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내용분석

검색결과 13,307건 처리시간 0.043초

Computing Curricula 2020에 기반한 국내 초·중등 정보 교육과정 내용 요소 분석 (Analysis of Primary and Secondary Informatics Curriculum Content Components Based on Computing Curricula 2020)

  • 정재리;김성원;이영준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3년도 제67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31권1호
    • /
    • pp.233-236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Computing Curricula 2020에서 제시하고 있는 지식 요소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실과와 중학교 정보 교과의 내용 요소의 변화를 비교·분석해 보았다. 연구 결과, 초등학교는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총 5개의 지식 요소를 포함하였고, '컴퓨팅 시스템 기초', '디지털 디자인'과 관련한 내용 요소가 추가되었다. 중학교는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총 11개의 지식 요소를 포함하였고, '운영체제', '지능 시스템(AI)'과 관련한 내용 요소가 추가되었다. 그 중 내용 요소의 비율이 크게 변화한 영역은 '소프트웨어 설계', '자료구조 및 알고리즘과 복잡도', '운영체제', '지능 시스템(AI)' 등이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분석하지 못한 고등학교 정보과의 내용 요소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 PDF

제 7차 교육과정 기술.가정 교과서의 '에너지와 수송기술' 단원 내용 분석 (The Content Analysis of the Energy and Transportation Technology Domain about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 이상봉;연진숙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43-64
    • /
    • 2012
  • 이 연구는 제 7차 교육과정 기술 가정 교과서의 '에너지와 수송기술' 단원 내용을 분석하여 차기 기술 가정 교과서 개발 및 교사의 교육내용 재구성에 참고할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Jackson's Mill 기술교과 교육과정이론'에 하위체제인 '투입'-'과정'-'산출'의 하위체제로 분석 범주를 정하고, 내용분석 준거틀을 만들어 제 7차 교육과정에서 발행된 기술 가정 교과서 중 '에너지와 수송기술' 단원이 있는 교과서 총 12권의 내용분석(content analysis)을 실시 하였다. 연구 분석단위를 '주제'로 정하고 수송기술 영역 하위체제 및 하위요소로 제시된 영역에 따라 내용의 빈도와 강도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수송기술의 하위체제 중 '투입', '과정'의 영역은 모든 교과서가 내용을 제시하였지만 수송기술에서 중요한 '산출' 영역내용이 제시되지 않았다. 둘째, '투입'의 하위요소는 '지식', '에너지', '자산' 등이 제시되었는데, 이중 '지식'과 '에너지'의 빈도와 강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과정'의 하위 체제인 '생산과정'과 '관리과정' 중 '생산과정'의 빈도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이중 '수송/운반'이 많은 빈도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관리과정의 빈도와 강도는 다른 체제에 비해서 적게 나타났다. 넷째, '투입'-'과정'-'산출'의 하위체제에 강도치를 주어서 강도분석한 결과 강도가 높은 것은 '투입'의 '재료'와 '에너지'이며, '과정'의 '수송/운반'이다. 나머지 다른 체제들은 강도치에 맞는 요구하는 비율에 못 미치고 있다. 즉, 수송 체제의 영역별, 하위요소별로 내용이 고르게 반영이 된 것이 아니라, 한쪽으로 치우쳐 내용이 강조된 것을 알 수 있다.

트위터를 활용한 공공 정보서비스 연구 - 주요 광역도시 트위터들을 중심으로 - (A Study on Public Information Service using Twitter - Focused on Twitters of Major Metropolitans -)

  • 김지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15-133
    • /
    • 2015
  • 본 연구는 서울시와 지방 광역도시의 대표 트위터들에서 제공하는 공공정보의 내용을 심층 분석하고, 시민들의 질의와 시 트위터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트위터를 통한 정보서비스에 대해 평가하였다. 주 연구방법은 내용분석(content analysis)을 사용하였으며, 6개 도시의 트위터(서울, 부산, 대구, 인천, 대전, 광주)에 게재되었던 석 달 동안의 트윗 내용을 모두 기록하여 분석하였다. 트위터상의 정보게재에 대한 빈도수 분석에서 가장 많은 트윗을 게재한 도시는 부산시였으며, 서울시는 URL링크를 활용한 트윗글 게재 수가 가장 높았다. 트위터에서 제공되는 공공정보에 대한 내용분석 결과 가장 많이 제공되었던 정보는 시민의 생활 편의에 관련된 정보였으며, URL링크를 제공하는 트윗글 또한 생활정보, 공모, 서비스 안내 순이었다. 시민들의 질의를 분석하였을 때, 시민들은 생활정보와 교통에 관련된 더 많은 정보를 요구하였다. 끝으로 트위터를 통한 더 나은 공공 정보서비스를 위해 몇 가지의 의미있는 제안을 하였다.

고등학교 정보 교과서의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High School Informatics Textbooks)

  • 이연화;강오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488-495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기초하여 개발되고 2011년부터 학교에 보급된 고등학교 정보교과서를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인정 심사를 통과한 정보 교과서 6권에 대해 교과서의 구성 체제와 내용의 두 가지 준거를 바탕으로 내용 분석법을 적용하였다. 교과서 구성 체제에서는 전체 구성, 영역별 비중, 내용 전개, 평가 유형을 분석하였으며, 내용 분석에서는 정보 교과서의 내용구성 4개 영역에서 다루는 주요 개념의 수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정보 교과서에 수록된 개념의 수가 많고 수준이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영역별 내용과 목차 구성에서 교과서별로 차이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는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영역별 내용 및 목차 구성, 전문용어 사용, 실습 유무 등 정보 교과서에 대한 여섯 가지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기하 영역에서 초·중학교간 유사 학습내용에 대한 비교 분석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Similar Learning Contents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in Geometry)

  • 서보억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3권1호
    • /
    • pp.27-44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와 중학교에서 유사하게 다루는 기하 학습내용을 추출하고, 이 학습내용이 각 학교급에서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 그 차이점을 분석한다. 분석을 위한 도구는 Merrill 등의 연구를 기초로 한다. 먼저 학습한 결과를 '수행수준', '내용유형'으로 분류하고, 교과서 내용 제시 방법을 '교수요소', '제시유형'으로 분류하여 분석을 실시한다. 분석결과 유사한 학습내용으로 9개의 성취기준을 추출하고, 추출한 학습내용은 분석도구를 통해 탐색한다. 본 연구를 통해 현재 초·중학교에서 유사하게 다루는 기하 학습내용에 대한 실태를 확인함으로서 초·중학교 사이의 일관성 유무 및 구체적 차이점을 알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정부출연연구기관 주요사업 연구기획 강화를 위한 예비타당성조사 사업 메타분석연구

  • 이종원
    • 한국기술혁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기술혁신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93-407
    • /
    • 2017
  • 최근 정부 R&D 방향을 보면 정부출연연의 역할은 중장기, 대규모 신규사업발굴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출연연 자체적으로 연구기획에 많은 투자와 노력을 하고 있다. 하지만, 출연연 주요사업 연구개발계획서에 철저한 준비가 되어야 함에도 기획 전문지식이 체계적으로 축적되지 않았으며 연구기획에 대한 좋은 본보기를 요구하는 연구자들이 지속적으로 이어져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논리적이고 심도있는 검토를 거치는 사전평가 과정인 국가연구개발 예비타당성조사 사업을 본보기로 제안하며 주요사업 기획에 도움이 되는 평가항목들과 내용을 메타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KISTEP에서 공개한 예비타당성조사 보고서의 평가항목들 중에서 출연연 주요사업에 적용될 수 있는 기술적 타당성 평가항목들을 선별한다. 그리고, 선별된 평가항목들끼리의 내용분석을 통해 사업 타당성에 대한 지적사항을 항목별로 정리하여 시사점을 찾아내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주요사업 대규모, 중장기 연구기획 시 실무적으로 도움이 될것으로 기대한다.

  • PDF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교과서와 교육과정 속의 생명공학과 생물정보학 내용 분석 (The Analysis of Bioinformatics and Biotechnology Contents in Curriculum and Textbooks According to Revising Curricula)

  • 주희영;동효관;이길재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6권2호
    • /
    • pp.186-197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교육과정과 교과서 속에 최신의 생물학 흐름인 생명공학과 생물정보학 내용이 어느 정도 반영되어 있는지를 분석해 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7차 교육과정, 2007 개정 교육과정, 2009 개정 교육과정 속의 생명공학과 생명정보학 내용을 분석하였으며 교육과정에 관련한 교과서 속의 생명공학과 생명정보학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7차 교육과정에서는 생명공학에 관한 내용은 있었으나 생물정보학에 관한 내용은 없었던 것에 비해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생명과학 I과 고급생명과학에서 이에 관한 내용이 등장하였다. 교과서 분석 결과를 보면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들이 배우는 생물I, 생물II, 생명과학I에서는 아직도 생물정보학에 대한 내용제시가 많이 부족하였으며,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이 배우는 고급생물에서도 전체 내용에 비해 생물정보학에 대한 내용 제시가 부족하였다.

  • PDF

대통령후보 공약에 대한 언론보도 비교연구: 보수적 언론과 진보적 언론의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f news media coverage on the presidential candidate's commitments: applying Content Analysis method)

  • 홍용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1호
    • /
    • pp.85-95
    • /
    • 2017
  • 뉴스 미디어는 대통령 후보들의 공약을 보도하면서 주관적 논평을 하며, 이는 정치 커뮤니케이션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본 연구의 목적은 언론의 대통령 후보 공약에 대한 보도 특성과 신문 간 차이를 살펴보고 그 함의를 논의하는 것이다. 보수적 신문과 진보적 신문, 즉 조선일보와 경향신문에 보도된 2주간의 뉴스 기사를 표집하여, 체계화된 코딩유목에 따라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기사에 대해 빈도분석과 신문 간 보도 논조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수행하였고, 분석도구로는 SPSS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기사 제목에서의 논조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으나, 기사의 내용적 차원에서는 신문 간 논조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 연구가설이 검증되었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보수와 진보적 성격의 신문간 보도 차이로 인한 언론의 프레이밍 효과를 시사한다. 후속 연구로 지난 선거 후보들의 공약 보도와의 비교, 기사 논조의 차이에 대한 언어 사용의 심층적 분석을 위한 네트워크분석, 공약의 신문보도와 방송보도의 비교분석이 제안된다.

SNS의 스마트폰 게시글 내용 분석을 통한 사용자의 요구특성 분석 (A Requirement Analysis Method of Smart-Phone Users by Using Contents Analysis of SNS)

  • 김태우;백동현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197-208
    • /
    • 2012
  • 최근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와 같이 이동성, 편리성, 그리고 실시간성을 갖춘 스마트 장비의 개발로 소셜 미디어의 확산과 활성화가 촉진되고 있다. 또한 커뮤니케이션 방법도 혁신적으로 변화되고 있다. 2010년 이후, SNS(Social Networking Services)에 관한 연구들은 주로 SNS를 이용한 마케팅 전략의 개발에 초점을 맞췄다. 반면, 이 논문은 SNS의 내용 분석을 통해 스마트폰 사용자들의 요구사항을 분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SNS의 내용을 일일이 수작업으로 분석하는 것은 너무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므로 본 논문에서는 SNS 내용 분석을 자동으로 수행하기 위해 내용 분석 시스템을 개발했다. 또한 이 논문에서는 내용 분석의 결과와 Kano의 설문조사 결과를 비교하여 두 결과를 비교하였다.

장애인활동보조서비스 갈등에 관한 에이블뉴스 보도 내용분석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on the Ablenews Reports on Personal Assistance Service Conflicts)

  • 김문근
    • 사회복지연구
    • /
    • 제45권3호
    • /
    • pp.97-125
    • /
    • 2014
  • 연구의 목적은 장애뉴스에 특화된 인터넷 독립언론매체 에이블뉴스의 장애인활동보조서비스 갈등 보도에 나타난 주요 주제를 분석하고, 활동보조서비스 갈등에 관한 보도에 내재된 관점을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에이블뉴스의 장애인활동보조서비스 갈등 관련 기사들을 자료로 하여 귀납적 질적 내용분석, 인과요소와 책임귀인분석, 장애패러다임분석을 실시하였다. 내용분석결과 에이블뉴스는 장애인활동보조서비스 갈등을 충실히 보도하고 있었으나 책임귀인 분석에 의하면 갈등의 원인과 해결을 장애인이용자와 활동보조인에게 귀인하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또한 장애패러다임 분석결과 재활모델의 관점을 반영한 텍스트들이 적지 않아 자립생활모델과 밀접한 활동보조서비스 갈등을 보도하면서 독자들에게 재활모델의 관점을 전달할 우려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장애에 특화된 독립언론매체로서 보다 전문적인 보도를 위해 전문기자의 활용, 외부 전문기고자의 활용, 편집회의를 통한 기사 게재 등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