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내적

Search Result 1,959,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Estimation of stochastic factor of changes considering climate internal variability (기후내적변동성을 고려한 추계학적 할증률 산정)

  • jihwan Kwon;Jongho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09-309
    • /
    • 2023
  • 자연재해대책법에 따라 방재성능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행안부 및 지자체는 방재성능목표강우량을 설정·운영하고 있다. 현재, 기후변화로 인한 할증률을 산정하여 방재성능목표강우량 산정에 포함하고 있으나, 기후의 내적변동성으로 인한 강수의 변화는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뿐만 아니라, 엘리뇨, 라니뇨, ENSO 등과 같이 지구의 내적인 원인들로 인해 변화하는 기후내적변동성(Climate Internal Variability, CIV)을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할증률 개념을 확장하고자 한다. 외부의 Forcing 변화(즉 기후변화)가 없더라도 자연적으로 기후가 변동하는 현상을 모의하기 위해, 크게 3개 동역학적, 통계학적, 추계학적 방법들이 적용되어 기후내적 변동성을 정량화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에 대한 일기를 추계학적으로 오랜 기간 동안 생성하고 생성된 시계열을 바탕으로 자연적인 변동성을 추출(Stochastic Approach)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기후내적변동성을 추정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생성된 앙상블 시계열에 Detrended 방법과Differenced 방법을 각각 적용하여 기후내적변동성의 크기를 정량화하고 상호 비교할 예정이다. 정량화된 기후내적변동성의 크기는 추계학적 할증률로 변환될 것이며 방재성능목표강우량 산정에 포함시켜 과거 기왕최대강우량을 갱신하는 지역에 대한 위험도를 추가로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Relation between Locutionary Act and Illocutionary Act in Restricted Domain Natural Language Dialogues (제한 영역 대화에 나타난 언표적 행위와 언표내적 행위의 상관관계 연구)

  • Song, Do-Gyu;Cha, Keon-Hoe;Park, Jay-Duke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8.10c
    • /
    • pp.370-375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화행처리를 기반으로 한 중고자동차 매매 영역 대화시스템 구축 과정에서 활용한 자연언어 대화체 발화의 언표적 행위와 언표내적 행위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하나의 언표적 행위는 여러 상이한 언표내적 행위를 수행할 수 있으며 또 역으로 여러 언표적 행위가 동일한 언표내적 행위를 구성하기도 한다. 이처럼 언표적 행위와 언표내적 행위 간에는 획일적이고 일률적인 상관관계를 설정하기가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화에 나타나는 발화들은 어떤 행위를 구성하는 경향이 강하고 이 행위들은 각 발화의 언표내적 행위로 결정되며 단일 발화들이 모여서 이루는 대화에는 화행의 흐름이 있기 마련이다. 따라서 우리는 본 논문에서 대화시스템의 효율적인 대화관리를 위해서 실제 자연언어 발화와 그에 따른 언표적 행위, 언표내적 행위를 올바로 분석하고 그 관계를 규명하여 대화를 자연스럽게 유도하도록 한다.

  • PDF

Analysis of Perceptual Hierarchy for Facial Feature Point (얼굴 특징점의 지각적 위계구조 분석)

  • 반세범;정찬섭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189-193
    • /
    • 2000
  • 표정인식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얼굴 특징점이 특정한 내적상태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가를 알아야한다. 이를 위해 MPEG-4 FDP 중 39개의 얼굴 특징점을 사용하여 쾌-불쾌 및 각성-수면의 내적상태와 얼굴 특징요소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극배우들의 다양한 표정연기 사진 150장으로부터, 5개의 필터 크기와 8개의 필터 방위로 구성된 Gator wavelet을 사용하여 39개의 특징점을 중심으로 영상처리 하였다. 이들 특징점의 필터 반응 값과 내적상태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내적상태의 쾌-불쾌 차원은 주로 입과 눈썹 주변의 특징점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고, 각성-수면 차원은 주로 눈 주변의 특징점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필터의 크기는 주로 저역 공간빈도 필터가 내적상태와 관련이 있었고, 필터의 방위는 주로 비스듬한 사선 방위가 내적상태와 관련이 있었다.

  • PDF

Mapping Facial expressions onto internal states (얼굴표정에 의한 내적상태 추정)

  • 한재현;정찬섭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 no.1
    • /
    • pp.41-58
    • /
    • 1998
  • 얼굴표정과 내적상태의 관계 모형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서 얼굴표정과 내적상태의 대응 관계를 조사하였다. 심리적으로 최소유의미거리에 있는 두 내적상태는 서로 구별되는 얼굴표정으로 대응된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얼굴표정과 내적상태의 일대일 대응 관계가 성립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얼굴표정 차원값과 내적상태 차원값의 관계 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중다희귀분석 및 정준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쾌-불쾌는 입의 너비에 의해서 각성-수면은 눈과 입이 열린 정도에 의해서 얼굴표정에 민감하게 반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얼굴표정 차원 열 두 개가 내적상태 차원상의 변화를 설명하는 정도는 50%내외였다. 선형모형이 이처럼 높은 예측력을 갖는다는 것은 이 두 변수 사이에 비교적 단순한 수리적 대응 구조가 존재한다는 것을 암시한다.

  • PDF

Mapping facial expression onto internal states (얼굴표정에 의한 내적상태 추정)

  • 한재현;정찬섭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8.04a
    • /
    • pp.118-123
    • /
    • 1998
  • 얼굴표정과 내적상태의 관계 모형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서 얼굴표정과 내적상태의 대응관계를 조사하였다. 심리적으로 최소유의미거리에 있는 두 내적상태는 서로 구별되는 얼굴표정과 내적상태의 일대일 대응 관계가 성립한다는 것을 발결하였다. 얼굴표정 차원값과 내적상태 차원값의 관계 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쾌-불쾌상태는 입의 너비에 의해서, 각성-수면상태는 눈과 입이 열린 정도에 의해서 얼굴표정에 민감하게 반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얼굴표정 차원 열 두개가 내적상태 차원 상의 변화를 설명하는 정도는 40%내외였다. 선형모형이 이처럼 높은 예측력을 갖는다는 것은 이 두 변수 사이에 비교적 단순한 수리적 대응 구조가 존재한다는 것을 암시한다.

  • PDF

Structural Analysis of Facial Expressions Measured by a Standard Mesh Frame (표준형상모형 정합을 통한 얼굴표정 구조 분석)

  • 한재현;심연숙;변혜란;오경자;정찬섭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9.11a
    • /
    • pp.271-276
    • /
    • 1999
  • 자동 표정인식 및 합성 기술과 내적상태별 얼굴표정 프로토타입 작성의 기초 작업으로서 특정 내적상태를 표현하는 얼굴표정의 특징적 구조를 분석하였다. 내적상태의 평정 절차를 거쳐 열 다섯 가지의 내적상태로 명명된 배우 여섯 명에 대한 영상자료 90장을 사용하여 각 표정의 특징적 구조를 발견하고자 하였다. 서로 다른 얼굴들의 표준화 작업과 서로 다른 표정들의 직접 비교 작업에 정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각 표정 표본들을 한국인 표준형상모형에 정합하였다. 정합 결과로 얻어진 각 얼굴표정의 특징점에 대해 모형이 규정하고 있는 좌표값들만으로는 표정해석이 불가능하며 중립얼굴로부터의 변화값이 표정해석에 유효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표정의 특징적 구조는 그 표정이 표현하는 내적상태가 무엇인가에 따라 발견되지 않는 경우도 있었으며 내적상태가 기본정서에 가까울수록 비교적 일관된 형태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적상태별 특징적 표정을 결정할 수 있는 경우에 표정의 구조는 얼굴표정 요소들 중 일부에 의해서 특징지어짐을 확인하였다.

  • PDF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ensation and Job Satisfaction: Exploring the Role of Supervisor Support and Perceived Internal Equity (구성원의 보상과 직무만족의 관계: 상사의 지원과 지각된 내적 공정성의 역할 탐색)

  • Teo, Yit Chin;Lee, Jeong E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7 no.6
    • /
    • pp.571-579
    • /
    • 2017
  •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compensation on job satisfaction. The study is designed to determine whether perceived internal equity acts as a mediation role in affec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ensation and job satisfaction. This study also aims to explore the role of supervisor support in affecting employees' perception of equity toward the compensation. A total of 157 samples was obtained for the data analysis as a quantitative approach. The results of the data analyses revealed that both extrinsic and intrinsic rewards a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perceived internal equity acts as a mediating role in predicting variables of compensation and job satisfaction. The supervisor support does not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ensation and perceived internal equity. It is suggested that management's efforts must be made in compensation management in order to increase employees' job satisfaction and to improve employees' perception of equity.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and Relationship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Intrinsic Motivation -The Focus of Service Enterprises- (서번트 리더십(Servant Leadership)과 내적 동기간의 관계 및 그 효과성에 관한 연구 -서비스업체를 중심으로-)

  • Jang, Jun-Ho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6 no.3
    • /
    • pp.61-84
    • /
    • 2011
  • This study tes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intrinsic motivation. And, the mediating role of intrinsic motivation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individual performance was also investigated. Based on related theory and literature review, 4 hypotheses were developed and teste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280 employees of 3 service enterprises. Among returned questionnaires, 214 samples were used for empirical study. According to results, listening behavior of supervisor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intrinsic motivation of subordinate. But, sympathy behavior and service behavior of supervisor had no significant effects on intrinsic motivation of subordinate. Also, intrinsic motivation of subordinate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commitment. Finally, the results suggest that intrinsic motivation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individual performance. The mediating role of intrinsic motivation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individual performance was partly or fully supported.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in conclusion.

  • PDF

정서관련 어휘 분석을 통한 내적 상태의 차원 연구

  • 김영아;김진관;박수경;오경자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7.11a
    • /
    • pp.209-214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의 정서관련 어휘분석을 통하여 내적체계의 차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1에서는 내적경험을표현하는 데 자주 쓰이는 어휘들을 자유연상을 통해 100개를 선정하고 유사성과 빈도평가작업을 통해 대표성을 갖는다고 판단되는 어휘22개를 선정하였다. 22개의 쌍별유사성을 7점척도로 평정한 자료를 다차원분석한 결과, 1차원(63%)은 쾌/불쾌, 2차원(25%)은 각성수준으로 해석될 수 있었고, 이는 기존의 차원모형의 주장과 거의 유사한 결과였다. 다른 어휘목록을 사용하였을 때의 결과와 비교하기 위해, 연구 2에서는 표정을 보고 정서를 추론하는 실험을 통해 자주 언급된 단어를 빈도순으로 22개 선정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같은 방법으로 다차원분석한 결과 연구 3에서는 연구 1,2의 어휘목록이 전체 내적체계의 차원 공간에서 차지하는 상대적인 위치를 비교하기 위해, 두 어휘목록을 포함한 83개 내적체계의 단어를 차원평정시켜 분석하였고, 연구결과가 차원모형에서 갖는 시사점이 논의 되었다.

  • PDF

A system for facial expression synthesis based on a dimensional model of internal states (내적상태 차원모형에 근거한 얼굴표정 합성 시스템)

  • 한재현;정찬섭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13 no.3
    • /
    • pp.11-21
    • /
    • 2002
  • Parke and Waters' model[1] of muscle-based face deformation was used to develop a system that can synthesize facial expressions when the pleasure-displeasure and arousal-sleep coordinate values of internal states are specified. Facial expressions sampled from a database developed by Chung, Oh, Lee and Byun [2] and its underlying model of internal states were used to find rules for face deformation. The internal - state model included dimensional and categorical values of the sampled facial expressions. To find out deformation rules for each of the expressions, changes in the lengths of 21 facial muscles were measured. Then, a se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as perform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uscle lengths and internal states. The deformation rules obtained from the process turned out to produce natural-looking expressions when the internal states were specified by the pleasure-displeasure and arousal-sleep coordinate values. Such a result implies that the rules derived from a large scale database and regression analyses capturing the variations of individual muscles can be served as a useful and powerful tool for synthesizing facial expressio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