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내유성

Search Result 239,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Acquisition of English Voiced Stop in Word Initial Position: Correlation with Vowel Height (한국인의 영어 어두 유성파열음의 습득과 후속모음 높이와의 관계)

  • Yoon su-yeon;Seo min-kyong;Song YoonKyoung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spring
    • /
    • pp.321-324
    • /
    • 2000
  • 한국어는 어두에서 유성파열음이 나타나지 않고 약한 기식이 있는 연자음으로 실현되므로 영어의 유성파열음을 발음하기 어렵다. 한국인이 어두 유성파열음을 습득할 때 후속하는 모음의 높이가 영향을 미치리라 가정하고 /이, 에, 어, 우/ 4개의 모음을 선택하여 어두유성파열음 의 VOT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단독단어와 문장에서 살펴보았다. native, 숙련자, 미숙련자의 세 그룹으로 나누어 실시한 결과 native의 경우 후속하는 모음이 어두파열음의 VOT에 영향을 끼치지 않았으며, 이러한 경향은 숙련자 그룹에서도 지켜짐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미숙련자 그룹인 경우 고모음이 저모음에서보다 VOT가 현저하게 길었고 통계검사 결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고모음에서 유성발음을 잘 못함을 알 수 있었다. native와 숙련자 그룹은 intermediate phrase(이하 iP) initial인 단어나 iP medial인 문장에서 VOT가 거의 유사한데 비해 미숙련자 그룹에서는 문장 내에서 VOT가 조금씩 짧아졌고 이 경향은 고모음에서 두드러져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 PDF

An Acoustic study of Korean Lenis Stop Voicing -in relation to Prosodic Structures- (한국어 파열연자음 유성화에 관한 음향음성학적 고찰 -운율구조와 관련하여-)

  • Kim Hyo Sook;Kim Sun Ju;Kim Sunmi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383-386
    • /
    • 1999
  • 이 논문은 한국어 파열연자음이 유성음 환경에서 유성음화하는 현상을 운율구조와 관련해서 음향음성학적으로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논문에서는 첫째, 음성적 자질로서나 청각적인 판단에 의해서나 무성음과 유성음의 이분법으로 나뉘는 것을 음향적 고찰을 통하여 각각을 하위의 범주로 나누었다. 문장 안에서 파열연자음이 음향적으로 실현될 때 각각의 범주가 어느 정도의 빈도수로 출현하는지를 살펴보았다. 둘째, 한국어 파열연자음은 어절 초에서는 무성음으로 실현되나 앞뒤에 유성음이 오는 경우에는 유성화되는 음운규칙이 있는데, 음향적인 분석을 통하여 앞뒤에 유성음이 온다는 조건만으로 설명할 수 없는 예들을 발견하였다. 그리하여 인접음절(특히 앞음절에 오는 분절음의 특성)과 운율구조(액센트구 내에서의 위치, 억양구경계의 유무)를 함께 고려하는 파열연자음 유성화규칙의 조건을 제안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design of planocentric gear reducer used in industrial robots (로보트용 내접 유성식 감속기의 설계에 대한 연구)

  • 이성철;오박균;권오관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Tribologists and Lubric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87.06a
    • /
    • pp.41-49
    • /
    • 1987
  • 관절 로보트를 위시한 각종 매니퓨레이터 장치의 관절 구동부는 모터와 감속기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최근에는 감속기를 내재하지 않는, 직접구동 방식이 연구중이지만 모터는 고속회전율 시키는 것이 동력밀도가 크기 때문에 대부분 감속기를 사용하여 회전속도를 감속하고 토오크를 증대하여 매니퓨레이터를 구동시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내접 유성식 감속기의 국산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원통형 핀을 내치차 치형으로 사용한 내접 유성식 감속기의 설계 기술을 개발하였다. 치형 수정계수를 도입하여 수정계수 변화에 대한 치형의 변화와 접촉 하중 및 응력의 변화를 검토하고 로오크 전달시 기구에 작용되는 하중을 해석하여 내접 유성식 감속기의 설계 기법을 제시하였다.

  • PDF

The Predicting Environmental Fate of Cd, Cu, and Pb by Sequential Fractionation in Mine Tailings and Agricultural Soils

  • Lee, Do-Kyoung;Chung, Doug-Young;Park, Mi-Sun;Lee, Seung-K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1998.11a
    • /
    • pp.195-200
    • /
    • 1998
  • 토양내에 있어 중금속의 총량 분석만으로는 오염 토양에 대한 환경 평가를 위한 충분한 자료가 되지 못한다. 또한 중금속의 토양내 위해성은 중금속과 토양과의 화학적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중금속의 화학적 형태를 규명하는 것은 토양 환경에 있어서 그들의 이동성과 거동 특성을 평가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연속 추출법은 구봉 광산의 광미로 부터 Cd, Cu, Pb을 화학적 형태에 따라 분리하고, 인위적으로 중금속을 포화시킨 광미와 두밭토양에 있어 중금속의 토양내 거동 특성을 예측하기 위하여 이용되었다. 광미중 Pb의 대부분은 Fe-Mn oxide, carbonate의 결합 형태로 존재하였으며, Cu와 Cd은 각각 71.8%와 42.9%가 유기물, carbonate의 결합형태로 존재하였다. 상당량의 Cd(94.9%), Cu(95.1%), 그리고 Pb(85.8%)은 토양내 잠재적으로 이동 가능한 형태로 존재하였다. 유성과 논산의 밭토양 에 가해진 Cd는 대부분 이동성이 가장 높은 치환태로 존재하였으며, 유성과 논산 토양에서 각각 67.9%와 93.2%가 치환태로 존재하였다. 토양에 가해진 Cd, Cu, Pb은 대부분 이동이 용이한 형태로 존재하였으며, 토양과의 결합세기는 Pb > Cu > Cd 순으로 감소하였다.

  • PDF

Ethylene-acrylic elastomers (에틸렌-아크릴고무의 특성(特性))

  • Choe, Jun-Cheol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v.12 no.1
    • /
    • pp.55-64
    • /
    • 1977
  • ethylene과 methylacrylate 그리고 가교(架橋) 영향(影響)을 미치는 Carboxyl 기(基)로 구성(構成)되어 있는 이 공중합체(共重合體)는 내열(耐熱) 그리고 내유성(耐油性)인 새로운 등급(等級)의 탄성체(彈性體로) 상품화(商品化) 되었다. 이 탄성체(彈性體)의 가황물(加黃物)은 Chlorosulfonated Polyethylene과 실리콘고무 중간(中間)인 고온(高溫)에서 물리적(物理的) 특성(特性)을 만족(滿足)시켜주는 고무로써 특(特)히 내유(耐油), 내(耐)오존성(性) 그리고 내후성(耐侯性)에 우수하며 동시(同時)에 저온(低溫)에서도 훌륭한 성질(性質)을 유지(維持)하는 탄성체(彈性體)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