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내시경 절제

검색결과 143건 처리시간 0.037초

악하선 공간에 생긴 동정맥 기형의 후이개 내시경 접근법을 이용한 절제술 1례 (A Case of Retroauricular Endoscopic Excision of Arteriovenous Malformation in the Submandibular Space)

  • 반명진;이치규;이지혜;박재홍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25-28
    • /
    • 2016
  • A 54-year-old female presented with a 4cm sized painless, submandibular gland area mass. Vascular lesion was suspected in computed tomography scan. Surgical excision was performed via retroauricular approach for its excellent cosmetic outcome. The vascular mass with peripheral focal calcification was clearly resected without complication such as bleeding or neural damage.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of the specimen revealed an arteriovenous malformation(AVM) with abnormal communications between arteries and veins without the normal intervening capillary bed. We report a successful excision of AVM in the submandibular space via retroauricular approach.

내시경으로 절제한 십이지장 Brunner선 선종 1예 (A Case of Duodenal Brunner's Gland Adenoma Treated by Endoscopic Rescetion)

  • 김성준;구민근;박준석;김경옥;이시형;김태년;최준혁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8권1호
    • /
    • pp.84-89
    • /
    • 2011
  • Brunneroma, also known as Brunner's gland adenoma or harmatoma, is a very rare benign tumor of the duodenum, which is usually asymptomatic, and is discovered incidentally during endoscopic exam. These lesions are most commonly located in the duodenal bulb and clinical manifestations are variable. We report on a case of a large Brunner's gland adenoma in a 54-year-old man, which was successfully removed by endoscopic resection without complications, such as bleeding or perforation. Microscopically, it was composed entirely of variable Brunner's gland.

  • PDF

반복되는 폐렴으로 내원한 청소년기 폐 칼시노이드 종양 (Pulmonary carcinoid tumor presented with recurrent pneumonia in adolescence)

  • 박은실;박지숙;서지현;임재영;이정희;고경혁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7호
    • /
    • pp.805-809
    • /
    • 2006
  • 소아의 기관 내 종양은 발생 빈도가 매우 낮고 그 증상이 소아에서 흔한 양성 호흡기 질환의 증상과 유사하여 진단 지연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저자들은 동일 부위의 반복되는 폐렴으로 내원한 15세 여아에서 기관지 내시경을 통하여 기관 내 종양을 발견하고 병리 조직 검사를 통하여 전형적인 칼시노이드 종양을 진단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병리조직학적으로 전형적인 칼시노이드 종양은 수술적 절제만으로 완치를 기대할 수 있으나 원격 전이가 가능하기 때문에 장기간에 걸친 세심한 추적 검사가 필요하다.

심와부 복통으로 내원한 5세 소아에서의 위 선근종 1례 (A Case of Adenomyoma of the Stomach in a Child Presenting Epigastric Pain)

  • 허미영;정지아;최금자;성순희;서정완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4권1호
    • /
    • pp.99-103
    • /
    • 2001
  • 심한 심와부 동통과 구토를 주소로 내원한 5세여아에서 상부 위장관 내시경으로 위유문동에서 중심요와를 보이는 비정상적인 주름을 관찰하였다. 복통이 계속되어 이소성췌장으로 생각하고 위부분절제술을 시행하여 치료한 위 선근종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내시경 점막 절제술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 김광하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3-28
    • /
    • 2011
  • Diagnosis of early esophageal cancer has become more frequent as a result of improved endoscopic technology, surveillance programmes, and increasing experience and awareness on the part of endoscopists. In early esophageal cancer, squamous cell carcinoma and early adenocarcinoma must be managed differently because they have different origins, pathogenesis.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The current treatment options vary widely, from extended resection with lymphadenectomy to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EMR) or ablation. None of these treatment options can be recommended universally. Instead, an individualized strategy should be based on the depth of tumor infiltration into the mucosa or submucosa, the presence or absence of lymph node metastases, the multicentricity of tumor growth, the length of the segment of intestinal metaplasia, and comorbidities of the patient. EMR has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both as a diagnostic tool for the staging of esophageal carcinomas and as a method of carrying out definitive treatment when the cancer meets certain criteria in which the risk of lymph-node metastasis is negligible. EMR may be sufficient in a subset of patients who have m1 or m2 squamous cell carcinoma and in patients who have isolated foci of high-grade intraepithelial neoplasia or mucosal cancer.

  • PDF

기관지 단단 국균증 1예 (A Case of Bronchial Stump Aspergillosis)

  • 이희승;류종철;박태군;박태준;양은수;최수전;곽영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1권3호
    • /
    • pp.299-301
    • /
    • 1994
  • 저자들은 폐결핵으로 우중엽절제술 후 발생한 기관지 단단 국균증을 기관지 내시경으로 진단, 치료한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내시경 절제술과 방사선 치료로 완치한 식도의 기저양 편평세포암 (Esophageal Basaloid Squamous Carcinoma Treated by Endoscopic Resection and Radiation)

  • 김승범;이시형;정다은;김경옥;구미진
    • 대한소화기학회지
    • /
    • 제72권5호
    • /
    • pp.258-261
    • /
    • 2018
  • Esophageal basaloid squamous carcinoma (BSC) is a rare, aggressive variant of squamous cell carcinoma. BSC is usually diagnosed in advanced stage and its prognosis is relatively poor. A 59-year-old male with subepithelial lesion of the esophagus that was incidentally discovered during health promotion examination was referred to our hospital. Esophagogastroduodenoscopy showed a 10-mm bulging mucosa with an intact surface at 34 cm from incisor teeth. Endoscopic ultrasonography revealed a smooth margined homogenous hypoechoic lesion, measuring $11.3{\times}3.9mm$ with a submucosal layer of origin. The patient underwent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of the subepithelial lesion. Pathologic examination of the resected specimen revealed BSC with involvement of vertical margin by tumor. The patient then underwent radiotherapy, and is doing well without recurrence for 35 months. We report a case of esophageal BSC confined to submucosal layer successfully treated with endoscopic resection followed by radiation.

위선암 환자의 원위부 위절제 후 위공장문합의 방법의 선택에 따른 임상 양상의 차이에 관한 고찰 (Evaluation of Different Methods of Gastroenterostomy after Distal Gastrectomy for Gastric Carcinoma)

  • 최은혜;이종명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9권4호
    • /
    • pp.215-222
    • /
    • 2009
  • 목적: 원위부 위절제술 후 재건술의 하나인 Billroth II 위공장문합술은 오랫동안 사용되어온 방법이나 역류성 위염의 빈도가 높다는 것이 문제점 중의 하나이다. 이를 보완하기 위한 여러 시도가 있었으나 그 중 잔위의 크기에 따라 Roux-en-Y 위공장문합술, Braun 공장문합술 및 Billroth II 위공장문합술을 달리 시행한 후 그 적용의 적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9월부터 2007년 4월까지 하부 및 중위 위선암으로 단일 술자에 의해 원위부 위절제를 받은 후 잔위의 크기가 10% 이하일 때 Roux-en-Y 위공장문합술 (14명)을, 잔위가 10~20%일 때 Braun 공장문합술(17명)을, 잔위가 20~40%일 때 Billroth I이 부적합하다고 판단된 경우 - Billroth II 위공장문합술(14명)을 시행 후, 각각의 치료성적을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은 전화 설문과 의무기록을 조사하여 환자의 증상 및 내시경 소견을 평가하였고 술 후 영양 상태를 평가하기 위하여 혈중알부민, 혈색소농도 및 체중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결과: 수술 사망률 0%, 수술 합병률 8.9% (4/45)로 모든 수술은 안전하게 시행되었다. 내시경 소견에서 역류성 위염은 Roux-en-Y군, Braun군 및 Billroth II군에서 각각 7.63%, 18.65%, 40.0%에서 보였다(P=0.13). 가벼운 역류성 식도염이 Roux-Y군과 Braun군에서 각각 1명씩 있었다. 내시경적 위저류는 Roux-en-Y군에서 2예가 보였으며 이 중 1예는 역류성식도염의 원인이 되었다. Roux-en-Y군과 Braun군이 Billroth II 군보다 식사량의 감소가 적었으며(각각 7.1%, 0.0%, 28.7%, P=0.036), 식후 불편감(각각 14.3%, 23.5%, 57.1%, P=0.035)과 역류 증상(각각 0.0%, 11.8%, 42.9%, P=0.009)을 적게 호소하였다. 결론: 작은 잔위를 가지는 환자에서 시행된 Roux-en-Y 위공장문합술과 Braun 공장문합술은 역류증상의 방지와 위절제 후 불편감을 줄이는데 효과적이라고 생각하며, 10% 미만의 잔위에서는 Roux-en-Y를, 그 외의 경우에는 Braun 문합을 확대적용을 고려하는 것이 좋겠다.

  • PDF

식도에 발생한 거대 섬유혈관성 용종 (Giant Fibrovascular Polyp of the Esophagus -A Case Report-)

  • 오삼세;심영목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6호
    • /
    • pp.675-680
    • /
    • 1996
  • 52세된 남자 환자가 2개월 전부터 시작된 연하곤란을 호소하면서 내원하였다. 방사선학적 검사상 상 당한 크기의 식도강내 종괴를 관찰할 수 있었으나 식도 내시경검사에서는 병 변을 확인할 수 없었다 수 술은 종괴의 크기가 클 뿐만 아니라 해투학적 특성에 대한 정 확한 술전 평가가 어려웠던 관계로 개홍술 을 퉁해 식도강내 거대 용종을 절제하였다. 유경성의 식도강내 용종은 매우드문 질환으로 비교적 천천 히 자라며 그 대부분은 윤상인두근 근처에서 기시하는 양성 식도종양으로 종종 매우 큰 크기로 발견된 다. 임상증상은 대부분의 경우 종괴가 자라 식도내강이 폐쇄되면서 생기나 비특이적이다. 때때로 종괴 가구강 속으로 역류하여 기도를 폐쇄하게 되면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하기도하며 치료는 외과적 절제가 원칙이다.

  • PDF

소아 환자에서의 단단문합술에 의한 기관협착 치험 9 례 (Resection and End-to-End Anastomosis in Pediatric Tracheal Stenosis)

  • 김광현;성명훈;이재서;신진성;최승호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93년도 제27차 학술대회 초록집
    • /
    • pp.81-81
    • /
    • 1993
  • 소아의 기관협착은 대부분이 장기간의 기관내삽관에 의해 초래되며 그 치료방법은 기관 협착의 정도 및 부위에 따라 다르다. 협착의 정도가 경하고 주로 육아조직에 의한 경우는 반복적인 내시경적인 처치만으로도 치유가 되지만 협착부위가 광범위하거나 정도가 심한 경우는 수술적인 기관재건이 필요하게 된다. 저자들은 이러한 기관재건술로 윤상갑상연골절제 및 연골이식, 그리고 협착부절제 및 단단문합의 방법 등을 현재까지 사용하였으며 괄목할 만한 결과를 얻었다. 저자들은 지금까지 경험한 9 명의 소아 기관협착 환자에서의 단단문합술에 의한 치험과 단단문합술의 적응증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