반유아의 내적표상에서의 차이 (Differences of Narrative Representations by Foster Care, Adopted and Biological Family Children)

  • 신혜원;민성혜
    • 아동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57-174
    • /
    • 2008
  • This study used the person-oriented approach to explore differences in narrative representations of 97 4-, 5- and 6-year old children (30 foster care, 40 biological family, 17 adopted). Using the MacArthur Story Stem Battery (Bretherton et al., 1990), observations were made to obtain children's narrative representations of content themes and performances. Descriptive statistics, ANOV A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e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 (1) Biological family children showed more empathy/helping representations. Foster care children and adopted children showed more anxious representations, and foster care children showed more dysregulated aggression. (2) Four clusters of foster care and adopted children and five clusters of family biological children were found.

  • PDF

미혼 성인의 부모신념형성에 관한 연구: 아동기 내적 표상과 부모와의 의사소통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ormation of parental beliefs of the unmarried : Focused on the internal representation of childhood and communication of one's parents)

  • 김연하;정민자;김양은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521-535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ormation of parental beliefs. For this study, 154 unmarried university students were asked to fill in a packet of survey questionnaire about parental beliefs, the internal representation of childhood, and communication with their parents.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using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by SPSS PC program. It was reported that the internal representation of parenting formed in childhood influences the development of rational authoritative beliefs, distancing beliefs, and direct authoritative beliefs. Also, the open communication with parents affected the distancing beliefs and rational authoritative beliefs.

  • PDF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또래 유능성 : 유아 내적 표상의 매개 효과 검증 (Maternal Parenting Behaviors and Preschoolers' Peer Competence : Mediating Effects of Preschoolers' Internal Representations)

  • 정지나;이영
    • 아동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65-80
    • /
    • 2006
  • Data were collected from 110 preschoolers, 59 boys, 51 girls (ages 4-5) and their mothers. Peer competence was assessed by the Child Behavior Scale (Birsh & Ladd, 1998) and the Peer Rating Scale (Asher et al., 1979). Children's internal representations were measured by the MacArthur Story-Stem Battery (2004) and coded by the MacArthur Narrative Coding Manual (2004). Maternal parenting behaviors were observed during mother-child interaction at home and analyzed with the Teaching Strategies Rating Scale (Erickson, Sroufe, & Egeland, 1985). Data were analyz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Results confirmed the pathway from maternal parenting behaviors via children's internal representations to peer competence showing a significantly good model fit.

  • PDF

또래에 대한 아동의 내적 표상 모델과 또래 수용 및 친구관계의 질 (Peer Acceptance and Friendship Quality: The Role of Children's Internal Representational Models of Peers)

  • 나유미
    • 아동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43-158
    • /
    • 2000
  • This study examined whether children's peer representations are associated with peer acceptance and whether attributions and goals are related to representations about behavioral responses in ambiguous provocation and conflict situations. The subjects were 119 5th-grade children responded to 4 hypothetical situations. Results indicated that children's positive representations about peer conduct in ambiguous provocations were related to their higher level of peer acceptance, and positive representations about a friend in conflict situations were associated with their perceived positive qualities of friendship. Children's positive attribution and relational goal orientation were associated with relational behavioral responses. Gender differences were found for some goals and behavioral responses, with girls displaying a more relational goal and behavioral response orientation than boy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